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ride / sodium chloride
주요작용
- 수분, 전해질 및 열량 보급제
- 탈수증, 수술전후 등의 수분ㆍ전해질 보급
- 에너지 보급
부작용
대량급속투여시 부종, 수중독, 고칼륨혈증
기준용량
ㆍ성인 : 1회 500~1,000mL를 점적 정맥주사한다.
투여속도는 포도당으로서 1시간에 체중 kg당 0.5g 이하로 한다.
투여량, 투여속도는 연령, 체중,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환아 투여용량
1회 0.2g IV
투여경로 및 투여방법
정맥주사
주의점
- 이 약은 나트륨을 함유하므로 염저류 환자나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또는 코르티코트로핀 투여를 받는 환자는 주의하여 투여한다.
- 혈당, 혈청 전해질, 체액 평형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
상품명
트리악손주사1g/V
화학명
세프트리악손나트륨수화물
주요작용
ㆍ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
ㆍ적응증
- 폐렴, 기관지염 등 호흡기계 감염증
- 이비인후과 감염증
- 신장 및 요로감염증, 임질 등 생식기 감염증
- 패혈증
- 수술 전ㆍ후 감염예방
- 골 및 관절 감염증
- 피부, 상처 및 연조직감염증
- 복막염, 담낭염, 담관염 등 위장관감염증
- 면역기능저하 환자의 감염증
- 수막염
부작용
두통, 어지러움, 구역, 구토, 설사, 미각이상, 발진, 가려움, 간기능 장애
기준용량
ㆍ12세 이상의 소아~성인(고령자 포함) : 1일 1회 1~2g을 정맥 또는 근육주사한다
ㆍ신생아(생후 14일 이내) : 체중 kg당 20~50mg을 1일 1회 투여한다.
┗ 미숙아와 정상아를 구분하여 투여할 필요는 없다.
ㆍ영유아 및 소아(생후 15일~12세) : 체중 kg당 20~80mg을 1일 1회 투여한다. 50kg 이상인 소아에게는 성인의 상용량을 투여해야하며, 체중 kg당 50mg 이상을 정맥투여할 시에는 최소 30분동안 점적 정맥주사한다.
ㆍ수막염 : 유아 및 소아 → 체중 kg당 100mg을 1일 1회 투여한다.(1일 총 4g을 초과하지 않는다.) [수막염균(4일), 인플루엔자균(6일), 폐렴연쇄구균(7일)]
ㆍ임질 : 페니실린 감수성균 및 내성균에 의한 임질치료 시에는 250m 단회 근육주사가 권장된다.
ㆍ수술 전후 감염증예방 : 오염되었거나 오염될 수 있는 외과수술시 수술 후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감염 위험도에 따라서 1~2g을 수술 30~90분 전 단회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ㆍ신장 및 간기능 장애 : 신기능장애 환자에 있어서 간기능이 정상이면 용량을 감소시킬 필요가 없으나 크레아티닌청소율이 10mL/min 이하인 신부전말기의 경우 1일 2g을 초과하지 않는다.
환아 투여용량
kg당 20~80mg을 1일 1회 IV
투여경로 및 투여방법
정맥주사 또는 근육주사
주의점
- 세프트리악손, 다른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 페니실린, 페니실라민, 다른 음식, 염료, 보존제에 알레르기 경험이 있는 경우 의사에게 알린다.
- 심한 설사를 할 경우 다른 약을 복용하기 전에 의사에게 알린다.
- 피부 발진이 나타날 경우 환자 스스로 치료하지 않고 의사에게 알린다.
- 임산부, 수유부는 의사에게 미리 알린다.
Concept Mapping(간호 개념지도 그리기)
2)간호과정(사정, 진단, 계획, 수행, 평가)
① 간호진단
의미 있는 자료
간호진단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관련자료
“아이가 열이 조금 있는 것 같아요.” (by 어머니)
“열은 새벽에 한 번 났어요.” (by 어머니)
체온 38.3‘C
fever(+)
ESR 수치 31▲ (염증)
CRP 5.01▲ (염증)
체온 37.0‘C 이상 시 보고
기도의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아이의 체온이 내려갔었는데 새벽에 다시 올랐어요.” (by 어머니)
“체온이 잘 안내려가요.” (by 어머니)
4/27 17:25 체온 38.0‘C
4/27 20:00 체온 36.5’C
4/28 04:00 체온 37.4‘C
체온 37.0‘C 이상 시 보고
체온의 간헐적 변화와 관련된 체온조절장애
4/30 16:30
“오늘 설사 5회 했어요.” (by 어머니)
4/30 20:00
“추가로 1-2회 더 했어요.” (by 어머니)
설사
“기침도 많이 하고 코도 그렁해요.” (by 어머니)
“코가 막혔어요.” (by 어머니)
“콧물이 뒤로 넘어가면서 켁켁대고 잘 때 조금 심해지는 것 같아요.” (by 어머니)
“가래도 조금 있는 것 같아요.” (by 어머니)
“콧물도 계속 그렁그렁하게 소리가 들려요.” (by 어머니)
c/s/r >
c(+)
s(+)
r(+)
기침, 가래, 콧물로 인해 기도가 청결하지 못하다.
분비물 배출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아이의 흡입치료 하는 것을 잊었어요..” (by 어머니)
OL consult 검사 refuse
- 환아는 스스로 흡입치료를 시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보호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아동의 입원, 치료와 관련된 보호자의 지식부족
② 우선순위 결정
간호진단 목록
우선순위
기도의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1
체온의 간헐적 변화와 관련된 체온조절장애
2
분비물 배출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3
설사
4
아동의 입원, 치료와 관련된 보호자의 지식부족
5
③ 대상자 시나리오
환아 이*우은 고열 및 기침, 가래, 콧물증상으로 부산성모병원 외래 진료를 받은 후 추가적인 검사 및 치료를 받기 위해 입원을 하게 되었다. Nasopharyngeal swab 으로 PCR검사를 한 결과 positive가 나왔으며, 추가적인 검사를 통해 Otitis Media, unspecified, bilateral 이라는 진단명을 내릴 수 있었다. 입원 당일 17:25분부터 BT가 38.0’C로 측정되었으며, 그 후 brufen을 경구투여 하여 다시 36.5’C로 감소하였으나, 익일 04:00 다시 37.9‘C로 재상승 하였다. 이후 설사도 하루에 7회 정도 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cough(+), sputum(+), rhinorrhea(+) 였다. 이 후, 급격한 체온변화는 상당히 완화되었지만, cough, sputum, rhinorrhea 는 여전히 남아있는 상태이다.
증상들은 fever, cough, sputum, rhinorrhea 이지만, 진단은 otitis media 이기 때문에 퇴원 전 청력검사를 몇 가지 하였고,
주요작용
- 수분, 전해질 및 열량 보급제
- 탈수증, 수술전후 등의 수분ㆍ전해질 보급
- 에너지 보급
부작용
대량급속투여시 부종, 수중독, 고칼륨혈증
기준용량
ㆍ성인 : 1회 500~1,000mL를 점적 정맥주사한다.
투여속도는 포도당으로서 1시간에 체중 kg당 0.5g 이하로 한다.
투여량, 투여속도는 연령, 체중,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환아 투여용량
1회 0.2g IV
투여경로 및 투여방법
정맥주사
주의점
- 이 약은 나트륨을 함유하므로 염저류 환자나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또는 코르티코트로핀 투여를 받는 환자는 주의하여 투여한다.
- 혈당, 혈청 전해질, 체액 평형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
상품명
트리악손주사1g/V
화학명
세프트리악손나트륨수화물
주요작용
ㆍ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
ㆍ적응증
- 폐렴, 기관지염 등 호흡기계 감염증
- 이비인후과 감염증
- 신장 및 요로감염증, 임질 등 생식기 감염증
- 패혈증
- 수술 전ㆍ후 감염예방
- 골 및 관절 감염증
- 피부, 상처 및 연조직감염증
- 복막염, 담낭염, 담관염 등 위장관감염증
- 면역기능저하 환자의 감염증
- 수막염
부작용
두통, 어지러움, 구역, 구토, 설사, 미각이상, 발진, 가려움, 간기능 장애
기준용량
ㆍ12세 이상의 소아~성인(고령자 포함) : 1일 1회 1~2g을 정맥 또는 근육주사한다
ㆍ신생아(생후 14일 이내) : 체중 kg당 20~50mg을 1일 1회 투여한다.
┗ 미숙아와 정상아를 구분하여 투여할 필요는 없다.
ㆍ영유아 및 소아(생후 15일~12세) : 체중 kg당 20~80mg을 1일 1회 투여한다. 50kg 이상인 소아에게는 성인의 상용량을 투여해야하며, 체중 kg당 50mg 이상을 정맥투여할 시에는 최소 30분동안 점적 정맥주사한다.
ㆍ수막염 : 유아 및 소아 → 체중 kg당 100mg을 1일 1회 투여한다.(1일 총 4g을 초과하지 않는다.) [수막염균(4일), 인플루엔자균(6일), 폐렴연쇄구균(7일)]
ㆍ임질 : 페니실린 감수성균 및 내성균에 의한 임질치료 시에는 250m 단회 근육주사가 권장된다.
ㆍ수술 전후 감염증예방 : 오염되었거나 오염될 수 있는 외과수술시 수술 후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감염 위험도에 따라서 1~2g을 수술 30~90분 전 단회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ㆍ신장 및 간기능 장애 : 신기능장애 환자에 있어서 간기능이 정상이면 용량을 감소시킬 필요가 없으나 크레아티닌청소율이 10mL/min 이하인 신부전말기의 경우 1일 2g을 초과하지 않는다.
환아 투여용량
kg당 20~80mg을 1일 1회 IV
투여경로 및 투여방법
정맥주사 또는 근육주사
주의점
- 세프트리악손, 다른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 페니실린, 페니실라민, 다른 음식, 염료, 보존제에 알레르기 경험이 있는 경우 의사에게 알린다.
- 심한 설사를 할 경우 다른 약을 복용하기 전에 의사에게 알린다.
- 피부 발진이 나타날 경우 환자 스스로 치료하지 않고 의사에게 알린다.
- 임산부, 수유부는 의사에게 미리 알린다.
Concept Mapping(간호 개념지도 그리기)
2)간호과정(사정, 진단, 계획, 수행, 평가)
① 간호진단
의미 있는 자료
간호진단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관련자료
“아이가 열이 조금 있는 것 같아요.” (by 어머니)
“열은 새벽에 한 번 났어요.” (by 어머니)
체온 38.3‘C
fever(+)
ESR 수치 31▲ (염증)
CRP 5.01▲ (염증)
체온 37.0‘C 이상 시 보고
기도의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아이의 체온이 내려갔었는데 새벽에 다시 올랐어요.” (by 어머니)
“체온이 잘 안내려가요.” (by 어머니)
4/27 17:25 체온 38.0‘C
4/27 20:00 체온 36.5’C
4/28 04:00 체온 37.4‘C
체온 37.0‘C 이상 시 보고
체온의 간헐적 변화와 관련된 체온조절장애
4/30 16:30
“오늘 설사 5회 했어요.” (by 어머니)
4/30 20:00
“추가로 1-2회 더 했어요.” (by 어머니)
설사
“기침도 많이 하고 코도 그렁해요.” (by 어머니)
“코가 막혔어요.” (by 어머니)
“콧물이 뒤로 넘어가면서 켁켁대고 잘 때 조금 심해지는 것 같아요.” (by 어머니)
“가래도 조금 있는 것 같아요.” (by 어머니)
“콧물도 계속 그렁그렁하게 소리가 들려요.” (by 어머니)
c/s/r >
c(+)
s(+)
r(+)
기침, 가래, 콧물로 인해 기도가 청결하지 못하다.
분비물 배출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아이의 흡입치료 하는 것을 잊었어요..” (by 어머니)
OL consult 검사 refuse
- 환아는 스스로 흡입치료를 시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보호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아동의 입원, 치료와 관련된 보호자의 지식부족
② 우선순위 결정
간호진단 목록
우선순위
기도의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1
체온의 간헐적 변화와 관련된 체온조절장애
2
분비물 배출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3
설사
4
아동의 입원, 치료와 관련된 보호자의 지식부족
5
③ 대상자 시나리오
환아 이*우은 고열 및 기침, 가래, 콧물증상으로 부산성모병원 외래 진료를 받은 후 추가적인 검사 및 치료를 받기 위해 입원을 하게 되었다. Nasopharyngeal swab 으로 PCR검사를 한 결과 positive가 나왔으며, 추가적인 검사를 통해 Otitis Media, unspecified, bilateral 이라는 진단명을 내릴 수 있었다. 입원 당일 17:25분부터 BT가 38.0’C로 측정되었으며, 그 후 brufen을 경구투여 하여 다시 36.5’C로 감소하였으나, 익일 04:00 다시 37.9‘C로 재상승 하였다. 이후 설사도 하루에 7회 정도 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cough(+), sputum(+), rhinorrhea(+) 였다. 이 후, 급격한 체온변화는 상당히 완화되었지만, cough, sputum, rhinorrhea 는 여전히 남아있는 상태이다.
증상들은 fever, cough, sputum, rhinorrhea 이지만, 진단은 otitis media 이기 때문에 퇴원 전 청력검사를 몇 가지 하였고,
추천자료
아동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세기관지염 (Bronchiolitis), 폐렴 (Pneumonia), 중...
아동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 폐렴(Pneumonia),케이스 스터디(Case Study),문헌고찰
Case Study Intussusception 아동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장중첩증
아동간호학 폐렴 A+케이스스터디 간호학과 실습 케이스 간호과정보고서
아동간호학 실습 케이스 인플루엔자
급성중이염 케이스,급성중이염case, 중이염 case, 아동간호학
아동간호학 케이스 수족구병 간호진단3개 부모교육 포함
[아동] 중이염 otitis media 케이스 스터디 (문헌고찰+간호과정)
[간호과정 30개]croup 크룹 케이스 / 아동간호학 / 비효율적 호흡양상 / A+ 깔끔한 정리 / 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