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등학교 국어교과과정에 적용된 문학이론의 사례 분석> -작품 해석의 방법-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고등학교 국어교과과정에 적용된 문학이론의 사례 분석> -작품 해석의 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국어교과과정의 방향
1. 국어교육의 성격
2. 국어과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
3. 교육과정의 목표
4. 문학 교과의 내용체계와 내용
5. 제 7차 국어과 교과서의 편찬방향

Ⅲ. 교과서 수록 문학작품
1. 중학교『국어』교과서
2. 고등학교『국어』교과서
3. 고등학교『문학』교과서

Ⅳ. 중학교『국어』교과서의 작품
해석 방법

Ⅴ. 고등학교『국어』교과서의 작품
해석 방법

Ⅵ. 고등학교『문학』교과서의 작품
해석 방법
1. 디딤돌『문학』
2. 문원각『문학』

Ⅶ. 결론

Ⅷ.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측면에서 이해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이를 현실 상황에 적용하도록 하여 새로운 시각 마련에 중점을 두고 있다. 때문에 수용 미학적 관점을 취하지 않는 단원의 작품이라 하더라도 읽기 전후의 활동에 수용미학의 관점이 적용된 문제나 활동이 일정 부분 포함되어 있다.
역사전기주의 문학이론은 중등국어에서는 문학이 삶, 사회와 관련이 있음을 알게 하는 것으로 시작되어 고등국어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작품을 재조직하며, 문학 교과서에서는 문학사와 연계시켜 작품이 창작되는 시대상황과 문단의 경향까지를 이해하도록 하였다.
형식주의 문학이론 역시 고등국어로 넘어오면서 보다 구체적이고 심도 있게 변화되었다. 특히 일반 국어교과서에서 국어의 기능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문학 작품을 다루었다면, 문학 교과서에서는 작품, 작가, 독자의 관계를 중심으로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때문에 ‘지식’이 강조된 문학의 형식적 특성을 파악하는 부분이 중등국어 및 고등국어교과서에서 보다 강조된다. 중등국어에서 문학작품의 다양한 형식과 쓰임새를 이해하는 것이 대부분이라면 고등국어에서는 형식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작품을 능동적으로 해석하거나 형식을 실제 창작에 적용해보는 단계로까지 나아간다.
수용미학 이론이 중등국어 교과서에서 작품을 즐기고 감상하는 수준에서 적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면,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와서는 현실상황에의 적용 및 내면화의 수준으로 심화된다. 또한 국어 교과서에서 수용미학 이론이 국어의 기능적도구적 측면에 집중하여 다뤄졌다면, 문학 교과서에서는 작품 자체의 의미 이해 및 수용에 중점을 두고 있다.
문학을 비평할 수 있는 방법론적 틀은 여러 가지가 있다. 그러나 교과서에서는 일반적으로 역사전기, 형식주의, 수용미학 문학이론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학생의 입장에서 세 가지의 문학 수용의 안목을 점차적으로 심도 있게 키워나갈 수 있다는 점도 있지만, 문학을 바라보는 틀이 협소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편 문학 교과서만을 살펴봤을 때, ‘문원각’에서 출판된 문학 교과서에는 내용 확인을 위한 문제를 비롯하여 몇 가지 문학이론의 입장에서 작품을 해석해 볼 수 있는 학습활동이 많이 출제되어 있었다. 반면, ‘디딤돌’에서 출판된 문학 교과서에는 학습활동 문제가 ‘문원각’에 비해 굉장히 적었으며, 단순 내용 확인을 위한 문제만 출제되어 있는 문학 작품도 몇 가지 제시되었다. 이러한 확인 작업을 통해 과연 제한된 수업 시간 내에 그 많은 양의 학습활동이 가능할지(‘문원각’), 또는 적은 양의 학습활동으로 문학 작품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을지(‘디딤돌’) 의문이었다.
7차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가운데 현대시와 소설 영역의 학습활동은 학습자 중심으로 짜여진 교과서의 편찬방침을 집약적으로 드러낸다. 그러나 이 영역에서의 학습활동에서는 몇 가지 문제점이 발견되기도 한다. 해당 작품과 관련되어 제시된 학습활동이 너무 단순하다거나 문제의 내용이 작품의 의미와 주제를 파악하는데 혼란을 줄 수 있다는 점,「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예시답안이 잘못되거나 부정확하다는 점 등이 그것이다. 따라서 시단원의 학습활동에서는 운율과 어조가 두드러진 작품의 경우, 시를 소리 내서 읽으며 말소리나 어조에서 느끼는 아름다움을 말하고 의견을 교환하는 과제를 제시해야 한다. 그리하여 시의 아름다움을 직접 느끼고 진정한 의미에서 말하기와 듣기의 조절활동이 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보다 구체적으로 작품의 미적 구조를 파악하는 과제의 경우, 획일적이고 막연한 질문은 피해야 한다. 개별 시 작품들의 특성을 잘 살려, 그 작품의 미학적인 구성요소에 대한 사전정보를 제공하면서 구체적인 표현의 의미와 정서를 묻는 질문을 제시한다. 이때 학생들은 비로소 그 시의 특성과 구조를 터득하고 시의 아름다움을 제대로 이해하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학습활동의 실효성도 거둘 수 있을 것이다. 소설단원의 학습활동에서는 작품의 의미와 주제파악에 핵심이 되는 과제가 부과되어야 할 것이다. 고형진, “고등학교『국어』교과서의 "학습활동"에 대한 비판적 검토 -시와 소설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문학 교육학회 문학교육학 Vol.16, 2005
교육적사회적 요구를 충족시키면서 교과과정 및 교과서를 정립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일이다. 또한 이미 일반화된 교과교육 및 교수의 틀이 확고히 자리하고 있기에 현실적으로는 다양하고 실험적인 교육방식을 적용시키기 어려운 점도 있다. 따라서 교과서 및 지도서가 제시하는 학습목표를 주지하면서도 작품에 대한 이해를 이끌어낼 수 있는 수업을 위한 교수자의 노력이 요구된다. 수업을 만들고 완성하는 것은 결국 교사와 학생이기 때문이다.
Ⅷ. 참고문헌
고려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 중학교『국어』1, 교육인적자원부, 2001
고려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 중학교『국어』2, 교육인적자원부, 2002
고려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 중학교『국어』3, 교육인적자원부, 2003
고려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 중학교「국어과 교사용 지도서」1, 교육인적자원부, 2001
고려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 중학교「국어과 교사용 지도서」2, 교육인적자원부, 2002
고려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 중학교「국어과 교사용 지도서」3, 교육인적자원부, 2003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고등학교『국어』(상), 교육과학기술부, 2002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고등학교『국어』(하), 교육과학기술부, 2002
고등학교「국어과 교사용 지도서」(상),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국어과 교사용 지도서」(하),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문학 교사용 지도서」(상), 디딤돌
고등학교「문학 교사용 지도서」(하), 디딤돌
고등학교「문학 교사용 지도서」(상), 문원각
고등학교「문학 교사용 지도서」(하), 문원각
김영민 전정구,『문학이론연구』, 새문사, 1989
고형진, “고등학교『국어』교과서의 "학습활동"에 대한 비판적 검토 -시와 소설 단원을 중 심으로-”, 한국문학교육학회 문학교육학 Vol.16, 2005
유영희, “교과서 문학 제재의 수용 양상 및 특성 -제7차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문학교육학회 문학교육학 Vol.11, 2003
  • 가격7,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1.04.23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13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