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정형외과 성인실습 케이스 A+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 정형외과 성인실습 케이스 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목적
2. 문헌고찰
Ⅱ. 사례연구 기간 및 방법
Ⅲ. 간호과정 적용
[1단계] 간호사정
[2단계] 간호진단~간호평가
Ⅳ. 결론
1) 결론
2) 참고문헌
3) 소감

본문내용

다.
③ 구획 증후군: 석고 붕대나 조이는 드레싱과 같은 외부적인 압력에 의해 발생도기도 하며
구획증후군을 완화시키기 위해 사지를 심장 위로 상승시켜서는 안 되며 심
장과 같은 높이에 두어야 한다.
④ 볼크만씨 허혈성 구축: 팔굽관절이나 전박의 골절로 인해 발생하는 손이나 전박의 불구
상태를 말하며 동맥이나 정맥의 순환부전으로 인해 구획증후군이
발생하면서 나타난다. 압박으로 인해 근육과 신경이 손상을 입게
되어 팔과 손이 영구적으로 경직되고 갈고리 모양의 기형이 발생
하며 붕대나 석고붕대의 과도한 압력으로 인해 발생되기도 한다.
⑤ 심부정맥혈전증과 폐색전증: 근골격계 환자의 가장 위험한 합병증이며 임상증상으로는
한 쪽 다리에만 국한된 부종과 통증이며 Homan\'s sign이
양성으로 나타난다.
⑥ 무혈성 골괴저: 조직에 혈액이 공급되지 않아 뼈조직이 사멸되는 것을 말한다.
⑦ 말초신경 손상: 석고나 압박붕대로 인한 압력이나 신경 자체의 손상이 원인이 될 수 있
으며 흔히 손상받기 쉬운 신경은 척골신경, 요골신경, 좌골신경, 슬와신
경이다.
⑧ 감염: 개방성 골절시에 파상풍이나 가스괴저, 골수염의 위험이 크다.
⑨ 그 외: 쇼크나 심장마비, 파종성 혈관응고증, 폐렴, 방광 및 요도 손상 등이 있을 수 있
다.
Ⅱ. 사례연구 기간 및 방법
- 연구기간 : 2022년 04원 14일 ~ 04월 20일
- 연구방법 : 대상자의 차트기록, 대상자와의 면담, 보호자와의 면담 등을 통하여 대상자의 정보를 수집하고, 연구자의 문헌고찰을 통합하여 사례연구를 시도하였다.
Ⅲ. 간호과정 적용
[1단계] 간호사정
1. 대상자의 기초자료
이름 박형O 연령 77세 성별 M 입원일 2022.04.10. 종교 무
직업 무직 흡연 무(10년째 금연) 음주 무(3년째 금주) 학력 중졸
간호사정일 2022.04.14.~20 정보제공자 본인, 보호자(부인)
의학적 진단명
1. 경골골절(Fracture of tibia)
2. 변비
3. 고혈압
1) 성장발달과업
중학교까지 밖에 못 다니고 돈을 벌기 위해서 일을 했다는 것에 대해서 불만이 있거나 화가 나진 않는 다고 함. 오히려 중학교까지 밖에 못나왔는데 남부끄럽지 않게 살았다는 것에 대해 자부심을 느끼고 스스로를 자랑스러워하심.
2) 가족력(고혈압, 당뇨, 유전질환, 결핵, 감염 등)
아버지께서 대상포진이 있으셨다고 함.
아버지께서 고혈압이 있으셨다고 함.
3) 과거력(Past history : 질병력, 입원경험, 수술경험, 약물복용 등)
현재까지도 혈압약 복용 중(본원)
2003년에 충수염 수술 함(본원, 7일 입원)
4) 현병력(Present illness : 주호소를 중심으로 입원하게 된 이유를 간략하게 기록할 것)
① 발병당시 - 입원까지 : 17시경에 밖에서 저녁 식사를 하기 위해 집에서 나오다가 계단에서 넘어져서 다리가 골절이 되었다고 함. 넘어지고 일어서려고 했는데 걷지를 못 했음. 그래서 구급차를 타고 동네 병원 응급실로 갔는데 골절이라고 해서 본원으로 옮겨서 입원했다고 함.
② 입원당시 - 사정당시 : 골절이라서 그런지 올해 들어서 가장 아픈 날이라고 하심. 비올때마다 다리가 욱씬 욱씬 쑤신다고 함. 붕대를 한 곳에 약간의 소양감이 있어 하심. 땀이 조금 난다고 함.
5) 사전 의료지시서
■ 심폐소생술 거부(DNR) : □예 ■아니오
2. 대상자의 건강양상
1) 교환
▶순환
신경 : 신경계변화/증상 X
GCS점수(E: 4 M: 5 V: 4 ) 총: 13 점
지남력 의식수준 이상없음
사람 이상없음 시간 이상없음 장소 이상없음
심장:심장박동 72회/min ECG 정상 BP 130/100mmHg
말초 : 맥박 72회/min 부종 수술로 인해 발가락이 살짝 부음 청색증 이상없음
▶피부통합성
욕창 없음 발적 없음
타박상 좌측 경골 열상 없음 좌상 없음
반흔이나 수술상처 좌측 무릎 10cm 아래에 약 5cm정도 국소부종 없음 소양감 있음
피부:습기 없음 색깔 보통 광택 없음
병변부위 좌측 경골
▶ 산소
호흡곤란 없음 호흡수 18회 리듬 정상 깊이 정상
기침 없음 객담 없음 기구사용 없음
▶신체조절
림프절팽창 없음 부위 없음 체온 36.7℃
▶영양
식습관(발병 및 입원 전후의 변화)
식이종류 일반식이, 아침엔 죽(소화가 안돼서)
제한식이 인스턴트음식, 염분이 많은 음식, 음주
회수 하루 3회 기호식품 칼슘이 많은 음식, 염분이 적은 음식
알러지 없음 식욕변화 없음
오심, 구토 없음 구강상태 정상
의치 없음 구개반사 정상
키 168cm 몸무게 60kg
■식사에 포함되는 식품과 피해야 할 음식
-골절 상태이므로 사골, 우유, 자두, 시금치 등을 많이 먹어서 칼슘 흡수율을 높여서 뼈 형성에 도움을 주고 골다공증 등을 예방할 수 있다.
-고혈압이므로 염분이 적은 음식을 먹는다. 소금 등 조미료가 많이 들어간 음식은 피한다. 또한 체중증가를 유발시킬 수 있는 인스턴트 음식을 피한다.
■ 경관영영(또는 정맥주사 주입)시 종류와 주입속도
-수술 전에 HS 500ml를 12방울/min을 맞으심
-수술 후에 HS 500ml를 12방울/min을 맞으심
-영양에 문제가 없어서 맞지 않으심.
■ 영양문제
-삼키기, 씹기에 문제가 있는가? 없음
-의치가 있는가? 없음
-식사 시 도움이 필요한가? 없음
-오심 구토가 있는가? 없음
-수분과다 혹은 탈수가 있는가? 없음
-산물이 넘어오거나 트림시 가슴이 아픈가? 없음
▶배설
배변습관 하루 평균 0~2회 배변의 변화 가끔 설사하고 변비가 있음
배뇨습관 하루 평균 5회 배뇨의 변화 없음
■배설문제확인
-장배설 : 변비, 설사, 방귀, 변실금 변비가 있고 가끔 설사를 함
-요배설 : 지연, 빈뇨, 작열감, 요실금, 냄새 없음
-배설문제의 유발요인은 무엇인가? 없음
2) 의사소통
한글독해력 있음 언어장애 없음
삽관상태 없음
의사소통장애와 관련된 신체적 손상 없음
3) 관계형성
역할
부모와의 관계 좋았었음 형제관계 형 1명, 여동생 2명, 남동생 1명, 모두 사이좋음
학력 중졸 가정에서의 역할 아버지, 남편
가족관계 딸 4명, 아들 1명
사회생활
교우관계 동네 주민 분들 몇 명 방문하심
4) 가치
  • 가격3,000
  • 페이지수34페이지
  • 등록일2023.06.29
  • 저작시기2022.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149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