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의 의
Ⅱ. 심리원칙
1. 당사자주의
2. 직권주의
Ⅲ. 종 류
1. 요건심리
⑴ 의 의
⑵ 소송요건
⑶ 심리원칙
⑷ 판정시기
2. 본안심리
⑴ 의 의
⑵ 본안요건
⑶ 심리범위
⑷ 심리원칙
Ⅳ. 주장책임 -「본안심리」
1. 의 의
2. 직권심리주의
⑴ 문제점
⑵ 학설 및 判例
⑶ 검 토(변론주의보충설)
Ⅴ. 입증책임 -「본안심리」
1. 의 의
2. 입증책임의 분배
⑴ 문제점
⑵ 학설 및 判例
⑶ 검 토(법률요건분류설)
3. 구체적 유형
⑴ 적극적 처분 -「침익적 처분(법률요건)」
⑵ 소극적 처분 -「수익적 처분(법률요건)」
⑶ 재량의 하자(법률효과)
Ⅵ. 그 외의 심리원칙 -「본안심리」
Ⅱ. 심리원칙
1. 당사자주의
2. 직권주의
Ⅲ. 종 류
1. 요건심리
⑴ 의 의
⑵ 소송요건
⑶ 심리원칙
⑷ 판정시기
2. 본안심리
⑴ 의 의
⑵ 본안요건
⑶ 심리범위
⑷ 심리원칙
Ⅳ. 주장책임 -「본안심리」
1. 의 의
2. 직권심리주의
⑴ 문제점
⑵ 학설 및 判例
⑶ 검 토(변론주의보충설)
Ⅴ. 입증책임 -「본안심리」
1. 의 의
2. 입증책임의 분배
⑴ 문제점
⑵ 학설 및 判例
⑶ 검 토(법률요건분류설)
3. 구체적 유형
⑴ 적극적 처분 -「침익적 처분(법률요건)」
⑵ 소극적 처분 -「수익적 처분(법률요건)」
⑶ 재량의 하자(법률효과)
Ⅵ. 그 외의 심리원칙 -「본안심리」
본문내용
3. 구체적 유형
⑴ 적극적 처분 -「침익적 처분(법률요건)」
적극적 처분(침익적 처분)의 경우에는 ① 그 ‘권한발생 요건사실(적극적 요건)’에 대한 입증책임은 ‘피고’가 부담하고 ② ‘권한장애 요건사실(소극적 요건)’에 대한 입증책임은 ‘원고’가 부담한다.
⑵ 소극적 처분 -「수익적 처분(법률요건)」
소극적 처분(수익적 처분)의 경우에는 ① 그 ‘권한발생 요건사실(적극적 요건)’에 대한 입증책임은 ‘원고’가 부담하고 ② ‘권한장애 요건사실(소극적 요건)’에 대한 입증책임은 ‘피고’가 부담한다.
⑶ 재량의 하자(법률효과)
‘재량의 일탈ㆍ남용’ 사유에 대한 입증책임은 ‘원고’가 부담한다.
Ⅵ. 그 외의 심리원칙 -「본안심리」
취소소송은 구술심리주의(행정소송법 제8조②, 민사소송법 제134조①), 공개심리주의(행정소송법 제8조②, 법원조직법 제57조), 쌍방심리주의, 직접심리주의, 행정심판 기록제출 명령제도(행정소송법 제25조) 등이 인정된다.
⑴ 적극적 처분 -「침익적 처분(법률요건)」
적극적 처분(침익적 처분)의 경우에는 ① 그 ‘권한발생 요건사실(적극적 요건)’에 대한 입증책임은 ‘피고’가 부담하고 ② ‘권한장애 요건사실(소극적 요건)’에 대한 입증책임은 ‘원고’가 부담한다.
⑵ 소극적 처분 -「수익적 처분(법률요건)」
소극적 처분(수익적 처분)의 경우에는 ① 그 ‘권한발생 요건사실(적극적 요건)’에 대한 입증책임은 ‘원고’가 부담하고 ② ‘권한장애 요건사실(소극적 요건)’에 대한 입증책임은 ‘피고’가 부담한다.
⑶ 재량의 하자(법률효과)
‘재량의 일탈ㆍ남용’ 사유에 대한 입증책임은 ‘원고’가 부담한다.
Ⅵ. 그 외의 심리원칙 -「본안심리」
취소소송은 구술심리주의(행정소송법 제8조②, 민사소송법 제134조①), 공개심리주의(행정소송법 제8조②, 법원조직법 제57조), 쌍방심리주의, 직접심리주의, 행정심판 기록제출 명령제도(행정소송법 제25조) 등이 인정된다.
추천자료
Magic 실전연습 행정쟁송법(압축이론.기본강의용)_의무이행소송
Magic 실전연습 행정쟁송법(압축이론.기본강의용)_위법한 부관에 대한 소송수단
Magic 실전연습 행정쟁송법(압축이론.기본강의용)_취소소송상 원고적격
Magic 실전연습 행정쟁송법(압축이론.기본강의용)_취소소송상 협의의 소익
Magic 실전연습 행정쟁송법(압축이론.기본강의용)_관련청구소송의 이송과 병합
Magic 실전연습 행정쟁송법(압축이론.기본강의용)_취소소송의 종료
Magic 실전연습 행정쟁송법(압축이론.기본강의용)_무효등확인소송
Magic 실전연습 행정쟁송법(압축이론.기본강의용)_부작위위법확인소송
Magic 실전연습 행정쟁송법(압축이론.기본강의용)_취소심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