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5경 설치와 도성
Ⅱ. 도성의 범위와 위상
Ⅲ. 천도와 지방통치
Ⅱ. 도성의 범위와 위상
Ⅲ. 천도와 지방통치
본문내용
사절단의 규모가 이른바 신라 협공 계획을 위한 외교 사절단 보다 커서 교역의 양도 증대하겠지만, 771년의 경우는 입경 인원이 40명밖에 되지 않았고, 입경을 하지 못하거나 조난을 당해 실질적인 교역의 이익이 많지 않았을 것이다. 따라서 무역의 이득을 얻었다는 대원의 세력과 동경 천도와 연관지는 것은 무리가 아닐까 생각된다.
가탐(730~805)의 『古今郡國志(고금군국지)』에 의하면 발해는 옛 고구려 지역에 남해부와 책성부를 비롯하여 압록부, 부여부를 설치하였다. 경덕왕 시기 신라 북방 영역 확장은 발해로 하여금 이 지역을 더욱 인식하게 했을 것이다. 이렇듯 동경과 남경은 일본 뿐 아니라 신라와의 관계에 있어서 그 중요성은 커져갔다. 776년에 일본으로 간 사신이 남해부 토호포에서 출발하였으니 그 이전에 남경이 설치되었고 지역의 통치를 강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상경 천도 이후에 흑수말갈의 독자적인 대당 외교가 그쳤듯이 문왕은 일본과 외교를 도모하고 신라와의 긴장 관계를 지속했던 상황에서 이 지역의 말갈을 통솔하고 신라를 대비하기 위해서도 동경으로 천도했을 것이다. 동경 천도 시기인 790년에 신라 원성왕이 내부 문제 타결을 위해 발해와의 대립 상황을 이용하여 사신을 파견하였음은 동경 천도의 배경을 짐작하게 한다. 886년 이 지역 말갈이 신라 북진에게 개별적으로 화통을 요청하였다. 이렇듯 발해 지방통치가 조금이라도 약화되면 그 통제를 벗어나는 말갈을 관할하는 것도 천도 목적의 하나라고 생각한다.
발해의 천도가 내부의 안정화 과정과 연계되었다면, 늘어난 영토와 복속된 말갈 등을 효율적으로 다스리기고 그 지역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천도했던 것도 그 배경에 하나일 것이다. 무왕~문왕 전기의 영역 내 거점에 설치된 5경은 문왕 전기인 740년대가 하한이라 생각해도 무리가 아니라 하였다. 그리고 발해 영토에서 어느 정도 치우친 서경과 남경을 제외한 상경과 동경으로 천도를 하여 지역 지배 기반을 강화시켰다. 5경 설치 이전이지만 구국에서 중경 천도도 이 같은 배경이 큰 작용을 했으리라 판단된다. 이러한 천도를 통해 발해는 다른 부나 현성과는 크기와 위상에서 큰 차이가 나는 도성을 조성하였다. 도성의 정치, 문화, 경제적 위상은 5경으로서의 중경, 상경, 동경보다 지방통치 기능을 배가시켰을 것이다. 또한 도성의 방어체제와 연계시킨 교통로와 수로체계를 각 도성들과 연결시킴으로써 지방통치체제를 더욱 강화시켰던 것이다.
가탐(730~805)의 『古今郡國志(고금군국지)』에 의하면 발해는 옛 고구려 지역에 남해부와 책성부를 비롯하여 압록부, 부여부를 설치하였다. 경덕왕 시기 신라 북방 영역 확장은 발해로 하여금 이 지역을 더욱 인식하게 했을 것이다. 이렇듯 동경과 남경은 일본 뿐 아니라 신라와의 관계에 있어서 그 중요성은 커져갔다. 776년에 일본으로 간 사신이 남해부 토호포에서 출발하였으니 그 이전에 남경이 설치되었고 지역의 통치를 강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상경 천도 이후에 흑수말갈의 독자적인 대당 외교가 그쳤듯이 문왕은 일본과 외교를 도모하고 신라와의 긴장 관계를 지속했던 상황에서 이 지역의 말갈을 통솔하고 신라를 대비하기 위해서도 동경으로 천도했을 것이다. 동경 천도 시기인 790년에 신라 원성왕이 내부 문제 타결을 위해 발해와의 대립 상황을 이용하여 사신을 파견하였음은 동경 천도의 배경을 짐작하게 한다. 886년 이 지역 말갈이 신라 북진에게 개별적으로 화통을 요청하였다. 이렇듯 발해 지방통치가 조금이라도 약화되면 그 통제를 벗어나는 말갈을 관할하는 것도 천도 목적의 하나라고 생각한다.
발해의 천도가 내부의 안정화 과정과 연계되었다면, 늘어난 영토와 복속된 말갈 등을 효율적으로 다스리기고 그 지역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천도했던 것도 그 배경에 하나일 것이다. 무왕~문왕 전기의 영역 내 거점에 설치된 5경은 문왕 전기인 740년대가 하한이라 생각해도 무리가 아니라 하였다. 그리고 발해 영토에서 어느 정도 치우친 서경과 남경을 제외한 상경과 동경으로 천도를 하여 지역 지배 기반을 강화시켰다. 5경 설치 이전이지만 구국에서 중경 천도도 이 같은 배경이 큰 작용을 했으리라 판단된다. 이러한 천도를 통해 발해는 다른 부나 현성과는 크기와 위상에서 큰 차이가 나는 도성을 조성하였다. 도성의 정치, 문화, 경제적 위상은 5경으로서의 중경, 상경, 동경보다 지방통치 기능을 배가시켰을 것이다. 또한 도성의 방어체제와 연계시킨 교통로와 수로체계를 각 도성들과 연결시킴으로써 지방통치체제를 더욱 강화시켰던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