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받은 여성간호학 난소낭종 케이스입니다. 진단5개 과정2개 입니다.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받은 여성간호학 난소낭종 케이스입니다. 진단5개 과정2개 입니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상자는 수술 후 24시간 내에 통증이 완화되어 NRS점수가 3점 이하로 감소한다.
대상자는 1일 내에 비약물적 통증경감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시행한다.
간호계획
(Plan)
수술 부위를 확인해 통증 정도를 사정한다.
대상자에게 전환활동 중 지지요법, 심호흡, 상상요법을 권장한다.
진통제가 투여되었음을 설명하여 예견되는 통증에 대한 공포를 감소시킨다.
IV PCA의 사용법과 부작용에 대해 교육한다.
대상자에게 편안한 체위를 취하도록 격려한다.
[이론적 근거]
1. 통증을 사정함으로서 통증의 정도를 평가할 수 있고 앞으로의 계획을 정할 수 있다.
2. 전환요법은 심리적 불안, 통증을 다른 곳으로 유도할 수 있다.
3. 진통제 투여로 인하여 통증이 경감되고 불안이 완화된다.
4. PCA의 교육으로 부작용인 오심과 구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PCA의 남용을 막을 수 있다.
5. 편안한 체위는 수술부위의 압력을 감소시켜 통증을 줄이는데 도움을 준다.
간호중재
(Intervention)
1. 수술 부위를 확인하며 통증 정도를 사정한다.
→15분 간격으로 수술 부위를 관찰하며 통증 정도와 양상을 사정함.
2. 대상자에게 전환활동 중 지지요법, 심호흡, 상상요법을 권장한다.
→비약물적 통증 경감에 대한 안내(지지요법, 심호흡, 상상요법)를 함.
3. 진통제가 투여되었음을 설명하여 예견되는 통증에 대한 공포를 감소시킨다.
→PCA로 적당량의 진통제가 48시간동안 자동으로 조절되어 들어간다는 것에 대하여 설명함.
4. IV PCA의 사용법과 부작용에 대해 교육한다.
→PCA의 올바른 사용법과 그에 따른 부작용에 대해 교육함.
5. 대상자에게 편안한 체위를 취하도록 격려한다.
→통증을 완화해주고 대상자를 안정시키는 편안한 체위를 취하도록 격려함.
평가
(Evaluation)
대상자는 수술 후 24시간 내에 통증 정도가 6점에서 2점으로 감소하였다고 말하였다. (단기목표 달성)
수술 후 병실에서도 대상자의 통증이 경감될 수 있도록 보호자가 옆에서 계속 말을 걸며 전환요법을 이용한다고 하였다. (단기목표 달성)
대상자는 퇴원 시 통증이 전혀 없다고 말하였다. (장기목표 달성)
Nsg. Dx: 전신마취와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 1 월 11 일)
주관적 자료
(Subjectve Data)
“목에 뭔가 껴있는 느낌에에요.”
“근데 가래는 안나와요.”
객관적 자료
(Objective Data)
-전신마취로 laparoscopic bilateral-oophorectomy 시행함
-POD 1일째
-호흡 시 쌕쌕거리는 소리남
-통증 때문에 심호흡과 기침을 어려워함
-얕은 호흡 관찰됨 24회/분
간호목표(Goal)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20회/분 내로 원활한 호흡을 한다.
기대되는 결과
(Expected outcomes)
[단기목표]
대상자는 24시간 내에 호흡 시 쌕쌕거리는 소리가 나지 않는다.
대상자는 2일 이내에 호흡수가 24회/분에서 20회/분을 유지한다.
간호계획
(Plan)
대상자의 V/S을 측정한다.
ABD binder(복대) 착용 후 EDBC를 격려한다.
3. 객담을 묽게 하기 위해 가습기를 틀어준다.
4. 대상자의 체위를 2~4시간마다 변경한다.
5. Semi-Fowler’s position자세를 취해준다.
6. 대상자에게 수술 후 심호흡, 기침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이론적 근거]
1.V/S은 대상자의 신체적 상태를 평가하는 매우 중요한 지표이다.
2. 심호흡과 기침은 대상자의 폐포 허탈을 방지하고 호흡기 분비물은 큰 기도로 이동시켜 객담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3. 객담을 배출하지 못하는 이유가 기도에 남아있는 객담이 묽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기 때문에 가습기를 통해 객담의 배출을 돕는다.
4. 잦은 체위변경은 툇곽 팽창을 최대로 하고 양쪽 폐의 관류를 증가시킨다.
5. 반좌위는 폐확장을 최대한 도울 수 있는 체위로 수술 후 호흡이 어려운 환자의 호흡기능을 최대화할 수 있는 체위이다.
6. 심호흡과 기침으로 대상자는 효과적으로 가래배출을 하여 기도청결에 도움을 준다. 심호흡과 기침을 통해 흡인성폐렴과 같은 호흡기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
간호중재
(Intervention)
BP P R T
BP P R T
1.11/8:00
129/82 62 24 37.2
1.11/19:00
128/82 61 21 36.7
1.11/11:00
138/79 59 24 37.0
1.11/21:00
130/76 55 20 36.7
1.11/13:00
131/75 64 23 36.8
1.11/22:00
133/78 54 19 37.0
1.11/15:00
135/84 53 22 37.0
1.12/2:00
129/80 58 20 36.9
1.11/17:00
129/80 57 21 37.0
1.12/6:00
125/79 60 20 37.1
1. 대상자의 V/S을 측정하였다.
2. ABD binder(복대) 착용 후 EDBC를 격려한다.
→ 복대 착용 후 심호흡과 기침을 격려하였다.
3. 객담을 묽게 하기 위해 가습기를 틀어준다.
→ 객담을 묽게 하기 위해 병실 내에 가습기를 틀었다.
4. 대상자의 체위를 2~4시간마다 변경한다.
→ 3시간마다 대상자의 체위를 변경하도록 하였다.
5. Semi-Fowler’s position자세를 취해준다.
→ 호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대상자의 체위를 Semi-Fowler’s position자세로 취해주었다.
6. 대상자에게 수술 후 심호흡, 기침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 대상자에게 수술 후 심호흡과 기침의 중요성을 교육하여 대상자 스스로 중요성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평가
(Evaluation)
대상자는 24시간 내에 쌕쌕거리는 소리가 나지 않았다. (단기목표 달성)
대상자는 2일 이내에 호흡수가 24회/분에서 20회/분으로 유지되었다.(단기목표 달성)
대상자는 퇴원 시 정상적인 호흡을 할 수 있게 되었다고 말하며 20회/분으로 호흡을 했다. (장기목표 달성)
9) 참고문헌
여성건강간호학Ⅰ,현문사, 박영주, 심미정, 김혜자, 전나미 외 공저 p 255-257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
서울아산병원 의학품정보

키워드

간호,   실습,   학점,   case,   A+,   부인과,   난소낭종,   여성
  • 가격2,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23.05.03
  • 저작시기2023.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53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