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심리학]_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와 현재 나의 발달단계의 과제와 성취여부 평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발달심리학]_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와 현재 나의 발달단계의 과제와 성취여부 평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발달의 개념

2.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와 현재 나의 발달단계의 과제와 성취여부

3. 자신의 발달에 대한 평가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음으로 자율성 대 수치감에서는 자율성을 획득하게 되었다. 부모님은 나에게 관심이 없어 방임에 가깝긴 했지만 배변 훈련이든 식사 예절이든 허용적으로 내버려두고 과도하게 통제하려고 하지 않았기 때문에 자율성을 형성할 수 있었다. 주도성 대 죄의식 단계에서는 주도성을 성취했다. 그 시기에 나는 피아노를 놀이로 인식하며 연주하였는데 대부분의 시간은 피아노 앞에서 보냈기 때문에 예민하고 감각적인 기질에 맞는 나만의 세계를 형성해갈 수 있었다. 근면성 대 열등감 단계에서는 근면성을 획득할 수 있었는데 이것은 열심히 공부하면 선생님들, 주위 친구들에게 인정받을 수 있다는 강화 덕분이었다. 집에서는 무엇을 해도 애정과 관심을 받기 어려웠기 때문에 나는 학교에서 더 필사적으로 성취하기 위해 노력했고 학업적으로 성과를 내면서 근면성을 내재화시키는데 성공할 수 있었다. 그러나 다음 청소년기에서는 자아정체감을 획득하는데 실패하였다. 그 이유는 모범적인 학생이 되는 것에는 성공했지만 진짜 ‘내가 누구인지?’ ,‘내가 무엇을 원하는지’를 깊이 탐구해 볼 기회는 전혀 없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자아 역할 혼란으로 인해 성인이 돼서도 우울증을 앓을 만큼 정신적으로 힘들었고 많은 슬럼프와 시행착오를 겪은 결과 30대가 지나서야 나를 온전히 받아들이고 편한 마음을 가질 수 있었다. 다음으로 친밀성 대 고립감 단계에서는 결혼을 하고 가정을 꾸림으로 배우자를 기반으로 한 친밀성을 획득할 수 있었다.
Ⅲ. 결론
이번 과제를 수행하며 내가 사회적으로 온전히 기능하는 성인이 되기까지 어떤 발달 과정을 밟아왔는지 돌이켜 볼 수 있어서 좋았다. 여타 다른 발달 이론과 마찬가지로 에릭슨의 이론에서도 자율성, 친밀감, 근면성, 친밀감등의 중요한 특성들이 성장기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기간의 가정과 사회의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고 생각한다. 개인적으로는 그 시기에 올바른 과업을 성취하지 못했을 경우 성인이 되어서의 어려움을 어떻게 극복하거나 도움을 얻을 수 있을지 더 연구해보면 좋을 것 같다고 느꼈다.
Ⅳ. 참고문헌
정옥분, 「전 생애 인간발달의 이론」, 학지사, 2007, pp.74-75
오윤선, 「인간의 심리학적 이해」, 예영커뮤니케이션, 2007, p.105
임창제, 「유아 심리측정」, 학문사, 200, p.430
조아라, 「에릭슨의 생애주기 발달 단계에서 바라본 교회 내 선교교육 프로그램」,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2011, pp.36-45
  • 가격4,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2.08.12
  • 저작시기202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84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