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세르베투스 사건
3. 칼뱅과 양심의 자유
1) 기독교 강요에 따른 양심의 자유
2) 칼뱅의 이단론
4. 카스텔리오과 양심의 자유
1) 카스텔리오의 이단론
2) 카스텔리오의 관용론
5. 결 론
6. 참고문헌
2. 세르베투스 사건
3. 칼뱅과 양심의 자유
1) 기독교 강요에 따른 양심의 자유
2) 칼뱅의 이단론
4. 카스텔리오과 양심의 자유
1) 카스텔리오의 이단론
2) 카스텔리오의 관용론
5. 결 론
6. 참고문헌
본문내용
랑이란 교리는 명백하다고 주장한다. 참 교회의 표지란 교리수호를 위한 의심스런 박해가 아니라 사랑이라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카스텔리오의 일관된 주장은 신앙이 다르다는 이유로 사람을 죽여서는 안된다는것이다. 사람을 죽이는 것은 교리를 수호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을 죽이는 것이다. 카스텔리오는 교황파의 박해와 제네바의 박해가 결코 다르지 않다고 말하면서 세르베투스를 죽인 것은 교리를 수호한 것이 아니라 한 사람을 죽인 것에 불과하다고 지적한다. 만일 다르게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면 인내로 그의 생각을 바꾸게 해야지 죽여서는 안된다.
콘스탄틴주의(Constantinism) 사회라고 부르는 시대에서 교회와 세속 당국은 이단을 합법적으로 처벌했다. 16세기 유럽 사회도 여전히 동일했다. 종교개혁도 이와 같은 틀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세르베투스는 이와 같은 사회에서 그 사회의 문화적 양상에 따라 합법적으로 죽었다. 이 과정에서 칼뱅은 주도적인 인물로 나타났고, 이단 처형을 정당하게 여겼다.
카스텔리오는 이러한 불관용의 시대에 관용의 수호자였다.
결 론
이 소고에서 카톨릭에서 양심의 자유를 외치며 분파한 프로테스탄트가 정치-사회적인 현실에 자리를 잡는 과정에서 자신들이 비판했던 불관용의 태도로 돌아서게 되는지의 과정을 살펴보았다. 텍스트의 해석에 대한 권리를 전통과 교황중심의 체제에서 만인에게 되돌려준 프로테스탄트는 해석의 자유가 가져다준 위험성을 스스로 실감했다. 그리고 스스로 가져온 이 양심의 자유를 제한함으로 현실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자신들이 가져온 새로운 자유의 시대를 스스로 피로 물들이는 결과를 초래하고야 말았다.
대부부의 교리논쟁은 성경 그 자체에 대한 논쟁이라기보다 해석을 둘러싼 논쟁이다. 해석이란 언제나 실천을 담보로 하는 것이라고 가정할 때, 텍스트에 대한 해석 그 자체를 절대화하는 태도는 자칫 폐쇄성의 노예가 될 가능성이 많다. 텍스트에 대한 해석이 열려있다는 사실을 우리는 인정해야만 한다. 해석은 언제나 한 쪽으로는 해석의 틀이 되는 어떤 선이해와 연결이 되어 있고, 동시에 반대쪽으로는 그 텍스트를 해석하는 해석자가 위치한 현실과 연결이 되어 있다. 선이해와 해석자의 위치에 따라 해석의 차이가 발생될 수 있다면 해석은 언제나 열려있는 상태로 존재해야만 한다.
만일 해석의 이러한 성격을 이해한다면, 해석과 해석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은 관용의 영역이다. 현실적으로 교회가 닫힌 계 안에서 운영이 되는 공동체라는 점을 감안한다하더라도 다른 해석의 가능성을 인정하고, 해석의 차이를 인정하기 어려울 정도로 다른 해석에 대해서는 공동체로부터의 공식적인 추방- 파문 혹은 출교-이 임계점이 되리라 생각한다. 생각이 다르다는 이유로-그것이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방법과 수단을 거쳤다하더라도- 누군가의 생명을 처벌할 수 있다면, 그것은 교화라는 명목 아래 벌어지는 또 다른 폭력일 뿐이다.
세르베투스 화형 사건에 대해 일부 학자들은 당시 칼뱅의 지위와 영향력은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세르베투스 재판에 대해 칼뱅이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이 불가능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과연 당시 칼뱅의 영향력이 제네바에서 어떠했는지에 대해서는 객관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미 칼뱅은 1541년 제 2차 제네바 개혁 당시 시의회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으며 입성하게 된다. 그리고 칼뱅 자신이 제네바를 개혁하기 위해 시민의 법적의무와 도덕적 회복을 위해서 교회의 권징과 치리권의 범위가 시의회원 등을 포괄하는 광범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는 사실을 인정한다면, 세르베투스 사건에서의 칼뱅의 역할과 책임을 회피하지는 못할 것으로 보인다.
자유란 언제나 위태롭기 때문에 아름다운 것일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한 프로테스탄트는 자유가 가져온 위태로움을 피하기 위해 더 커다란 위태로움으로 자리바꿈을 시도하면서 시대의 한계에 봉착하게 되었다.
참고문헌
Abraham Kuyper, Lectures on Calvinism, 김기찬譯, 「칼빈주의 강연」(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1997)
John Calvin, Christianae Religionis Institutio, Ford Lewis Battles, \"서론\", 양낙홍譯, 「기독교강요: 1536 초판」(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6)
Richard Stauffer, L\' HUMANITE\' DE CALVIN, 박건택譯, 「인간 칼빈: 남편¡아버지¡친구¡목회자로서의 인간 칼빈」(서울: 엠마오, 1989)
Roland H. Bainton, Christendom: A Short History of Christianity and It\'s Impact on Western Civilization, 이길상譯, 「기독교의역사」(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1997)
__________________, The Reformation of the Sixteen Century, 서영일譯, 「16세기의 종교개혁」(서울:은성출판사, 1992)
W. Stanford Reid, John Calvin: His Influence in the Western World, 홍치모¡이훈영, 「칼빈이 서양에 끼친 영향」(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1994)
Sebastien Castellion, De haereticis an sint persequendi, 박건택編, \"이단론\",「종개개혁 사상선집」(서울: 개혁주의신행협회, 2000)
Stefan Zweig, Castellio gegen Calvin oder Ein Gewissen die Gewalt, 안인희譯, 「폭력에 대항한 양심: 칼뱅에 맞선 카스텔리오」(서울: 자작나무, 1998)
박건택, 「종개개혁사상선집」, (서울: 개혁주의신행협회, 2000)
______, 「칼뱅작품선집Ⅰ:세네카 관용론 주석」(서울: 총신대출판부, 1998)
______, \"칼뱅의 기독교 강요에 따른 그리스도인의 자유\", 신학지남, 1995/가을
______, \"칼뱅의 니고데모파와 이 논쟁에 나타난 진리와 자유\", 신학지남, 1996/겨울
______, \"칼뱅과 카스텔리옹에 있어서 양심의 자유\", 신학지남, 1999/여름
무엇보다도 카스텔리오의 일관된 주장은 신앙이 다르다는 이유로 사람을 죽여서는 안된다는것이다. 사람을 죽이는 것은 교리를 수호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을 죽이는 것이다. 카스텔리오는 교황파의 박해와 제네바의 박해가 결코 다르지 않다고 말하면서 세르베투스를 죽인 것은 교리를 수호한 것이 아니라 한 사람을 죽인 것에 불과하다고 지적한다. 만일 다르게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면 인내로 그의 생각을 바꾸게 해야지 죽여서는 안된다.
콘스탄틴주의(Constantinism) 사회라고 부르는 시대에서 교회와 세속 당국은 이단을 합법적으로 처벌했다. 16세기 유럽 사회도 여전히 동일했다. 종교개혁도 이와 같은 틀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세르베투스는 이와 같은 사회에서 그 사회의 문화적 양상에 따라 합법적으로 죽었다. 이 과정에서 칼뱅은 주도적인 인물로 나타났고, 이단 처형을 정당하게 여겼다.
카스텔리오는 이러한 불관용의 시대에 관용의 수호자였다.
결 론
이 소고에서 카톨릭에서 양심의 자유를 외치며 분파한 프로테스탄트가 정치-사회적인 현실에 자리를 잡는 과정에서 자신들이 비판했던 불관용의 태도로 돌아서게 되는지의 과정을 살펴보았다. 텍스트의 해석에 대한 권리를 전통과 교황중심의 체제에서 만인에게 되돌려준 프로테스탄트는 해석의 자유가 가져다준 위험성을 스스로 실감했다. 그리고 스스로 가져온 이 양심의 자유를 제한함으로 현실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자신들이 가져온 새로운 자유의 시대를 스스로 피로 물들이는 결과를 초래하고야 말았다.
대부부의 교리논쟁은 성경 그 자체에 대한 논쟁이라기보다 해석을 둘러싼 논쟁이다. 해석이란 언제나 실천을 담보로 하는 것이라고 가정할 때, 텍스트에 대한 해석 그 자체를 절대화하는 태도는 자칫 폐쇄성의 노예가 될 가능성이 많다. 텍스트에 대한 해석이 열려있다는 사실을 우리는 인정해야만 한다. 해석은 언제나 한 쪽으로는 해석의 틀이 되는 어떤 선이해와 연결이 되어 있고, 동시에 반대쪽으로는 그 텍스트를 해석하는 해석자가 위치한 현실과 연결이 되어 있다. 선이해와 해석자의 위치에 따라 해석의 차이가 발생될 수 있다면 해석은 언제나 열려있는 상태로 존재해야만 한다.
만일 해석의 이러한 성격을 이해한다면, 해석과 해석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은 관용의 영역이다. 현실적으로 교회가 닫힌 계 안에서 운영이 되는 공동체라는 점을 감안한다하더라도 다른 해석의 가능성을 인정하고, 해석의 차이를 인정하기 어려울 정도로 다른 해석에 대해서는 공동체로부터의 공식적인 추방- 파문 혹은 출교-이 임계점이 되리라 생각한다. 생각이 다르다는 이유로-그것이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방법과 수단을 거쳤다하더라도- 누군가의 생명을 처벌할 수 있다면, 그것은 교화라는 명목 아래 벌어지는 또 다른 폭력일 뿐이다.
세르베투스 화형 사건에 대해 일부 학자들은 당시 칼뱅의 지위와 영향력은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세르베투스 재판에 대해 칼뱅이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이 불가능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과연 당시 칼뱅의 영향력이 제네바에서 어떠했는지에 대해서는 객관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미 칼뱅은 1541년 제 2차 제네바 개혁 당시 시의회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으며 입성하게 된다. 그리고 칼뱅 자신이 제네바를 개혁하기 위해 시민의 법적의무와 도덕적 회복을 위해서 교회의 권징과 치리권의 범위가 시의회원 등을 포괄하는 광범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는 사실을 인정한다면, 세르베투스 사건에서의 칼뱅의 역할과 책임을 회피하지는 못할 것으로 보인다.
자유란 언제나 위태롭기 때문에 아름다운 것일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한 프로테스탄트는 자유가 가져온 위태로움을 피하기 위해 더 커다란 위태로움으로 자리바꿈을 시도하면서 시대의 한계에 봉착하게 되었다.
참고문헌
Abraham Kuyper, Lectures on Calvinism, 김기찬譯, 「칼빈주의 강연」(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1997)
John Calvin, Christianae Religionis Institutio, Ford Lewis Battles, \"서론\", 양낙홍譯, 「기독교강요: 1536 초판」(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6)
Richard Stauffer, L\' HUMANITE\' DE CALVIN, 박건택譯, 「인간 칼빈: 남편¡아버지¡친구¡목회자로서의 인간 칼빈」(서울: 엠마오, 1989)
Roland H. Bainton, Christendom: A Short History of Christianity and It\'s Impact on Western Civilization, 이길상譯, 「기독교의역사」(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1997)
__________________, The Reformation of the Sixteen Century, 서영일譯, 「16세기의 종교개혁」(서울:은성출판사, 1992)
W. Stanford Reid, John Calvin: His Influence in the Western World, 홍치모¡이훈영, 「칼빈이 서양에 끼친 영향」(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1994)
Sebastien Castellion, De haereticis an sint persequendi, 박건택編, \"이단론\",「종개개혁 사상선집」(서울: 개혁주의신행협회, 2000)
Stefan Zweig, Castellio gegen Calvin oder Ein Gewissen die Gewalt, 안인희譯, 「폭력에 대항한 양심: 칼뱅에 맞선 카스텔리오」(서울: 자작나무, 1998)
박건택, 「종개개혁사상선집」, (서울: 개혁주의신행협회, 2000)
______, 「칼뱅작품선집Ⅰ:세네카 관용론 주석」(서울: 총신대출판부, 1998)
______, \"칼뱅의 기독교 강요에 따른 그리스도인의 자유\", 신학지남, 1995/가을
______, \"칼뱅의 니고데모파와 이 논쟁에 나타난 진리와 자유\", 신학지남, 1996/겨울
______, \"칼뱅과 카스텔리옹에 있어서 양심의 자유\", 신학지남, 1999/여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