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법 정리 [A+]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문법 정리 [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음운론(2)
· 음운 현상
-다음의 여러 문장에서 ‘밥’이 어떻게 발음되는가?
ㄱ. 한국사람은 밥을 먹어야 한다. [밥]
ㄴ. 여우야 여우야, 뭐하니? 밥 먹는다. [밤] > 비음화
ㄷ. 잡곡밥이 몸에 좋다지만 [빱] > 경음화
매끼 잡곡밥만 먹기는 쉽지 않다. [빰] > 비음화, 경음화
- 이처럼 나타나는 환경·조건에 따라 음소가 소리가 달라지는 것 → 음운 현상
- 음운이 앞, 뒤에 무엇이 오느냐에 따라서, 즉 음운이 어떤 환경·조건에서 다른 음운으로 소리가 바뀌는 것을 음운 현상이라 함.
· 음운 현상의 개념
- 한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거나 없어지거나 첨가되는 등의 현상을 일컫는다.
- 음운 변동(공시적 현상): 시간의 흐름을 멈추고 우리가 하는 말, 즉 현대국어의 관점에서 나타나는 음운 현상
- 음운 변화(통시적 현상): 시대 흐름의 관점에서 나타나는 음운 현상
- 변동과 변화의 차이
변동: 그 환경에서만 그렇게 나타나는 것, 특정 환경에서만 나타났다가 특정 환경이 사라지면 원래대로 돌아옴
변화: 완전히 바뀌는 것, 특정 환경이 없어졌음에도 그대로 계속 진행되고 나타남.
- 이러한 공시적·통시적 음운 현상이 일반화가 가능하다면 ‘규칙’이고 일반화가 불가능하다면 ‘기타’임
- 음운 현상 중에 규칙적인 것만 음운 규칙이라 보고, 규칙화 할 수 없는 것은 기타 음운 현상이라 함
· 현대 국어의 음운 현상
(1) 평폐쇄음화 (음절 말 평폐쇄음화)
- 종성에서 모든 장애음이 ‘ㅂ, ㄷ, ㄱ‘ 중의 하나로 바뀌는 현상.
ex) 잎>입, 밭>받, 닦다> 닥다 : 유기음이나 경음이 모두 평음으로 바뀜
- ‘ㅅ, ㅆ, ㅈ, ㅊ, ㅎ‘은 모두 ‘ㄷ‘으로 바뀐다 : 평음화, 폐쇄음화도 동시에 일어난다.
- 다만 ‘ㅎ‘의 경우, ‘ㄴ, ㅅ‘ 앞에서 ‘ㄷ‘으로 바뀐다.
- 평폐쇄음화를 ‘중화‘라 부르기도 한다.
- ㅍ > ㅂ (종성일 때)
- ㄲ, ㅋ > ㄱ (종성일 때)
- ㅌ, ㅅ, ㅆ, ㅈ, ㅊ, > ㄷ (종성일 때)
- ㅎ > ㄷ (‘ㄴ, ㅅ’ 앞에서)
(2) 비음화
- ‘ㅂ, ㄷ, ㄱ‘이 비음 앞에서 ‘ㅁ, ㄴ, ㅇ‘으로 바뀌는 현상.
ex) ‘엿 먹는다’ > ‘연‘ (엿>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23.08.14
  • 저작시기2022.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205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