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아, 신라의 밤이여!
유음화 : 비음 ‘ㄴ’이 앞이나 뒤에 오는 유음 ‘ㄹ’의 영향으로 [ㄹ]로 소리 나는 음운 변동 현상
신라 → [실라]
‘신’의 ‘ㄴ’이 ‘라’의 유음 ‘ㄹ’을 닮아 ‘실’로 발음된다.
2. 너와 같이 가게 돼서 기뻐.
구개음화 : 음절의 끝에 오는 ‘ㄷ, ㅌ’이 모음 ‘ㅣ’나 반모음 ‘ㅣ[j]’로 시작하는 조사나 접미사 앞에서 각각 센입천장소리(구개음) ‘ㅈ, ㅊ’으로 변하는 현상. 이때 ‘ㄷ,ㅌ’ 뒤에 오는 ‘ㅣ’ 또는 ‘ㅣ[j]’는 조사나 접미사와 같이 실질적인 의미가 없는 말이어야 한다.
같이 → [가치]
‘같’의 ‘ㅌ’이 ‘ㅣ’를 만나 구개음 [ㅊ]으로 발음돼어 [가치]
3. 그 소문은 이웃간의 갈등의 원인이 되었다.
된소리되기 : 예사소리 ‘ㄱ, ㄷ, ㅂ, ㅅ, ㅈ’이 된소리인 ‘ㄲ, ㄸ, ㅃ, ㅆ, ㅉ]으로 발음되는 현상
갈등 → [갈
유음화 : 비음 ‘ㄴ’이 앞이나 뒤에 오는 유음 ‘ㄹ’의 영향으로 [ㄹ]로 소리 나는 음운 변동 현상
신라 → [실라]
‘신’의 ‘ㄴ’이 ‘라’의 유음 ‘ㄹ’을 닮아 ‘실’로 발음된다.
2. 너와 같이 가게 돼서 기뻐.
구개음화 : 음절의 끝에 오는 ‘ㄷ, ㅌ’이 모음 ‘ㅣ’나 반모음 ‘ㅣ[j]’로 시작하는 조사나 접미사 앞에서 각각 센입천장소리(구개음) ‘ㅈ, ㅊ’으로 변하는 현상. 이때 ‘ㄷ,ㅌ’ 뒤에 오는 ‘ㅣ’ 또는 ‘ㅣ[j]’는 조사나 접미사와 같이 실질적인 의미가 없는 말이어야 한다.
같이 → [가치]
‘같’의 ‘ㅌ’이 ‘ㅣ’를 만나 구개음 [ㅊ]으로 발음돼어 [가치]
3. 그 소문은 이웃간의 갈등의 원인이 되었다.
된소리되기 : 예사소리 ‘ㄱ, ㄷ, ㅂ, ㅅ, ㅈ’이 된소리인 ‘ㄲ, ㄸ, ㅃ, ㅆ, ㅉ]으로 발음되는 현상
갈등 → [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