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기업의 국제화와 다국적 기업]
1. 기업의 국제화
2. 다국적 기업
* 참고문헌
1. 기업의 국제화
2. 다국적 기업
*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 이론(Theory of Product Life Cycle)은 버논(R. Vernon)에 의해 제시되고, 허쉬(S. Hirsh), 웰즈(WelI), 그리고 스토바하(StobauUh)에 의해 발전된 이론이다. 이 이론에 의하면 해외 직접 투자는 크게 두 가지 목적에서 발생하게 된다.
첫째, 현지국 시장을 방어하기 위해서이다. 최초의 제품 개발국에서 주변국으로의 수출이 시작되고 현지에서의 수입 대체가 증가될수록(성장기) 현지국 정부의 보호 정책이 강화되는데, 이 때 제품 개발국의 기업이 현지 수출 시장을 방어할 목적으로 해외 직접 투자를 하게 되며,
둘째, 본국 시장의 방어 및 제3 세계 시장으로의 진출을 위한 목적으로 해외 생산 기지를 선택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 단계는 주로 성숙기나 쇠퇴기 단계로써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관건이 되기 때문에 개도국이나 저임금 국가에 진출하여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해외 직접 투자를 하게 된다.
3) 국민 경제적 접근 이론
해외 직접 투자가 이윤 극대화 내지는 시장 점유율 확대를 목적으로 개별 기업적 입장에서 이루어지게 되면, 투자국과 피투자국 간의 갈등을 심화시키게 되므로 개별 기업이 아니라 투자국과 피투자국의 국민 경제적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는 이론이다.
(1) 고지마 이론
고지마는 일본의 해외 직접 투자는 국민 경제 활동의 일환으로써
첫째, 일본에서 필요한 자원의 확보, 둘째, 개도국에 비해서 비교 우위를 갖는 기계 설비, 반제품 등의 생산재의 수출 촉진, 셋째, 일본의 노동력 부족, 고임금 등으로 비교 우위를 상실해 가는 섬유, 잡화 산업의 개도국 이전 등 무역 지향적 동기들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해외 직접 투자는 일본의 비교 우위를 보완시켜줄 뿐만 아니라 현지국의 비교 우위 요소를 이용함으로써 산업 구조를 고도화시켜 양국 간의 교역을 증대시켜준다고 하였다.
(2) 오자와 이론
오자와는 일본 국내의 생산 요소의 희소성, 증가하는 환경적 제약 및 주요 산업 자원의 공급과 관련하여 증가하는 불확실성 등과 같은 거시적 요인에 의해 해외 직접 투자가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오자와는 고지마의 이론을 확장하여 독과점의 우위가 없는 일본 기업의 경우 개도국에 대한 해외 직접 투자가 더욱 활발하게 일어난다고 하면서, 미국 및 기타 선진국 다국적 기업의 해외 직접 투자에는 미시 경제적 요인이 그리고 일본의 경우는 내부 구조 조정 등의 거시 경제적 요인이 크게 작용하였다고 주장하였다.
4) 내부화 이론
버클리와 카손(Buckley & Casson, 1976) 등에 의해 처음으로 체계화된 내부화 이론(Theory of Intel-nationalization)은 시장 구조의 불완전성이나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우위 요소의 공공재적 성격으로 인하여 직접 투자를 통한 거래를 기업 내부화 한다는 이론이다.
이들은 이제까지의 해외 투자 이론이 주로 생산 측면에만 치우친 나머지 연구 개발, 마케팅, 직업 훈련 등 중간 생산물의 흐름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생산외적 요소들을 무시했다고 보고 기업 활동에 이들이 차지하는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즉 기업의 중간 생산물은 단순한 반제품이 아니라 특허, 인적 자본 등에 체화된 지식 형태의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중간 생산물 시장이 불완전한 경우, 이익 극대화를 추구하는 기업은 이를 기업 조직체 내부로 흡수하려는 시도를 하게 된다. 중간재의 내부화는 어떤 기업이 그 생산 라인에 원료를 공급하거나(후방 통합), 그 기업이 생산한 제품, 반제품을 사용하거나 판매하는 공장을 다른 나라에 설립하는 것(전방 통합)을 말한다. 이러한 내부화의 결과 수직적 해외 직접 투자가 생겨나게 되는데, 원자재 및 부품 공장 등 중간재를 조달하기 위한 모든 해외 직접 투자가 이에 해당한다. 다시 말해 이들 중간재 시장이 매우 효율적이라면 이들의 거래는 시장 거래를 통하여 이루어지게 될 것이기 때문에 내부화의 유인은 존재할 수가 없겠지만, 실제로 시장은 그리 효율적이지 못하며 불완전하기 때문에 내부화의 유인이 생기고 따라서 수직적 해외 직접 투자가 발생하게 된다는 것이다.
5) 절충 이론
절충 이론(Eclectic Theory)은 더닝(J. Dunning)에 의해서 주장된 것으로, 어떤 기업의 해외 직접 투자는 그 기업이 다른 국가의 기업들에 비하여 가지고 있는 기업 특유의 우위 요소, 내부화 우위 요소 및 생산 입지상의 우위 요소에 의해 결정된다는 이론이다.
지금까지 해외 직접 투자의 요인으로 여겨져 왔던 기업 특유의 독점적 우위는 해외 직접 투자가 아니더라도 수출이나 라이선싱에 의해서도 충분히 달성될 수 있기 때문에 독점적 우위가 직접 투자의 필요충분조건은 되지 못한다. 따라서 독점적 우위를 가진 기업이 직접 투자를 행사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내부화 우위와 입지적 우위 요소에 대한 추가적 설명이 가능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의하면 해외 직접 투자가 이루어지려면 당초에 기업 특유의 독점적 우위 요소가 존재해야 하며, 이를 외부 시장에 판매하는 것보다 내부화하는 것이 유리할 때, 기업은 라이선싱을 바뀌고 수출이나 해외 직접 투자의 방식을 택하게 되며, 그 다음으로 자본, 기술을 해외로 이전하여 현지에서 생산하는 것이 국내 생산보다 유리할 때, 즉 입지적 우위가 있을 때 기업은 수출 대신 직접 투자를 택하게 된다는 것이다.
* 참고문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첫째, 현지국 시장을 방어하기 위해서이다. 최초의 제품 개발국에서 주변국으로의 수출이 시작되고 현지에서의 수입 대체가 증가될수록(성장기) 현지국 정부의 보호 정책이 강화되는데, 이 때 제품 개발국의 기업이 현지 수출 시장을 방어할 목적으로 해외 직접 투자를 하게 되며,
둘째, 본국 시장의 방어 및 제3 세계 시장으로의 진출을 위한 목적으로 해외 생산 기지를 선택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 단계는 주로 성숙기나 쇠퇴기 단계로써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관건이 되기 때문에 개도국이나 저임금 국가에 진출하여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해외 직접 투자를 하게 된다.
3) 국민 경제적 접근 이론
해외 직접 투자가 이윤 극대화 내지는 시장 점유율 확대를 목적으로 개별 기업적 입장에서 이루어지게 되면, 투자국과 피투자국 간의 갈등을 심화시키게 되므로 개별 기업이 아니라 투자국과 피투자국의 국민 경제적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는 이론이다.
(1) 고지마 이론
고지마는 일본의 해외 직접 투자는 국민 경제 활동의 일환으로써
첫째, 일본에서 필요한 자원의 확보, 둘째, 개도국에 비해서 비교 우위를 갖는 기계 설비, 반제품 등의 생산재의 수출 촉진, 셋째, 일본의 노동력 부족, 고임금 등으로 비교 우위를 상실해 가는 섬유, 잡화 산업의 개도국 이전 등 무역 지향적 동기들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해외 직접 투자는 일본의 비교 우위를 보완시켜줄 뿐만 아니라 현지국의 비교 우위 요소를 이용함으로써 산업 구조를 고도화시켜 양국 간의 교역을 증대시켜준다고 하였다.
(2) 오자와 이론
오자와는 일본 국내의 생산 요소의 희소성, 증가하는 환경적 제약 및 주요 산업 자원의 공급과 관련하여 증가하는 불확실성 등과 같은 거시적 요인에 의해 해외 직접 투자가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오자와는 고지마의 이론을 확장하여 독과점의 우위가 없는 일본 기업의 경우 개도국에 대한 해외 직접 투자가 더욱 활발하게 일어난다고 하면서, 미국 및 기타 선진국 다국적 기업의 해외 직접 투자에는 미시 경제적 요인이 그리고 일본의 경우는 내부 구조 조정 등의 거시 경제적 요인이 크게 작용하였다고 주장하였다.
4) 내부화 이론
버클리와 카손(Buckley & Casson, 1976) 등에 의해 처음으로 체계화된 내부화 이론(Theory of Intel-nationalization)은 시장 구조의 불완전성이나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우위 요소의 공공재적 성격으로 인하여 직접 투자를 통한 거래를 기업 내부화 한다는 이론이다.
이들은 이제까지의 해외 투자 이론이 주로 생산 측면에만 치우친 나머지 연구 개발, 마케팅, 직업 훈련 등 중간 생산물의 흐름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생산외적 요소들을 무시했다고 보고 기업 활동에 이들이 차지하는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즉 기업의 중간 생산물은 단순한 반제품이 아니라 특허, 인적 자본 등에 체화된 지식 형태의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중간 생산물 시장이 불완전한 경우, 이익 극대화를 추구하는 기업은 이를 기업 조직체 내부로 흡수하려는 시도를 하게 된다. 중간재의 내부화는 어떤 기업이 그 생산 라인에 원료를 공급하거나(후방 통합), 그 기업이 생산한 제품, 반제품을 사용하거나 판매하는 공장을 다른 나라에 설립하는 것(전방 통합)을 말한다. 이러한 내부화의 결과 수직적 해외 직접 투자가 생겨나게 되는데, 원자재 및 부품 공장 등 중간재를 조달하기 위한 모든 해외 직접 투자가 이에 해당한다. 다시 말해 이들 중간재 시장이 매우 효율적이라면 이들의 거래는 시장 거래를 통하여 이루어지게 될 것이기 때문에 내부화의 유인은 존재할 수가 없겠지만, 실제로 시장은 그리 효율적이지 못하며 불완전하기 때문에 내부화의 유인이 생기고 따라서 수직적 해외 직접 투자가 발생하게 된다는 것이다.
5) 절충 이론
절충 이론(Eclectic Theory)은 더닝(J. Dunning)에 의해서 주장된 것으로, 어떤 기업의 해외 직접 투자는 그 기업이 다른 국가의 기업들에 비하여 가지고 있는 기업 특유의 우위 요소, 내부화 우위 요소 및 생산 입지상의 우위 요소에 의해 결정된다는 이론이다.
지금까지 해외 직접 투자의 요인으로 여겨져 왔던 기업 특유의 독점적 우위는 해외 직접 투자가 아니더라도 수출이나 라이선싱에 의해서도 충분히 달성될 수 있기 때문에 독점적 우위가 직접 투자의 필요충분조건은 되지 못한다. 따라서 독점적 우위를 가진 기업이 직접 투자를 행사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내부화 우위와 입지적 우위 요소에 대한 추가적 설명이 가능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의하면 해외 직접 투자가 이루어지려면 당초에 기업 특유의 독점적 우위 요소가 존재해야 하며, 이를 외부 시장에 판매하는 것보다 내부화하는 것이 유리할 때, 기업은 라이선싱을 바뀌고 수출이나 해외 직접 투자의 방식을 택하게 되며, 그 다음으로 자본, 기술을 해외로 이전하여 현지에서 생산하는 것이 국내 생산보다 유리할 때, 즉 입지적 우위가 있을 때 기업은 수출 대신 직접 투자를 택하게 된다는 것이다.
* 참고문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추천자료
다국적 기업 이론과 사례
기업의 국제화와 국제마케팅 전략
[다국적기업][세계화][국제화][기업경영][다국적기업의 세계화 전략][해외투자]다국적기업의 ...
[다국적기업][다국적기업 해외진출 과정][다국적기업 국제화 전략]다국적기업의 개념, 다국적...
[국제경영과 다국적기업] 기업의 국제화와 다국적기업에 대한 이해
다국적기업론 강의노트
기업의 국제화 과정과 글로벌 경영.PPT자료
[다국적기업 노사관계][다국적기업][노사관계][노사][기업][노무][노동자]다국적기업 노사관...
기업국제화의 동기, 과정과 다국적기업과 세계기업의 차이
기업집단화 및 국제화) 기업집단화의 의의 콤비나트 컨글로머리트 조인트벤처 다국적기업 레포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