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학의 본질
1. 문학의 특성
2. 문학의 기능
3. 문학의 갈래
4. 문학의 가치
2. 문학의 수용과 창작
1. 문학의 수용과 창작 원리
2. 문학의 수용
3. 문학의 창조적 재구성
4. 문학의 창작
3. 문학과 문화
1. 문학 문화의 특성
2. 한국 문학의 특질과 흐름
3. 세계 문학의 양상과 흐름
4. 문학의 인접 영역
4. 문학의 가치화와 태도
1. 문학의 가치 인식
2. 문학 활동에의 능동적 참여
1. 문학의 특성
2. 문학의 기능
3. 문학의 갈래
4. 문학의 가치
2. 문학의 수용과 창작
1. 문학의 수용과 창작 원리
2. 문학의 수용
3. 문학의 창조적 재구성
4. 문학의 창작
3. 문학과 문화
1. 문학 문화의 특성
2. 한국 문학의 특질과 흐름
3. 세계 문학의 양상과 흐름
4. 문학의 인접 영역
4. 문학의 가치화와 태도
1. 문학의 가치 인식
2. 문학 활동에의 능동적 참여
본문내용
춘 완결된 형상이 지닌 아름다움
- 갈래별 미적 구조 : 노래하기 - 운율과 압축을 통한 율동감과 간결성
이야기하기 - 서사와 갈등을 통한 대표성, 전형성, 상징성
보여주기 - 말과 행동 (1) 문학 작품의 미적 구조 : 치밀하고 논리적인 내부 질서와 조직을
2. 문학작품의 구성
1) 문학 작품의 구성 요소 : 내용, 형식, 표현 - 문학작품의 미적효과가 내용,형식,표현의 유기적 구조에서 나온다
- 내용 : 인간의 삶과 관련된 주제의식
- 형식 : 문학적으로 형성된 문화 고유의 체계와 관습에 기반 → 문학은 관습과 그로부터의 일탈이라는
- 표현 : 발상의 참신함, 표현과정의 창의성 관계 속에서 문학적 가치를 얻는다.
2) 문학의 즐거움 : 사실을 아는 즐거움, 상상의 즐거움, 나를 깨닫는 즐거움
3. 문학 작품의 주제
1) 주제의 의미 : 작품이 주는 지, 정, 의 측면에서 제반 의도와 효과를 가리킴.
2) 주제의 구성 : 주체, 구조, 맥락
3) 문학 작품이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 이유 : 작가 의도 설명 불가, 작품은 독립적 존재, 문학의 함축적 언어
2. 문학의 수용
1. 문학작품의 이해와 감상 : 인지적, 미적, 윤리적 측면에서 감상한다.
2. 문학 작품의 비판적 창의적 수용
1) 필요성 : 우리의 삶을 돌아보게 한다, 문학의 심미성에 대한 작가의 인식과 태도 파악 가능
2) 단계 : 작품의 인식적, 미적, 윤리적 의미와 가치 파악 - 자신의 경험, 정서, 관점에 맞추어 수용 - 삶에 적용
접근방법
관점
관심 대상
전제
방법
장점
오류
문예사조
관련비평
외재적
비평
표현론
(생산론)
작품-작가
인간의 표현하고픈 욕구,
작품속 작가의 체험 포함
창작의도 연구
전기적 연구
심리상태 연구
깊은
작품 이해
의도의 오류
- 작가의 의도가 작품에 반영되지 않는다
낭만주의
(등불)
역사주의
효용론
(수용론)
작품-독자
독자는 작품을 통해 무언가를 얻음
독자의
감동 원인 검토
능동적
독자
감정의 오류
-독자가 느낀 의미와 작품의 진정한 의미의 불일치
-주관적 감정의 정도 확인 불가
사실주의
(거울)
반영론
(모방론)
작품-세계
작품의
현실 반영
작품속 세계연구
반영된 세계와
대상세계 비교
전형성 검토
문학의
현실성
획득
기계적 반영론
- 작품을 사실의 조립체나 역사 자료로 봄
- 우리나라 일제시대 문학
내재적
비평
존재론
(절대론)
작품자체
작품의 이해는
작품에서
(다양한 시각)
작품의 언어와
구조 연구
시분석에
효과적
-장편소설에 적용이 힘들다
-문학의 언어는 역사성을 담는다
형식주의
분석주의
구조주의
정독주의
신비평
분석주의
구조주의
형식주의
3. 문학 작품 이해의 관점과 비평 방법- 에이브럼즈의 거울과 등불
4. 문학 작품의 가치 내면화 : 문학 활동을 통해 인식적, 미적, 윤리적 가치를 자신의 삶에 투사하여
세계관을 넓히고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 + 공동체의 문학 문화를 발달
3. 문학의 창조적 재구성
1. 작품의 비판적, 창조적 재구성
- 독자는 작품의 가치를 그대로 수용하거나 자신의 관점에서 비판적, 창의적으로 재구성 할 수 있음
1) 작품 재구성활동의 의의 : ① 수용활동과 창작활동을 매개한다
② 세계에 대한 우리의 해석이 작가의 해석과 만나 대화하게 한다 - 작가와 상호작용
③ 미적 감수성을 발현시키고 상상력의 범위를 확장한다.
2) 작품 재구성의 방법 : 표현바꾸기, 갈래바꾸기, 패러디, 비평 글 쓰기
* 패러디 : 작품의 전반적인 이해에 도달 + 직접 창작 과정 체험
* 창작교육의 방법 : 개작, 모작, 생활 서정 표현
2. 문학 활동의 생활화
1) 문학의 일상성 : 문학은 일반 사람들의 일이며 일상의 일이다
2) 문학 활동을 통한 삶의 내면화 : 내면화를 통해 문학 작품의 가치를 자신의 삶에 적용하여 삶을 변화시키고
새로운 문학 활동으로 나아갈 바탕을 마련하게 한다.
4. 문학의 창작
1. 갈래에 따른 문학 작품의 창작
1) 시 : 주제 → 소재 → 표현기법 고려 → 창조 → 고쳐 쓰기 → 음미
2) 소설 : 주제, 소재 → 중심사건 구상 → 인물과 배경 결정 → 줄거리 → 플롯 구성 → 창작
2. 창작 결과의 공유
1) 작품을 읽고 토론해 본다.
2) 공동으로 작품을 다듬어 본다.
3) 공동으로 작품을 창작해 본다 - 협동창작
4) 다양한 방법으로 시연, 게시한다 - 시화전, 전시회, 학급문고, 교지, 인터넷 학급 홈페이지 등
* 노래를 부르거나 그림을 그리는 활동이 성악가나 화가가
- 갈래별 미적 구조 : 노래하기 - 운율과 압축을 통한 율동감과 간결성
이야기하기 - 서사와 갈등을 통한 대표성, 전형성, 상징성
보여주기 - 말과 행동 (1) 문학 작품의 미적 구조 : 치밀하고 논리적인 내부 질서와 조직을
2. 문학작품의 구성
1) 문학 작품의 구성 요소 : 내용, 형식, 표현 - 문학작품의 미적효과가 내용,형식,표현의 유기적 구조에서 나온다
- 내용 : 인간의 삶과 관련된 주제의식
- 형식 : 문학적으로 형성된 문화 고유의 체계와 관습에 기반 → 문학은 관습과 그로부터의 일탈이라는
- 표현 : 발상의 참신함, 표현과정의 창의성 관계 속에서 문학적 가치를 얻는다.
2) 문학의 즐거움 : 사실을 아는 즐거움, 상상의 즐거움, 나를 깨닫는 즐거움
3. 문학 작품의 주제
1) 주제의 의미 : 작품이 주는 지, 정, 의 측면에서 제반 의도와 효과를 가리킴.
2) 주제의 구성 : 주체, 구조, 맥락
3) 문학 작품이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 이유 : 작가 의도 설명 불가, 작품은 독립적 존재, 문학의 함축적 언어
2. 문학의 수용
1. 문학작품의 이해와 감상 : 인지적, 미적, 윤리적 측면에서 감상한다.
2. 문학 작품의 비판적 창의적 수용
1) 필요성 : 우리의 삶을 돌아보게 한다, 문학의 심미성에 대한 작가의 인식과 태도 파악 가능
2) 단계 : 작품의 인식적, 미적, 윤리적 의미와 가치 파악 - 자신의 경험, 정서, 관점에 맞추어 수용 - 삶에 적용
접근방법
관점
관심 대상
전제
방법
장점
오류
문예사조
관련비평
외재적
비평
표현론
(생산론)
작품-작가
인간의 표현하고픈 욕구,
작품속 작가의 체험 포함
창작의도 연구
전기적 연구
심리상태 연구
깊은
작품 이해
의도의 오류
- 작가의 의도가 작품에 반영되지 않는다
낭만주의
(등불)
역사주의
효용론
(수용론)
작품-독자
독자는 작품을 통해 무언가를 얻음
독자의
감동 원인 검토
능동적
독자
감정의 오류
-독자가 느낀 의미와 작품의 진정한 의미의 불일치
-주관적 감정의 정도 확인 불가
사실주의
(거울)
반영론
(모방론)
작품-세계
작품의
현실 반영
작품속 세계연구
반영된 세계와
대상세계 비교
전형성 검토
문학의
현실성
획득
기계적 반영론
- 작품을 사실의 조립체나 역사 자료로 봄
- 우리나라 일제시대 문학
내재적
비평
존재론
(절대론)
작품자체
작품의 이해는
작품에서
(다양한 시각)
작품의 언어와
구조 연구
시분석에
효과적
-장편소설에 적용이 힘들다
-문학의 언어는 역사성을 담는다
형식주의
분석주의
구조주의
정독주의
신비평
분석주의
구조주의
형식주의
3. 문학 작품 이해의 관점과 비평 방법- 에이브럼즈의 거울과 등불
4. 문학 작품의 가치 내면화 : 문학 활동을 통해 인식적, 미적, 윤리적 가치를 자신의 삶에 투사하여
세계관을 넓히고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 + 공동체의 문학 문화를 발달
3. 문학의 창조적 재구성
1. 작품의 비판적, 창조적 재구성
- 독자는 작품의 가치를 그대로 수용하거나 자신의 관점에서 비판적, 창의적으로 재구성 할 수 있음
1) 작품 재구성활동의 의의 : ① 수용활동과 창작활동을 매개한다
② 세계에 대한 우리의 해석이 작가의 해석과 만나 대화하게 한다 - 작가와 상호작용
③ 미적 감수성을 발현시키고 상상력의 범위를 확장한다.
2) 작품 재구성의 방법 : 표현바꾸기, 갈래바꾸기, 패러디, 비평 글 쓰기
* 패러디 : 작품의 전반적인 이해에 도달 + 직접 창작 과정 체험
* 창작교육의 방법 : 개작, 모작, 생활 서정 표현
2. 문학 활동의 생활화
1) 문학의 일상성 : 문학은 일반 사람들의 일이며 일상의 일이다
2) 문학 활동을 통한 삶의 내면화 : 내면화를 통해 문학 작품의 가치를 자신의 삶에 적용하여 삶을 변화시키고
새로운 문학 활동으로 나아갈 바탕을 마련하게 한다.
4. 문학의 창작
1. 갈래에 따른 문학 작품의 창작
1) 시 : 주제 → 소재 → 표현기법 고려 → 창조 → 고쳐 쓰기 → 음미
2) 소설 : 주제, 소재 → 중심사건 구상 → 인물과 배경 결정 → 줄거리 → 플롯 구성 → 창작
2. 창작 결과의 공유
1) 작품을 읽고 토론해 본다.
2) 공동으로 작품을 다듬어 본다.
3) 공동으로 작품을 창작해 본다 - 협동창작
4) 다양한 방법으로 시연, 게시한다 - 시화전, 전시회, 학급문고, 교지, 인터넷 학급 홈페이지 등
* 노래를 부르거나 그림을 그리는 활동이 성악가나 화가가
추천자료
문학비평이론 정리[문학이론][문학비평] [문학비평이론]
[북한문학]주체문예시대 북한문학의 특징에 대하여
에이브럼스의 비평 이론, 로만 야콥슨 의사소통 모델과 문학비평에의 적용
[비평이론, 문학이론, 문학비평이론] 문학비평과 문학비평이론
[문학교육][항존성][텍스트][반응중심이론][문학토의]문학교육의 정의, 문학교육의 항존성, ...
<중&#8231;고등학교 국어교과과정에 적용된 문학이론의 사례 분석> -작품 해석의 방법-
[고전주의 문학][고전주의][문학][풍자문학]고전주의 문학의 의미, 고전주의 문학의 성격, 고...
문학의 이론적 기초
현대문학비평이론 - 파이트 클럽 (Fight Club)1999
사회 문화 비평에 대한 이론적 고찰 [리얼리즘 문학 그랩스타인 만세전 효자동 이발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