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심리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심리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성 확립이며 이것이 이루어지지 못한다면 양성에 대한 혼란이 올 수 있다.
(6) 18세~35세, 친밀성 대 고립감
이 시기에는 공식적인 성인 생활이 시작된다. 그리고 직업 선택 및 배우자 선택이 이루어지며 타인과의 지속적인 교류를 통해 친밀성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친밀성 및 대인 관계의 근거는 자아 정체감이다.
(7) 35세~65세, 생산성 대 침체감
이 시기에는 생산성을 통해 생산, 양육, 그것에 따른 본인의 자손 성취에 대한 개인적 만족감을 느낀다. 만약 생산성이 온전하게 발휘되지 않는다면 침체감이 형성된다.
(8) 65세 이상, 통합성 대 절망
이 시기는 노년기로서 신체적으로 노쇠해지며 직업 은퇴 후 지인 및 가족들의 사망 등으로 인해 인생에 대해 무력감과 회의감을 느끼게 된다. 이 시기에는 본인의 삶의 의미를 찾아 자아 통합을 이루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만약 그것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절망에 빠지게 된다.
2.3 시사점
에릭슨의 이론은 정신분석 이론을 확대시킴으로서 자아의 성장 가능성에 대해 제시하였으며 인간의 건강한 발달과 관련한 새로운 통찰력을 부여했다는 부분에서 기여하는 바가 매우 크다.
에릭슨은 인간발달의 과정에 대해 8단계(stage)로 분류하여 설명하고 있다. 단계는 단편, 단절이 아닌 각각을 연속으로 보고 인간발달 과정의 특정 단계가 성공적으로 성취되면 그 결과가 쌓이고 다음 단계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였다.
에릭슨의 성격 발달 이론은 영유아와 청소년들이 발달의 과정에서 경험하는 갈등의 유형에 대해 이해하는데 도움을 제공하며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에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콜버그와 에릭슨의 이론에 대해 알아보고 교육적 시사점에 대해 서술해보았다. 인간의 발달은 인간이 하는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연구되어야 하는 분야이다. 그만큼 인간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해 면밀히 검토해야하고 그러한 기준에 따라서 다양한 이론이 존재할 수 밖에 없다. 그러므로 인간발달이론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며 새로운 이론이 지속적으로 만들어질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인간발달이론에 대한 관심을 꾸준히 가지고 있으면서 변화하는 학계의 이론적 움직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조복희, 도현심 <인간발달>, 교문사, 2016
정옥분 <전생애 인간발달 이론>, 학지사, 2015
이현림, 김영숙 <인간발달과 교육>, 교육과학사, 2016
  • 가격5,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4.03.04
  • 저작시기2023.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427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