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의 기능 여부는 형태소를 분류하는 기준이 되기도 하며 이에 따라 ‘실질 형태소’, ‘형식 형태소’를 구분한다. 철수’, ‘책’, ‘읽었-’은 실질 형태소이고, ‘-가’, ‘-을’, ‘-다’ 는 형식 형태소라고 분석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자립의 유무에 따라서도 ‘자립 형태소’와 ‘의존 형태소’로 나뉘며 ‘철수’, ‘책’은 자립 형태소, ‘-가’, ‘-을’, ‘읽-’, ‘었-’, ‘-다’, 는 의존 형태소로 분류한다.
형태소는 앞서 배운 음소와 똑같은 개념이다. 음소가 물리적으로 다른 소리들을 하나의 소리라고 인식하는 추상적·심리적 지식이라면 형태소도 음성적으로 다른 여러개의 형태들을 하나의 형태라고 인식하는 추상적인 지식이다. 형태소 ‘웃-’이 ‘웃어[우서]’, ‘웃고[
형태소는 앞서 배운 음소와 똑같은 개념이다. 음소가 물리적으로 다른 소리들을 하나의 소리라고 인식하는 추상적·심리적 지식이라면 형태소도 음성적으로 다른 여러개의 형태들을 하나의 형태라고 인식하는 추상적인 지식이다. 형태소 ‘웃-’이 ‘웃어[우서]’, ‘웃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