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위험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2. 대상자가 사용하던 물건들(호출기, 소변기, 물, 지팡이 등)을 닿기 쉬운 위치에 둔다.
3. 대상자가 병실의 구조에 적응하도록 설명한다.
- 침상의 위치, 화장실의 위치, 간호사실의 위치 등
4. 대상자에게 처음가는 길, 혹은 이동 시 의료진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고 콜벨 사용방법을 교육한다.
교육/지속적 계획
5. 대상자와 가족에게 집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낙상 위험요소에 대해 교육한다.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집에 적응할 것을 제안한다.
- 모든 난간을 고정시킨다.
- 집의 내부/외부에서 모두 신발을 신을 수 있도록 한다. 등
<이론적 근거>
1. 내적, 외적 요소를 포함하는 표준 낙상 사정도구를 사용하여 낙상 이험수준과 차후 낙상 예정 조치를 결정한다.
1. 의료인은 낙상의 위험이 있는 대상자에 대해 인지할 필요학 있다. 의료인은 대상자의 안전을 증진시키고 낙상을 막기 위해서 행동을 수행할 책임이 있다.
2. 손이 닿는 위치에서 벗어난 침대 머리맡의 탁자에서 물건의 가져오려고 손을 뻗는 행위는 대상자의 균형을 방해하고 낙상의 위험을 일으킬 수 있다,
3. 대상자가 방의 구조에 적응할수록 사고의 위험이 줄어든다.
4. 콜벨 사용법을 교육함으로써 위험 상황을 즉시 대처 혹은 예방할 수 있도록한다.
5. 느슨하고 작은 융단은 미끄러지고 넘어지는 위험을 증가시킨다. 슬리퍼를 신거나 맨발로 는 것은 낙상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3. Nsg. Dx : 페기능 저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목표(goal)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감염의 징후나 증상을 경험하지 않는다.
기대되는 결과
(expected
outcomes)
대상자는 3일 이내에 감염예방법에 대해 2가지 이상 설명할 수 있다.
대상자는 3일 이내에 감염 증상 시 대처해야 할 방법에 대해 2가지 이상 설명할 수 있다.
계획(plan)
사정
1. 대상자의 체온 및 백혈구 수치를 모니터한다.
2. 호흡음의 특징, 기침, 가래 생성을 사정한다.
치료적 계획
1. 대상자에게 접촉 전, 후 손위생을 실시한다.
2. 대상자의 객담 배양 시 무균술을 적용한다.
3. 충분한 영양 섭취를 격려한다.
교육/지속적 계획
1. 감염의 징후와 증상에 대하여 대상자와 가족을 교육한다
- 체온 상승, 호흡수 증가 등
2. 필요시 항생제와 해열제를 투여한다.
<이론적 근거>
1. 늦은 오후나 밤에 발생하는 갑작스런 체온 상승은 주로 감염의 지표가 된다. 백혈구의 수치 상승은 전형적인 감염의지표이다.
2. 부잡음은 호흡기계의 감염을 나타낼 수 있다.
1. 손씻기는 감염관리의 가장 효과적인 방버이다.
2. 무균술을 통해 병원균의 침투를 막을 수 있다.
3.충분한 단백질, 비타민, 미네랄의 섭취는 면역기능 향상에 중요하다.
1. 대상자와 가족 교육을 통해서 부작용의 증상과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도록 한다.
2. 이러한 약들은 감염, 감염과 관련된 발열을 치료하는 데 쓰인다.
4) 학생이 계획한 간호중재를 수행하고 기록하시오.
영구적인 폐포 허탈과 관련된 비효율적호흡양상
1. 호흡수, 리듬, 깊이를 사정하였다.
- 매 듀티 시 활력징후 사정하였다. (맥박 산소포화도 포함)
BP
P
RR
BT
SPO2
7/18
116/70
77
18
36.3
95
7/19
133/77
81
18
36.1
96
7/20
130/84
64
20
36.5
97
7/21
110/74
91
16
36.3
99
7/22
123/82
70
18
36.2
99
2. 동맥혈가스분석결과를 모니터링 하였다.
- 7/12일자 검사결과 기록을 확인하였다.
검사
수치
참고치
PH
7.368
PCO2
41.9
38~52
PO2
24.5
28~48
HCO3
23.5
19~25
Base Excess(Ecf)
- 1.1
- 2.0 ~ 2.0
Base Excess(Blood)
- 1.2
- 2.0 ~ 2.0
02 content
4.1
total CO2
22.3
Hemoglobin
10.3
12-16
Hematocrit
31.9
37-47
O2 saturation
28.7
50-70
3. 적절한 호흡양상을 위해 반파울러와 고파울러 체위를 취해주었다.
- 매 바이탈 측정 시간마다 체위를 확인하고 필요시 반좌위를 취해주었다.
4. 심호흡을 유지하였다. .
- 입술 오므리기 호흡(이완 후 코로 숨을 들이쉬고 입술을 오므리며 내쉴 것을 설명함), 하품 설명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였다.
고령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1. 낙상위험을 증가시키는 위험요인에 대해 사정하였다.
- 대상자는 77세 고령의 환자로 낙상 고위험군이며, 보조이동기구로 지팡이로 사용하였다. 빠른 걸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뇨제를 사용하지 않아 화장실로 가는 이동 횟수는 3회/day로 많지 않은 편임을 확인하였다.
2. 대상자가 사용하던 물건들(호출기, 소변기, 물, 지팡이 등)을 닿기 쉬운 위치에 두었다.
- 매 활력징후 측정 시 대상자의 콜벨 줄을 머리맡 근처로 정리하였으며 지팡이를 머리맡 바로 의 벽에 정리하였다.
3. 대상자가 병실의 구조에 적응하도록 설명하였다.
- 대상자에게 병실의 위치와 호수, 배선실의 위치 등을 설명하고 도움이 필요할 시 알릴 것을 설명하였다.
페기능 저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1. 대상자의 체온 및 백혈구 수치를 모니터하였다.
- 매 듀티시 대상자의 활력징후, CBC 검사수치를 확인하였다.
2. 대상자에게 접촉 전, 후 손위생을 실시하였다.
3. 식사 중 필요시 충분한 영양 섭취를 격려하였다
4. 감염의 징후와 증상에 대하여 대상자에게 설명하였다.
- 대상자에게 활력징후 측정 시 체온 상승에 대한 감염의 위험을 설명하였다.
5) 간호평가 결과를 기록하시오.
대상자는 3일 안에 효과적인 투약 방법(네뷸라이져 사용법)에 대해 2가지 이상 설명하였다.
대상자는 2일 안에 효과적인 호흡법에 대해 1가지 이상 설명하였다.
대상자는 1일 안에 호흡곤란을 느낄 시 즉시 의료진을 부를 것을 설명하였다.
대상자는 최종적으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호흡곤란을 호소하지 않으며 효과적인 호흡양상을 유지하여 목표를 달성하였다.
2. 대상자가 사용하던 물건들(호출기, 소변기, 물, 지팡이 등)을 닿기 쉬운 위치에 둔다.
3. 대상자가 병실의 구조에 적응하도록 설명한다.
- 침상의 위치, 화장실의 위치, 간호사실의 위치 등
4. 대상자에게 처음가는 길, 혹은 이동 시 의료진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고 콜벨 사용방법을 교육한다.
교육/지속적 계획
5. 대상자와 가족에게 집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낙상 위험요소에 대해 교육한다.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집에 적응할 것을 제안한다.
- 모든 난간을 고정시킨다.
- 집의 내부/외부에서 모두 신발을 신을 수 있도록 한다. 등
<이론적 근거>
1. 내적, 외적 요소를 포함하는 표준 낙상 사정도구를 사용하여 낙상 이험수준과 차후 낙상 예정 조치를 결정한다.
1. 의료인은 낙상의 위험이 있는 대상자에 대해 인지할 필요학 있다. 의료인은 대상자의 안전을 증진시키고 낙상을 막기 위해서 행동을 수행할 책임이 있다.
2. 손이 닿는 위치에서 벗어난 침대 머리맡의 탁자에서 물건의 가져오려고 손을 뻗는 행위는 대상자의 균형을 방해하고 낙상의 위험을 일으킬 수 있다,
3. 대상자가 방의 구조에 적응할수록 사고의 위험이 줄어든다.
4. 콜벨 사용법을 교육함으로써 위험 상황을 즉시 대처 혹은 예방할 수 있도록한다.
5. 느슨하고 작은 융단은 미끄러지고 넘어지는 위험을 증가시킨다. 슬리퍼를 신거나 맨발로 는 것은 낙상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3. Nsg. Dx : 페기능 저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목표(goal)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감염의 징후나 증상을 경험하지 않는다.
기대되는 결과
(expected
outcomes)
대상자는 3일 이내에 감염예방법에 대해 2가지 이상 설명할 수 있다.
대상자는 3일 이내에 감염 증상 시 대처해야 할 방법에 대해 2가지 이상 설명할 수 있다.
계획(plan)
사정
1. 대상자의 체온 및 백혈구 수치를 모니터한다.
2. 호흡음의 특징, 기침, 가래 생성을 사정한다.
치료적 계획
1. 대상자에게 접촉 전, 후 손위생을 실시한다.
2. 대상자의 객담 배양 시 무균술을 적용한다.
3. 충분한 영양 섭취를 격려한다.
교육/지속적 계획
1. 감염의 징후와 증상에 대하여 대상자와 가족을 교육한다
- 체온 상승, 호흡수 증가 등
2. 필요시 항생제와 해열제를 투여한다.
<이론적 근거>
1. 늦은 오후나 밤에 발생하는 갑작스런 체온 상승은 주로 감염의 지표가 된다. 백혈구의 수치 상승은 전형적인 감염의지표이다.
2. 부잡음은 호흡기계의 감염을 나타낼 수 있다.
1. 손씻기는 감염관리의 가장 효과적인 방버이다.
2. 무균술을 통해 병원균의 침투를 막을 수 있다.
3.충분한 단백질, 비타민, 미네랄의 섭취는 면역기능 향상에 중요하다.
1. 대상자와 가족 교육을 통해서 부작용의 증상과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도록 한다.
2. 이러한 약들은 감염, 감염과 관련된 발열을 치료하는 데 쓰인다.
4) 학생이 계획한 간호중재를 수행하고 기록하시오.
영구적인 폐포 허탈과 관련된 비효율적호흡양상
1. 호흡수, 리듬, 깊이를 사정하였다.
- 매 듀티 시 활력징후 사정하였다. (맥박 산소포화도 포함)
BP
P
RR
BT
SPO2
7/18
116/70
77
18
36.3
95
7/19
133/77
81
18
36.1
96
7/20
130/84
64
20
36.5
97
7/21
110/74
91
16
36.3
99
7/22
123/82
70
18
36.2
99
2. 동맥혈가스분석결과를 모니터링 하였다.
- 7/12일자 검사결과 기록을 확인하였다.
검사
수치
참고치
PH
7.368
PCO2
41.9
38~52
PO2
24.5
28~48
HCO3
23.5
19~25
Base Excess(Ecf)
- 1.1
- 2.0 ~ 2.0
Base Excess(Blood)
- 1.2
- 2.0 ~ 2.0
02 content
4.1
total CO2
22.3
Hemoglobin
10.3
12-16
Hematocrit
31.9
37-47
O2 saturation
28.7
50-70
3. 적절한 호흡양상을 위해 반파울러와 고파울러 체위를 취해주었다.
- 매 바이탈 측정 시간마다 체위를 확인하고 필요시 반좌위를 취해주었다.
4. 심호흡을 유지하였다. .
- 입술 오므리기 호흡(이완 후 코로 숨을 들이쉬고 입술을 오므리며 내쉴 것을 설명함), 하품 설명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였다.
고령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1. 낙상위험을 증가시키는 위험요인에 대해 사정하였다.
- 대상자는 77세 고령의 환자로 낙상 고위험군이며, 보조이동기구로 지팡이로 사용하였다. 빠른 걸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뇨제를 사용하지 않아 화장실로 가는 이동 횟수는 3회/day로 많지 않은 편임을 확인하였다.
2. 대상자가 사용하던 물건들(호출기, 소변기, 물, 지팡이 등)을 닿기 쉬운 위치에 두었다.
- 매 활력징후 측정 시 대상자의 콜벨 줄을 머리맡 근처로 정리하였으며 지팡이를 머리맡 바로 의 벽에 정리하였다.
3. 대상자가 병실의 구조에 적응하도록 설명하였다.
- 대상자에게 병실의 위치와 호수, 배선실의 위치 등을 설명하고 도움이 필요할 시 알릴 것을 설명하였다.
페기능 저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1. 대상자의 체온 및 백혈구 수치를 모니터하였다.
- 매 듀티시 대상자의 활력징후, CBC 검사수치를 확인하였다.
2. 대상자에게 접촉 전, 후 손위생을 실시하였다.
3. 식사 중 필요시 충분한 영양 섭취를 격려하였다
4. 감염의 징후와 증상에 대하여 대상자에게 설명하였다.
- 대상자에게 활력징후 측정 시 체온 상승에 대한 감염의 위험을 설명하였다.
5) 간호평가 결과를 기록하시오.
대상자는 3일 안에 효과적인 투약 방법(네뷸라이져 사용법)에 대해 2가지 이상 설명하였다.
대상자는 2일 안에 효과적인 호흡법에 대해 1가지 이상 설명하였다.
대상자는 1일 안에 호흡곤란을 느낄 시 즉시 의료진을 부를 것을 설명하였다.
대상자는 최종적으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호흡곤란을 호소하지 않으며 효과적인 호흡양상을 유지하여 목표를 달성하였다.
추천자료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복부대동맥류)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코뼈골절)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협심증)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결장암)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한방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두개내출혈)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간암)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추간판 탈출증)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지역사회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동해시) [간호진단3개 & 간호과정 1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간경변증)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