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신체운동‧건강 영역에 명시된 건강 및 안전교육의 내용과 그 의미를 서술하시오. (20점)
2. 다음과 같은 내용의 학부모 상담 요청에 대한 교사의 답변을 작성하시오. (25점)
<학부모의 상담 요청 내용>
세 살과 두 살 연년생 남매를 둔 가정주부입니다. 남편과 양육관이 달라 고민입니다. 특히 스마트폰 문제로 다툴 때가 많습니다. 남편에게 아이들과 놀아 주라고 하면 주로 스마트폰을 보여 줍니다. 아이들에게 스마트폰이 해로울 수 있다고 설명해도 소용없습니다. 남편은 되려 무엇이든 못 하게 할수록 아이들의 반작용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아이들이 점점 더 스마트폰에 빠져들까 걱정입니다.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정보화진흥원(2019).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 가이드라인 매뉴얼: 영유아 보호자용. p. 6 재구성.
3. 아동학대 또는 성폭력과 관련된 그림책을 한 권 선정하고, 그 그림책을 활용한 안전교육활동계획안을 작성하시오. (25점)
2. 다음과 같은 내용의 학부모 상담 요청에 대한 교사의 답변을 작성하시오. (25점)
<학부모의 상담 요청 내용>
세 살과 두 살 연년생 남매를 둔 가정주부입니다. 남편과 양육관이 달라 고민입니다. 특히 스마트폰 문제로 다툴 때가 많습니다. 남편에게 아이들과 놀아 주라고 하면 주로 스마트폰을 보여 줍니다. 아이들에게 스마트폰이 해로울 수 있다고 설명해도 소용없습니다. 남편은 되려 무엇이든 못 하게 할수록 아이들의 반작용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아이들이 점점 더 스마트폰에 빠져들까 걱정입니다.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정보화진흥원(2019).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 가이드라인 매뉴얼: 영유아 보호자용. p. 6 재구성.
3. 아동학대 또는 성폭력과 관련된 그림책을 한 권 선정하고, 그 그림책을 활용한 안전교육활동계획안을 작성하시오. (25점)
본문내용
을까?
- 요새에 숨은 아이를 보며 엄마는 어떤 생각을 했을까?
- 다른 곳으로 간 후의 엄마와 아이는 어떤 기분이었을까?
④ 아이와 엄마의 상황에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이 있는지 이야기 나눈다.
- 늑대가 소리를 지르고 물건을 던졌을 때 엄마는 어떻게 해야 했을까?
- 늑대가 멍을 만들었을 때 아이는 어떻게 해야 했을까?
- 아이는 엄마에게 늑대가 멍을 만든다고 이야기하지 않은 이유가 무엇
이었을까? 이렇게 말하지 않아야 할까?
- 아이가 요새를 만들어 들어갔을 때 엄마는 어떻게 해야 했을까?
- 늑대처럼 다른 사람이나 가족 중 누군가 나에게 소리를 지르고
멍을 만들면 어떻게 해야 할까?
- 다른 사람이나 가족 중 누군가가 나에게 이렇게 나쁜 행동을 한다면
누구에게 알려야 할까?
⑤ 학대 상황을 알려야 함을 안다.
- 이렇게 누군가가 나에게 나쁜 행동을 하면 주변 어른에게 알려야
해요. 부모님이나 선생님, 경찰 같은 어른들에게 알려서 도움을
요청해야 해요.
- 책에서의 아이처럼 요새에 들어가고 싶어질 수 있지만, 내가 지금
어떤 상황인지 어른들에게 알려야 어른들이 도움을 줄 수 있어요.
- 앞으로 누군가 나에게 나쁜 행동을 한다면 주변 어른들에게 알리기로
약속해요.
⑥ ‘우리 집에 늑대가 살아요’ 역할극을 한다.
- 역할을 정하여 ‘우리 집에 늑대가 살아요’의 주인공들이 되어보는
놀이를 하려고 해요. 우리가 엄마, 아이가 되어서 늑대에게 어떤 말을
하고 싶은지 자유롭게 말해도 되고, 엄마와 아이가 어떤 행동을 했으
면 좋겠는지 자유롭게 역할 놀이를 해보도록 해요.
- 누가 늑대가 되어볼까?
- 엄마 역할은 누가 해볼까?
- 아이는 누가 되어볼까?
- (늑대가 책에 있는 행동을 한다) 늑대에게 하고 싶은 말을 해보자.
- (아이역할에게) 엄마에게 하고 싶은 말을 해보자.
- (엄마역할에게) 아이에게 하고 싶은 말을 해보자.
- (역할극이 끝나고 아이역할에게) 기분이 어땠니? 어떻게 하고 싶었니?
- (역할극이 끝나고 엄마역할에게) 기분이 어땠니? 어떻게 하고 싶었니?
- (역할극이 끝나고 늑대역할에게) 기분이 어땠니? 어떻게 하고 싶었니?
⑦ 지금까지의 활동을 평가하고 마무리한다.
- ‘우리 집에 늑대가 살아요’ 책을 함께 읽고 활동을 했는데 어땠니?
- 책의 내용이랑 역할극을 보면서 어떤 점을 새롭게 알게 되었니?
- 나쁜 행동을 하는 어른이 있을 때 주변에 도움을 요청해야 하는 이유
를 알게 되었니?
- 나쁜 행동을 하는 어른이 있다면 부모님이나 선생님, 경찰분들과 같은
어른들에게 이야기할 수 있겠니?
확장/연계활동
① 역할영역을 연계함으로써 자유롭게 역할놀이 할 수 있다.
② 역할영역을 연계함으로써 다양한 역할을 해보고, 상황 또한 다르게 설정하여 다양한 느낌을 언어로 표현하며 서로의 생각을 나눌 수 있다.
③ 유괴나 성폭력과 같은 상황에 처했을 때의 대처방법과 연계하여 볼 수
있다.
유의사항
① 교사는 학대 상황에 대한 경계심을 유아가 느낄 수 있도록 상황에
맞는 내용을 반복적으로 설명하며, 이에 대한 내용을 일관성 있게
이야기 해야 한다.
② 되도록 늑대의 역할을 교사가 맡아 엄마와 아이의 입장에서 유아들이
대처하는 방법을 생각하고 배울 수 있도록 한다.
③ 늑대의 나쁜 행동을 어른들에게 말하고 도움을 요청하는 일이 창피하
거나 나쁜 것이 아닌 용기 있는 행동이라는 것을 알려주며 유아들이
이를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해야 한다.
④ ‘우리 집에 늑대가 살아요’ 그림책의 내용이 재혼가정에 부정적인 이
미지를 포함하고 있어, 나쁜 행동을 하는 늑대의 존재가 재혼가정이기
에 나타난 문제가 아니라는 것을 지속적으로 염두하면서 지도해야
한다.
④ 아무리 친하고 가까운 사이의 어른이라도 늑대와 같은 행동을 유아에
게 하는 것은 잘못된 행동이라는 것과 이런 상황에서 유아가 거부의사
를 표현하고 주변에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는 것을 지도해야 한다.
평가
- 유아가 학대 상황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유아가 학대 상황이 발생했을 때 대처(도움 요청)할 수 있다.
참고문헌
문제 1번은 교육부·보건복지부(2019).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를 참고하여 작성.
문제 2번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정보화진흥원(2019).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 가이드라인 매뉴얼: 영유아 보호자용을 참고하여 작성.
문제 3번 그림책 : 발레리 퐁텐(Valerie Fontaine)(2020). 우리 집에 늑대가 살아요. 두레아이들.
- 요새에 숨은 아이를 보며 엄마는 어떤 생각을 했을까?
- 다른 곳으로 간 후의 엄마와 아이는 어떤 기분이었을까?
④ 아이와 엄마의 상황에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이 있는지 이야기 나눈다.
- 늑대가 소리를 지르고 물건을 던졌을 때 엄마는 어떻게 해야 했을까?
- 늑대가 멍을 만들었을 때 아이는 어떻게 해야 했을까?
- 아이는 엄마에게 늑대가 멍을 만든다고 이야기하지 않은 이유가 무엇
이었을까? 이렇게 말하지 않아야 할까?
- 아이가 요새를 만들어 들어갔을 때 엄마는 어떻게 해야 했을까?
- 늑대처럼 다른 사람이나 가족 중 누군가 나에게 소리를 지르고
멍을 만들면 어떻게 해야 할까?
- 다른 사람이나 가족 중 누군가가 나에게 이렇게 나쁜 행동을 한다면
누구에게 알려야 할까?
⑤ 학대 상황을 알려야 함을 안다.
- 이렇게 누군가가 나에게 나쁜 행동을 하면 주변 어른에게 알려야
해요. 부모님이나 선생님, 경찰 같은 어른들에게 알려서 도움을
요청해야 해요.
- 책에서의 아이처럼 요새에 들어가고 싶어질 수 있지만, 내가 지금
어떤 상황인지 어른들에게 알려야 어른들이 도움을 줄 수 있어요.
- 앞으로 누군가 나에게 나쁜 행동을 한다면 주변 어른들에게 알리기로
약속해요.
⑥ ‘우리 집에 늑대가 살아요’ 역할극을 한다.
- 역할을 정하여 ‘우리 집에 늑대가 살아요’의 주인공들이 되어보는
놀이를 하려고 해요. 우리가 엄마, 아이가 되어서 늑대에게 어떤 말을
하고 싶은지 자유롭게 말해도 되고, 엄마와 아이가 어떤 행동을 했으
면 좋겠는지 자유롭게 역할 놀이를 해보도록 해요.
- 누가 늑대가 되어볼까?
- 엄마 역할은 누가 해볼까?
- 아이는 누가 되어볼까?
- (늑대가 책에 있는 행동을 한다) 늑대에게 하고 싶은 말을 해보자.
- (아이역할에게) 엄마에게 하고 싶은 말을 해보자.
- (엄마역할에게) 아이에게 하고 싶은 말을 해보자.
- (역할극이 끝나고 아이역할에게) 기분이 어땠니? 어떻게 하고 싶었니?
- (역할극이 끝나고 엄마역할에게) 기분이 어땠니? 어떻게 하고 싶었니?
- (역할극이 끝나고 늑대역할에게) 기분이 어땠니? 어떻게 하고 싶었니?
⑦ 지금까지의 활동을 평가하고 마무리한다.
- ‘우리 집에 늑대가 살아요’ 책을 함께 읽고 활동을 했는데 어땠니?
- 책의 내용이랑 역할극을 보면서 어떤 점을 새롭게 알게 되었니?
- 나쁜 행동을 하는 어른이 있을 때 주변에 도움을 요청해야 하는 이유
를 알게 되었니?
- 나쁜 행동을 하는 어른이 있다면 부모님이나 선생님, 경찰분들과 같은
어른들에게 이야기할 수 있겠니?
확장/연계활동
① 역할영역을 연계함으로써 자유롭게 역할놀이 할 수 있다.
② 역할영역을 연계함으로써 다양한 역할을 해보고, 상황 또한 다르게 설정하여 다양한 느낌을 언어로 표현하며 서로의 생각을 나눌 수 있다.
③ 유괴나 성폭력과 같은 상황에 처했을 때의 대처방법과 연계하여 볼 수
있다.
유의사항
① 교사는 학대 상황에 대한 경계심을 유아가 느낄 수 있도록 상황에
맞는 내용을 반복적으로 설명하며, 이에 대한 내용을 일관성 있게
이야기 해야 한다.
② 되도록 늑대의 역할을 교사가 맡아 엄마와 아이의 입장에서 유아들이
대처하는 방법을 생각하고 배울 수 있도록 한다.
③ 늑대의 나쁜 행동을 어른들에게 말하고 도움을 요청하는 일이 창피하
거나 나쁜 것이 아닌 용기 있는 행동이라는 것을 알려주며 유아들이
이를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해야 한다.
④ ‘우리 집에 늑대가 살아요’ 그림책의 내용이 재혼가정에 부정적인 이
미지를 포함하고 있어, 나쁜 행동을 하는 늑대의 존재가 재혼가정이기
에 나타난 문제가 아니라는 것을 지속적으로 염두하면서 지도해야
한다.
④ 아무리 친하고 가까운 사이의 어른이라도 늑대와 같은 행동을 유아에
게 하는 것은 잘못된 행동이라는 것과 이런 상황에서 유아가 거부의사
를 표현하고 주변에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는 것을 지도해야 한다.
평가
- 유아가 학대 상황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유아가 학대 상황이 발생했을 때 대처(도움 요청)할 수 있다.
참고문헌
문제 1번은 교육부·보건복지부(2019).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를 참고하여 작성.
문제 2번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정보화진흥원(2019).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 가이드라인 매뉴얼: 영유아 보호자용을 참고하여 작성.
문제 3번 그림책 : 발레리 퐁텐(Valerie Fontaine)(2020). 우리 집에 늑대가 살아요. 두레아이들.
추천자료
유아교육론, 누리과정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목표와 내용,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고(15점), ...
2021년 1학기 유아건강교육 기말시험 과제물(2019 개정 누리과정의 신체운동&amp;8231건...
유아건강교육
[2021 유아건강교육][기말시험] 1.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신체운동‧건강 영역에 명시된 건강 ...
유아건강교육 )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신체운동‧건강 영역에 명시된 건강 및 안전교육의 내용...
2유아건강교육 )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신체운동‧건강 영역에 명시된 건강 및 안전교육의 내...
유아건강교육 )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신체운동‧건강 영역에 명시된 건강 및 안전교육의 내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