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교육 자료 21가지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부모교육 자료 21가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을 내기보다는 무엇 때문에 실수가 일어났고 그래서 어떻게 하면 되는지 방법을 알려주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서 \"팔 옆에 물 컵이 있는 것을 보지 못하였구나. 물이 쏟아졌네. 몰을 같이 닦자, 다음에 컵은 팔에 닿지 않는 곳에 놓아두자.\" 아이들은 같은 실수를 여러 번 하기 때문에 반복적으로 알려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익숙해지면 아이에게 \"엄마랑 어떻게 하기로 했었지?\" 라면서 아이가 엄마의 반복되는 말들을 떠올리고 행동할 수 있도록 하여서 스스로 연습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엄마의 목소리에 집중할 수 있도록 더 큰 행동으로 주의를 끌어야 합니다.
산만한 아이들은 적절한 곳에 주의를 잘 기울이는 방법이 서투른 아이들입니다. 그래서 때로는 너무 몰입하고 때로는 몰입하지 못하는 등의 행동을 보입니다. 하지만 너무 몰입하여서 엄마의 말을 잘 듣지 못할 때 엄마와 아이 사이 갈등도 많이 일어납니다. 그래서 아이가 너무 몰입하거나 흥분하여서 행동이 커질 때는 말로써 많이 제한하기보다 아이의 어깨를 잡거나 손을 잡는 등의 소리 이외에 더 큰 자극을 주어서 엄마에게 집중할 수 있도록 합니다.
19.집 안과 집 밖의 행동이 다른 우리 아이
아이들 중에는 집에서 더 잘하는 아이가 있기도 하고 밖에서 더 잘하는 아이가 있기도 합니다. 우리 아이는 어떤 경우인지 살펴보고 집과 어떻게 다른지 살펴봐야 합니다. 그리고 어떤 상황에서 다른지, 이유가 무엇인지 살펴봅니다. 흔히 집은 스트레스나 부담이 덜 하므로 아이들이 좀 더 편안한 마음을 갖습니다. 아이가 스트레스를 받을 때, 혹은 어떤 일을 시도하거나 좌절 상황에 마주하였을 때 어떤 모습을 보이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가능하다면 부모의 관찰과 더불어 아이의 의견을 들을 수 있으면 더 좋습니다.
집에서 어리광을 부리는 아이
① 밖에서 모습이 어떤지 살펴봅니다.
② 인지, 사회성 발달이 또래와 비슷하게 발달하는지 확인합니다.
③ ‘우리 아이가 밖에서 잘 생활하느라 집에서 힘들구나.’ 하고 이해하는 마음으로 바라볼 수 있습니다.
집에서만 잘하는 아이
① 규칙 지키기, 상호작용 및 욕구 조절하기 등 외부에서 어려운 모습이 보인다면 어떤 부분에서 어려워하는지 살펴봅니다.
② 왜 집에서와 다른지 이유를 찾아봅니다.
③ 아이와 이야기하고 집 안팎에서 다른 자녀의 모습을 확인했다면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지 결정해야 합니다.
④ 부모가 원하는 사람이 되도록 돕는 것이 아니라 아이가 자신이 누구인지 편안하게 느끼도록 돕는 것입니다.
대처 방법
① 아이와 역할 놀이를 합니다.
② 어려움을 느끼는 비슷한 상황을 가정합니다.
③ 부모-자녀 역할을 바꾸어서 해볼 수도 있습니다.
④ 훈육하는 무서운 분위기가 아닌 따뜻한 분위기로 아이가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는 메시지 전달이 중요합니다.
집 밖에서 일어나는 상황에 대해 파악하는 것은 쉬운 일은 아닙니다.
그러나 부모가 아이의 일에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소통하는 시간을 보낸 아이들은 건강하고 행복하게 지낼 것입니다. 아이의 모습이 또래와 비교했을 때 적절한 수준인지 확인하는 것이 어렵거나, 부모가 생각한 원인이나 대처가 적합한지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전문적인 도움을 받는 것도 추천해 드립니다.
20.폭력적인 아이 훈육하기
4세 아이는 발달의 전환점이 되는 시기로, 신체 조절 능력이 커지고 자기주장도 뚜렷해지면서 다양한 정서를 갖기 때문에 전과는 다른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아직 감정 표현을 완벽하게 하지 못하기 때문에 힘들거나 피곤할 때, 자기가 원하는 것을 하지 못할 때 과격하게 화를 내거나 흥분하기도 합니다.
특히, 자기 요구가 커지고 원하는 영역을 지키기 위해 폭력적인 모습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러한 부분은 언어가 느린 경우, 자기의 요구가 잘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등 감정을 표현하기 위한 행동일 수 있습니다. 부모의 반응이나 환경적으로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지 함께 살펴보아야 합니다.
문제 행동이 나타났을 때는?
기질적으로 더 예민하거나 충동적인 부분이 있을 수 있지만 원래부터 폭력적인 아이는 없습니다. 문제행동이 나타나게 되면 아이의 문제를 어떻게 잡아야 할지 고민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왜 그런 행동이 나타날까?’를 살펴봐야 합니다.
아이는 말로 자신의 행동을 설명하기 어렵고, 부모가 이야기하는 것을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때 아이의 행동을 반응하는 부모의 태도가 중요합니다. 여러 번 이야기할 수 있지만 아이의 입장에서 살펴보고 마음을 이해해 줘야 합니다.
아이의 마음을 어떻게 돌봐줘야 할까요?
① 아이 행동에 나타나는 감정이 무엇일지 생각해 봅니다.
② 아이가 폭력이나 소리를 지르는 타이밍을 관찰하고 사전 예방해야 합니다.
③ 적당히 무시하거나 감정을 말로 이야기해 줘야 합니다.
④ 엄마의 훈육 태도나 감정 표현을 점검해 봅니다.
⑤ 놀이와 동화책을 활용해 아이의 마음을 편안하게 만들어 줍니다.
아이의 폭력적인 행동은 어떻게 다루어주는지가 중요합니다.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고, 잘 반응해 주는 모습을 통해 아이는 자기의 감정을 폭력이 아닌 행동을 표현하고 조절할 수 있는 태도로 바꾸어나갈 것입니다.
21.질투가 너무 심한 아이
질투는 대개 18개월쯤 나타나기 시작해서 2~3세에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이후 상황에 대한 조망 능력과 판단 능력이 성숙해지면서 감소하지만 성인이 되어서도 상황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감정입니다. 질투라는 감정이 잘 승화된다면 발전을 위한 원동력이 될 수 있습니다.
[질투하는 마음 알아주기]
1. 편애를 버리고 시기심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상대적으로 사랑받지 못하거나 인정받지 못하는 아이는 반대의 성향인 아이에게 질투를 느낍니다. 애정 어린 눈빛과 칭찬으로 사랑해주고 인정해주어야 합니다.
2. 아이의 고유함을 존중하고 격려하기
-각자의 다름과 특성을 존중하고 격려해야 합니다. 각각의 고유한 특성에 번호를 매기고 열을 세운다면 서로가 경쟁자가 되고 나보다 더 나은 아이에게 질투를 느끼게 됩니다.
3. 부러운 마음을 그대로 인정하고 함께 나누기
-아이가 부러워하는 마음을 외면하거나 무마시키기보다 아이의 아쉬운 마음을 함께 나누며 다독여 주세요.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23.01.22
  • 저작시기2023.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37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