본문내용
이 필요하다.
세 번째로는 상호작용자로서의 역할로 사람, 자연, 사물과의 상호 작용이 충분히 일어날 수 있도록 돕고 영유아의 활동을 관찰하고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다음으로는 모델로서의 역할로 영유아의 기본적인 양육자로서 영유아가 모방을 하더라도 부끄럽지 않은 행동과 말로 지도하여야 하며 영유아와 하루 일과 중 대부분의 시간을 함께 하는 대상으로서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바람직한 동일시 대상이 되어야 한다.
다섯 번째로는 관찰자의 역할로 영유아를 올바르게 보호하고 교육하기 위해서는 이 대상의 발달 수준, 개별적인 요구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보육교사는 영유아의 건강, 행동, 말, 생각 등을 민감하게 관찰하고 기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교육을 제공하고 혹여나 발생하는 문제 행동에 대하여 주양육자와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해나갈 수 있다.
마지막으로는 부모 및 지역사회와의 교류자 역할로 공동 육아를 위해 부모와의 원만한 의사소통을 하고 영유아의 가정과 그 부모의 요구 등을 이해하고 부모를 지원하고 기관과 부모와의 신뢰감을 형성하기 위해 이를 노력해야 한다. 또한 지역 사회 자원을 적절히 활용하여 영유아가 지역사회에 대해 긍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지금까지는 영아 교사에 대해서 살펴보았다면 이번에는 유아 교사의 역할로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보호 및 양육자로서의 역할, 교수자로서의 역할, 의사소통 및 의사결정자로서의 역할, 평가 및 기록자로서의 역할을 들 수 있다.
보호 및 양육자로서의 역할을 먼저 보면 유아기는 가정을 벗어나 처음으로 집단생활을 경험하게 되는 시기로 영아 교사의 역할과 마찬가지로 신체적, 정서적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고 정서적인 발달을 지원해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
유아가 애착을 갖는 교사들은 더 밀접한 관계 형성을 하기도 하며 그 관계 속에서 보육교사는 유아에게 정서적 안정감을 제공하기도 하고 행동에 적극적으로 반응한다. 정서적으로 안정적인 관계를 맺은 유아들은 분리된 유아보다 교사와의 활동에서 긍정적인 애정을 나타내며 때로는 부모와의 안정적인 애착을 형성하지 못하는 경우 교사로부터 위로를 받기도 한다. 유아 교사와의 확고한 애착관계는 부모와의 불안정한 관계를 보충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두 번째 교수자로서의 역할은 유아의 학습을 계획하고 수행하고 평가하며 교실 환경을 구성한다. 유아는 주변의 다양한 환경과 구체적인 경험을 통해 스스로 지식을 구성하기
세 번째로는 상호작용자로서의 역할로 사람, 자연, 사물과의 상호 작용이 충분히 일어날 수 있도록 돕고 영유아의 활동을 관찰하고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다음으로는 모델로서의 역할로 영유아의 기본적인 양육자로서 영유아가 모방을 하더라도 부끄럽지 않은 행동과 말로 지도하여야 하며 영유아와 하루 일과 중 대부분의 시간을 함께 하는 대상으로서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바람직한 동일시 대상이 되어야 한다.
다섯 번째로는 관찰자의 역할로 영유아를 올바르게 보호하고 교육하기 위해서는 이 대상의 발달 수준, 개별적인 요구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보육교사는 영유아의 건강, 행동, 말, 생각 등을 민감하게 관찰하고 기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교육을 제공하고 혹여나 발생하는 문제 행동에 대하여 주양육자와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해나갈 수 있다.
마지막으로는 부모 및 지역사회와의 교류자 역할로 공동 육아를 위해 부모와의 원만한 의사소통을 하고 영유아의 가정과 그 부모의 요구 등을 이해하고 부모를 지원하고 기관과 부모와의 신뢰감을 형성하기 위해 이를 노력해야 한다. 또한 지역 사회 자원을 적절히 활용하여 영유아가 지역사회에 대해 긍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지금까지는 영아 교사에 대해서 살펴보았다면 이번에는 유아 교사의 역할로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보호 및 양육자로서의 역할, 교수자로서의 역할, 의사소통 및 의사결정자로서의 역할, 평가 및 기록자로서의 역할을 들 수 있다.
보호 및 양육자로서의 역할을 먼저 보면 유아기는 가정을 벗어나 처음으로 집단생활을 경험하게 되는 시기로 영아 교사의 역할과 마찬가지로 신체적, 정서적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고 정서적인 발달을 지원해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
유아가 애착을 갖는 교사들은 더 밀접한 관계 형성을 하기도 하며 그 관계 속에서 보육교사는 유아에게 정서적 안정감을 제공하기도 하고 행동에 적극적으로 반응한다. 정서적으로 안정적인 관계를 맺은 유아들은 분리된 유아보다 교사와의 활동에서 긍정적인 애정을 나타내며 때로는 부모와의 안정적인 애착을 형성하지 못하는 경우 교사로부터 위로를 받기도 한다. 유아 교사와의 확고한 애착관계는 부모와의 불안정한 관계를 보충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두 번째 교수자로서의 역할은 유아의 학습을 계획하고 수행하고 평가하며 교실 환경을 구성한다. 유아는 주변의 다양한 환경과 구체적인 경험을 통해 스스로 지식을 구성하기
추천자료
한국과 외국의 보육제도 관한 고찰
한국 유아교육의 변천과정 고찰
대학원 종합시험 문제
[보육학개론] 우리나라의 보육의 역사에 대하여 정리하고 미래지향적인 보육발전모습을 기술...
다양한 교사의 역할을 나열하고, 보육 대상자의 연령에 따라 교사의 역할에 대하여 우선순위...
다양한 교사의 역할을 나열하고, 보육 대상자의 연령에 따라 교사의 역할에 대하여 우선순위...
영유아교수방법론과제) 다양한 교사의 역할을 나열하고, 보육 대상자의 연령에 따라 교사의 ...
다양한 교사의 역할을 나열하고 보육 대상자의 연령에 따라 교사의 역할에 대해서 우선순위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