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총 6개 독후감입니다.
본문내용
생활을 하며 감시 당하고 항상 교장에 의해 조종당하며 살아가는 학생들은 오직 공부만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던 어느 날 키팅 선생이 영어 교사로 부임한다. 그 뒤로 원리, 규칙을 무엇보다 중요시 여기는 엄격한 학교를 다니던 학생들은 키팅 선생의 교육관에 의해 서서히 변화하기 시작한다. 그는 첫 시간부터 책을 찢으라는 파격적인 수업 방식을 선보인다.
“자 이제 그 장을 몽땅 찢어 버려라, 어서 몽땅 찢어버려 뭘 겁내는 거지? 찢어버려!!“ 라고 말하는 부분에서 나도 모르게 쾌감을 느낀 것 같다. 키팅 선생은 이런 방법으로 학생들에게 “오늘을 살라”는 참다운 인생을 알려준다. 이에 감명받은 닐, 녹스, 토드 등 7명은 키팅 선생의 ‘죽은 시인의 사회’라는 서클을 이어가기로 한다. 그래서 그들은 학교 뒷산 동굴에서 모임을 갖고 점점 변화해간다. 특히 닐은 현실에서 벗어나 연극을 하고 싶어 하는 데 아버지의 반대로 꿈을 이룰 수 없어 슬퍼한다. 하지만 키팅 선생의 가르침에 의해 닐은 변화한다. 그리고 연극을 할 수 있게 된다. 아버지는 연극을 보러 오고, 닐은 아버지를 보면서 최선을 다한 연기를 했지만 공연이 끝나고 바로 끌려가게 된다. 키팅 선생도 아버지를 만나 설득하려 하지만 거절당하고 만다. 닐은 아버지에게 끌려가 크게 혼나고 전학을 시키겠다는 폭탄선언을 받는다, 결국 돌아온 날 밤, 닐은 자신이 연극에서 연기한 퍽이 쓰는 왕관을 써본 뒤 많은 생각을 하고 결국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한다. 닐이 선택한 죽음이 학생들의 답답하고 억눌려 살고 있는 상황을 보여주는 것 같았다. 그 후에도 그 동안에 원리, 규칙만 준수하는 학교는 학생들의 자유와 열정을 키우는 그의 파격적인 교육관을 받아들이지 않았고, 키팅 선생은 학교와 부딪히며 갈등을 겪게 된다. 결국 키팅 선생이 죽은 시인의 사회를 결성했다는 사실을 학교가 알게 되고 키팅 선생을 달갑게 보지 않던 교장은 닐의 죽음을 키팅 선생의 책임으로 규정짓고는 키팅 선생은 누명을 쓰게 되고 해고를 당하게 된다.
키팅 선생이 떠나는 마지막 날 한 학생이 그의 결백을 주장하기 위해서 책상 위에 올라가 “오 캡틴 마이 캡틴”을 외치고 나중에는 모든 학생이 책상에 올라가 그의 마지막을 배웅하는 장면은 정말 인상 깊었고 강한 여운이 남았다. 학생들이 전부 책상 위에 올라간 모습이 아직도 선명하게 보이는 것 같다.
‘죽은 시인의 사회’ 속에는 정말 많은 명대사가 담겨있다. 먼저 가장 잘 알려진 대사는“Carpe diem”이다, “현재를 즐겨라” 정말 멋있는 말이라고 생각한다. 현재를 즐기라는 뜻은 마냥 즐겁게 사는 것이 아니라 학생이라면 학생만이 가지고 생각할 수 있는 꿈과 이상을 지니고 학창시절을 보내라는 뜻인 것 같다. 나는 아직 대학생이지만 벌써 중, 고등학교가 그리울 때가 있다. 더 나이가 들면 이런 생각을 더 많이 하게 될 것 같아서 지금이라도 학생으로서 나의 시간을 즐길 수 있는 삶을 살아야겠다. 그러면 만족할 수 있는 삶을 살 수 있을 것 같다. 가끔 나에게 지금의 삶이 행복하고 충분히 만족스러운지 확인하는 것도 나쁘지 않은 것 같다.
이 책에서 학교의 교육 현실에 대해서 비판하는 면도 크지만, 무엇보다 부모에 대한 비판의 비중이 크다고 생각한다. 비중이 큰 사건에 해당되는 닐의 죽음이 사실 부모의 잘못 된 욕망과 교육관 때문이라는 것 이다. 자신의 자식 역시 독립된 인격체인데 무조건 자신에 지시에 따라야 한다고 생각한 부모가 얼마나 위험한지를 볼 수 있는 부분이다. 현재 우리나라 부모들도 이러하다. 아이들을 학원에 보내는 것, 학교에 착실히 다니는 것 만 중요하게 생각하고 그 아이에 적성이나 취미를 찾을 시간은 주지 않는다. 부모들이 먼저 아이들의 입장에서 조금만 생각해주면 이런 문제도 확실히 줄어들 수 있을 것이다. 만약 부모들이 계속 아이들을 생각해주지 않는 다면 책 속의 연극을 꿈꾸던 닐과 같은 상황이 일어날 수도 있지 않을까?
2. 리어 왕
저자 : 윌리엄 셰익스피어 | 출판 : 민음사
리어 왕은 세 공주에게 나라를 나누어주기로 하고 가장 효성이 깊은 딸에게 더 큰 은혜를 내리겠다고 한다. 리어 왕은 첫째 딸 고네릴과 둘째 딸 리건의 거짓된 말에 넘어간다. 말만 달콤하고 리어 왕을 사랑하는 척하는 둘에게 넘어가 자신을 진실되게 사랑하는 막내 코딜리어의 마음을 몰라준다. 막내 코딜리어는 언니들과 달랐다. 리어 왕에게 덧붙임 없이 자신의 의견을 말한다. 거짓 없는 코딜리어의 말에 리어 왕은 실망하여 코딜리어를 변호한 켄트 백작과 함께 코딜리어를 내쫓아 버린다. 이후 왕권은 첫째와 둘째가 쥐었다고 할 수 있고 리어 왕은 나태해져 자신의 도리를 다 하지 않는다. 켄트 백작은 리어 왕이 자신을 내쫓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주군으로 섬긴다. 그래서 나중에 두 딸에게 버림받은 후에도 리어 왕을 보필한다. 리어 왕은 뒤늦게 막내의 사랑은 깨닫게 되고 후회한다. 하지만 이미 때는 늦어 모두가 파멸한 뒤였다. 이것이 감언이설에 넘어간 리어 왕의 최후였다. 리어 왕이 처신을 제대로 하고 막내 코딜리어의 말을 귀담아 들어주었다면 이런 결말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것이다. 이 책에 나오는 대표적인 키워드 세 개는 거짓, 진실, 사랑이라고 할 수 있다.
Singe my white head! And thou, all-shaking thunder,
Strike flat the thick rotundity o\'the world,
Crack nature\'s moulds, all germens spill at once That make ingrateful man!
리어 왕을 사랑하는 척하는 첫째와 둘째 딸에게 넘어가 자신을 진심으로 사랑하는 막내 코딜리어의 사랑을 몰라본다. 그러다 모든 것이 거짓이었던 첫째와 둘째에게 버림을 받게 된다. 리어 왕은 뒤늦게 막내의 사랑을 깨닫게 되고 후회한다. 거짓말과 아부에 넘어가 진실을 인지하지 못한 리어 왕의 최종적 모습이다. 이런한 리어 왕의 모습에서 교훈을 얻을 수 있다, 사람이 눈앞에 펼쳐진 좋은 것만 믿고 진실은 직시 못한다. 이런 행동은 매우 어리석은 것이다. 본질을 모르고 겉으로 보이는 것이 다라고 믿었을
“자 이제 그 장을 몽땅 찢어 버려라, 어서 몽땅 찢어버려 뭘 겁내는 거지? 찢어버려!!“ 라고 말하는 부분에서 나도 모르게 쾌감을 느낀 것 같다. 키팅 선생은 이런 방법으로 학생들에게 “오늘을 살라”는 참다운 인생을 알려준다. 이에 감명받은 닐, 녹스, 토드 등 7명은 키팅 선생의 ‘죽은 시인의 사회’라는 서클을 이어가기로 한다. 그래서 그들은 학교 뒷산 동굴에서 모임을 갖고 점점 변화해간다. 특히 닐은 현실에서 벗어나 연극을 하고 싶어 하는 데 아버지의 반대로 꿈을 이룰 수 없어 슬퍼한다. 하지만 키팅 선생의 가르침에 의해 닐은 변화한다. 그리고 연극을 할 수 있게 된다. 아버지는 연극을 보러 오고, 닐은 아버지를 보면서 최선을 다한 연기를 했지만 공연이 끝나고 바로 끌려가게 된다. 키팅 선생도 아버지를 만나 설득하려 하지만 거절당하고 만다. 닐은 아버지에게 끌려가 크게 혼나고 전학을 시키겠다는 폭탄선언을 받는다, 결국 돌아온 날 밤, 닐은 자신이 연극에서 연기한 퍽이 쓰는 왕관을 써본 뒤 많은 생각을 하고 결국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한다. 닐이 선택한 죽음이 학생들의 답답하고 억눌려 살고 있는 상황을 보여주는 것 같았다. 그 후에도 그 동안에 원리, 규칙만 준수하는 학교는 학생들의 자유와 열정을 키우는 그의 파격적인 교육관을 받아들이지 않았고, 키팅 선생은 학교와 부딪히며 갈등을 겪게 된다. 결국 키팅 선생이 죽은 시인의 사회를 결성했다는 사실을 학교가 알게 되고 키팅 선생을 달갑게 보지 않던 교장은 닐의 죽음을 키팅 선생의 책임으로 규정짓고는 키팅 선생은 누명을 쓰게 되고 해고를 당하게 된다.
키팅 선생이 떠나는 마지막 날 한 학생이 그의 결백을 주장하기 위해서 책상 위에 올라가 “오 캡틴 마이 캡틴”을 외치고 나중에는 모든 학생이 책상에 올라가 그의 마지막을 배웅하는 장면은 정말 인상 깊었고 강한 여운이 남았다. 학생들이 전부 책상 위에 올라간 모습이 아직도 선명하게 보이는 것 같다.
‘죽은 시인의 사회’ 속에는 정말 많은 명대사가 담겨있다. 먼저 가장 잘 알려진 대사는“Carpe diem”이다, “현재를 즐겨라” 정말 멋있는 말이라고 생각한다. 현재를 즐기라는 뜻은 마냥 즐겁게 사는 것이 아니라 학생이라면 학생만이 가지고 생각할 수 있는 꿈과 이상을 지니고 학창시절을 보내라는 뜻인 것 같다. 나는 아직 대학생이지만 벌써 중, 고등학교가 그리울 때가 있다. 더 나이가 들면 이런 생각을 더 많이 하게 될 것 같아서 지금이라도 학생으로서 나의 시간을 즐길 수 있는 삶을 살아야겠다. 그러면 만족할 수 있는 삶을 살 수 있을 것 같다. 가끔 나에게 지금의 삶이 행복하고 충분히 만족스러운지 확인하는 것도 나쁘지 않은 것 같다.
이 책에서 학교의 교육 현실에 대해서 비판하는 면도 크지만, 무엇보다 부모에 대한 비판의 비중이 크다고 생각한다. 비중이 큰 사건에 해당되는 닐의 죽음이 사실 부모의 잘못 된 욕망과 교육관 때문이라는 것 이다. 자신의 자식 역시 독립된 인격체인데 무조건 자신에 지시에 따라야 한다고 생각한 부모가 얼마나 위험한지를 볼 수 있는 부분이다. 현재 우리나라 부모들도 이러하다. 아이들을 학원에 보내는 것, 학교에 착실히 다니는 것 만 중요하게 생각하고 그 아이에 적성이나 취미를 찾을 시간은 주지 않는다. 부모들이 먼저 아이들의 입장에서 조금만 생각해주면 이런 문제도 확실히 줄어들 수 있을 것이다. 만약 부모들이 계속 아이들을 생각해주지 않는 다면 책 속의 연극을 꿈꾸던 닐과 같은 상황이 일어날 수도 있지 않을까?
2. 리어 왕
저자 : 윌리엄 셰익스피어 | 출판 : 민음사
리어 왕은 세 공주에게 나라를 나누어주기로 하고 가장 효성이 깊은 딸에게 더 큰 은혜를 내리겠다고 한다. 리어 왕은 첫째 딸 고네릴과 둘째 딸 리건의 거짓된 말에 넘어간다. 말만 달콤하고 리어 왕을 사랑하는 척하는 둘에게 넘어가 자신을 진실되게 사랑하는 막내 코딜리어의 마음을 몰라준다. 막내 코딜리어는 언니들과 달랐다. 리어 왕에게 덧붙임 없이 자신의 의견을 말한다. 거짓 없는 코딜리어의 말에 리어 왕은 실망하여 코딜리어를 변호한 켄트 백작과 함께 코딜리어를 내쫓아 버린다. 이후 왕권은 첫째와 둘째가 쥐었다고 할 수 있고 리어 왕은 나태해져 자신의 도리를 다 하지 않는다. 켄트 백작은 리어 왕이 자신을 내쫓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주군으로 섬긴다. 그래서 나중에 두 딸에게 버림받은 후에도 리어 왕을 보필한다. 리어 왕은 뒤늦게 막내의 사랑은 깨닫게 되고 후회한다. 하지만 이미 때는 늦어 모두가 파멸한 뒤였다. 이것이 감언이설에 넘어간 리어 왕의 최후였다. 리어 왕이 처신을 제대로 하고 막내 코딜리어의 말을 귀담아 들어주었다면 이런 결말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것이다. 이 책에 나오는 대표적인 키워드 세 개는 거짓, 진실, 사랑이라고 할 수 있다.
Singe my white head! And thou, all-shaking thunder,
Strike flat the thick rotundity o\'the world,
Crack nature\'s moulds, all germens spill at once That make ingrateful man!
리어 왕을 사랑하는 척하는 첫째와 둘째 딸에게 넘어가 자신을 진심으로 사랑하는 막내 코딜리어의 사랑을 몰라본다. 그러다 모든 것이 거짓이었던 첫째와 둘째에게 버림을 받게 된다. 리어 왕은 뒤늦게 막내의 사랑을 깨닫게 되고 후회한다. 거짓말과 아부에 넘어가 진실을 인지하지 못한 리어 왕의 최종적 모습이다. 이런한 리어 왕의 모습에서 교훈을 얻을 수 있다, 사람이 눈앞에 펼쳐진 좋은 것만 믿고 진실은 직시 못한다. 이런 행동은 매우 어리석은 것이다. 본질을 모르고 겉으로 보이는 것이 다라고 믿었을
추천자료
CEO 최고경영자를 위한 도서감상문 모음
독후감세계명작영어번역
[독후감]≪ 명작순례(유홍준)≫를 읽고...
명작 독후감 모음 11편!!!!
[A+ 독후감 모음] 명작 3편 모음 (어린왕자, 나의 라임오렌지나무, 노인과 바다)
[A+ 독후감 모음] 베스트셀러 3편 모음 (국가란 무엇인가, 어떻게 살 것인가, 82년생 김지영)
[A+ 독후감 모음] 명작 3편 모음 (모리와 함께한 화요일, 왜 세계는 굶주리는 가, 사흘만 볼 ...
[名作]독후감 모음집(A+, 100권) 독후감으로 고민하지 마세요. 이 파일 하나로 모든 고민은 끝~!
독후감 모음집(A+, 100권) -> 서울대 권장도서 독후감, 국문과 과제 및 독후감 중 A+ 평가작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