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아래 문제에 대하여 교재를 참조하여 각각 서술해주세요.
⑴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의 생활상을 비교·설명해주세요.
⑵ 삼국사회의 신분제와 농민생활을 설명해주세요.
⑶ 신라 하대의 정치·사회 변동과 사상계의 변화를 설명해주세요.
⑷ 10~12세기의 다원적 국제질서와 고려의 ‘외왕내제’를 설명해주세요.
⑸ 고려 후기 역사 서술과 역사 인식을 설명해주세요.
- 목 차 -
⑴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의 생활상을 비교·설명해주세요.
⑵ 삼국사회의 신분제와 농민생활을 설명해주세요.
⑶ 신라 하대의 정치·사회 변동과 사상계의 변화를 설명해주세요.
⑷ 10~12세기의 다원적 국제질서와 고려의 ‘외왕내제’를 설명해주세요.
⑸ 고려 후기 역사 서술과 역사 인식을 설명해주세요.
참고문헌
** 함께 제공되는 참고자료 한글파일 **
1. 10~12세기의 다원적 국제질서와 고려의 ‘외왕내제’.hwp
2. 10~12세기의 다원적 국제질서와 고려의 ‘외왕내제’2.hwp
3. 고려 후기 역사 서술과 역사 인식.hwp
4. 고려 후기 역사 서술과 역사 인식2.hwp
5.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의 생활상.hwp
6.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의 생활상2.hwp
7. 삼국사회의 신분제와 농민생활.hwp
8. 삼국사회의 신분제와 농민생활2.hwp
9. 신라 하대의 정치·사회 변동과 사상계의 변화.hwp
10. 신라 하대의 정치·사회 변동과 사상계의 변화2.hwp
⑴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의 생활상을 비교·설명해주세요.
⑵ 삼국사회의 신분제와 농민생활을 설명해주세요.
⑶ 신라 하대의 정치·사회 변동과 사상계의 변화를 설명해주세요.
⑷ 10~12세기의 다원적 국제질서와 고려의 ‘외왕내제’를 설명해주세요.
⑸ 고려 후기 역사 서술과 역사 인식을 설명해주세요.
- 목 차 -
⑴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의 생활상을 비교·설명해주세요.
⑵ 삼국사회의 신분제와 농민생활을 설명해주세요.
⑶ 신라 하대의 정치·사회 변동과 사상계의 변화를 설명해주세요.
⑷ 10~12세기의 다원적 국제질서와 고려의 ‘외왕내제’를 설명해주세요.
⑸ 고려 후기 역사 서술과 역사 인식을 설명해주세요.
참고문헌
** 함께 제공되는 참고자료 한글파일 **
1. 10~12세기의 다원적 국제질서와 고려의 ‘외왕내제’.hwp
2. 10~12세기의 다원적 국제질서와 고려의 ‘외왕내제’2.hwp
3. 고려 후기 역사 서술과 역사 인식.hwp
4. 고려 후기 역사 서술과 역사 인식2.hwp
5.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의 생활상.hwp
6.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의 생활상2.hwp
7. 삼국사회의 신분제와 농민생활.hwp
8. 삼국사회의 신분제와 농민생활2.hwp
9. 신라 하대의 정치·사회 변동과 사상계의 변화.hwp
10. 신라 하대의 정치·사회 변동과 사상계의 변화2.hwp
본문내용
⑴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의 생활상을 비교·설명해주세요.
1) 구석기시대의 생활상
인류가 등장한 이래, 약 1만 2천 년 전까지는 돌을 깨거나 떼어 내어 만든 뗀석기를 사용하였다. 이 시기를 구석기시대라고 부른다. 몸돌에서 떼어 낸 조각을 가지고 긁개, 자르개, 밀개 등의 정교한 도구를 만들었다. 주먹도끼는 경기도 연천군 전곡리에서 발견된 이래, 전국 각지에서 출토되었다. 슴베찌르개는 구석기시대 후기의 대표적인 유물로서 돌날의 끝 부분을 잔손질하여 나무 자루에 장착할 수 있는 슴베를 만들어 주로 사냥도구로 사용하였다.
구석기시대 유적은 주로 석회암 동굴과 바위 그늘, 강가에서 발견된다. 대표적인 유적으로 상원 검은모루, 제천 점말동굴, 연천 전곡리, 공주 석장리 등이 있다. 구석기시대 중기에 한반도에 사는 구석기인이 비로소 마찰열로 불을 피우는 방법을 알게 되었다. 공주 석장리와 단양 수양개에서 고래와 물고기등을 새긴 조각이 발견되었고, 청원 두루봉동굴에서는 사람 얼굴을 새긴 사슴 뼈가 발견되었다. 이와 같은 예술품에는 구석기인이 사냥감의 번성을 비는주술적인 의미가 깃들어있다.
2) 신석기시대의 생활상
약 1만 2천 년 전쯤에 빙하기가 끝나고 기후가 따뜻해지면서 지구의 환경이 오늘날과비슷해졌다. 사람들은 이 무렵부터 돌을 갈아 만든 간석기와 토기를 사용했는데, 이때부터를 신석기시대라고 부른다. 신석기시대 중기인 약 5,500년 전 무렵부터 농경과 가축의 사육이 시작되었다, 당시까지도 여전히 채집과사냥, 고기잡이가 경제생활의 중심을 이루었다. 대표적인 유적으로 부산 동삼동, 서울 암사동을 들 수 있다. 농경의 시작 이후 간석기로 괭이, 보습, 낫 등 다양한 농기구를 만들었으며, 식량 가공 도구로서 갈돌과 갈판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신석기시대 후기에 정착생활로 인구가 늘어나자 같은 핏줄의 씨족이 모여 마을을 형성하고, 몇 개의 씨족이 모여 부족을 이루었으며 같은 씨족끼리는 혼인하지 않았다.
신석기시대 사람들은 씨족이나 부족 단위로 공동으로 식량을 채집하거나 생산하고 분배하는 공동체 생활을 하였으며, 연장자나 경험이 풍부한 사람이 공동체를 이끌었다. 씨족공동체에서 여성이 토기를 만들고 농사를 짓거나, 또는 옷을 만드는 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기 때문에 신석기시대를 ‘모계씨족사회’라고 부르기도 한다. 신석기시대는 인간의 생활에 영향을 끼치는 해, 달, 강, 산, 동물, 큰 나무 등에 영혼이 있다고 믿었는데, 이를 애니미즘이라고 부른다. 신석기시대의 여러 유적에서 독무덤과 움무덤이 발견되었다. 울진 후포리에서는 40여 명 이상의 뼈를 묻은 무덤구덩이가 발견 되었는데, 다른 곳에 시신을 묻었다가 뼈만 추려서 다시 묻은 것이었다. 여기에서 마치 사람 뼈를 덮듯이 깔려 있는 돌도끼가 상당히 많이 발견되어 신석기 시대에도 장례의식을 치렀음을 알 수 있다.
3)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의 생활상
구석기시대는 인류가 나타난 이래 약 1만 2천 년 전까지 뗀석기를 사용한 시기이다. 한반도의 구석기인은 동물의 뼈나 뿔로 만든 도구와 뗀석기를 사용하여 채집과 사냥을 하였다. 이들은 무리지어 먹잇감을 찾아 이동하면서 동굴이나 바위그늘에서 생활하였다. 구석기 시대의 도구로서 주먹도끼는 전국에서 출토되었다. 슴베찌르개는 구석기시대 후기의 대표적 유물이다. 구석기인들은 불을 사용했고, 상징적인 언어를 쓰기 시작했다. 이들은 사냥감이 번성하기를 비는 주술적 의미의 그림과 조각을 남겼다. 공주 석장리, 단양 수양개, 청원 두루봉동굴에서 이러한 구석기 예술품이 발견되었다.
신석기시대는 농경과 목축, 정착생활을 하게 된 단계(‘신석기혁명’)로 한반도의 신석기시대는 기원전 8천년경 시작되었다. 신석기인들은 간석기와 토기를 사용하였는데, 빗살무늬토기가 대표적이다. 이들은 씨족 단위의 평등한 ‘원시공동체사회’를 이루어 살았다. 신석기시대에는 농경 정착생활을 하면서 애니미즘, 토테미즘, 영혼숭배와 같은 신앙이 생겨났다.
송찬섭 외 공저, 한국사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3-8쪽.
⑵ 삼국사회의 신분제와 농민생활을 설명해주세요.
1) 삼국사회의 신분제
삼국은 중앙과 지방의 통치조직을 갖추고 지배층의 권위 유지를 위해 신분제를 시행하였는데, 신라의 골품제가 대표적이다. 국가 운영의 기본 법제로는 율령을 마련하였다. 고대사회의 기본적 생산 담당자는 민이었는데, 소국, 읍락 지배층 일부는 중앙귀족으로 편입되고 읍락민은 조세와 역역(力役)을 부담하는 공민(公民)으로 편제되었다. 고구려의 진대법은 가난한 농민을 구제하려는 제도였다. 4세기 이후 철제 농기구와 우경 보급, 수리시설 확대로 농업생산력이 늘어나고 남부 지방에서는 벼농사가 행해졌다.
고구려의 신분제도는 고분벽화를 통해 알 수 있는데 왕족, 귀족들은 크게 그려져 있고 노비나 낮은 신분의 인물은 작게 그려져 있다. 백제의 신분제도는 관등체계에 따라 엄격히 구별되어 있었다. 즉 1관등은 솔(率)류이고, 2관등은 덕(德)류, 3관등은 무관 계열이었다.
- 중략 -
1) 구석기시대의 생활상
인류가 등장한 이래, 약 1만 2천 년 전까지는 돌을 깨거나 떼어 내어 만든 뗀석기를 사용하였다. 이 시기를 구석기시대라고 부른다. 몸돌에서 떼어 낸 조각을 가지고 긁개, 자르개, 밀개 등의 정교한 도구를 만들었다. 주먹도끼는 경기도 연천군 전곡리에서 발견된 이래, 전국 각지에서 출토되었다. 슴베찌르개는 구석기시대 후기의 대표적인 유물로서 돌날의 끝 부분을 잔손질하여 나무 자루에 장착할 수 있는 슴베를 만들어 주로 사냥도구로 사용하였다.
구석기시대 유적은 주로 석회암 동굴과 바위 그늘, 강가에서 발견된다. 대표적인 유적으로 상원 검은모루, 제천 점말동굴, 연천 전곡리, 공주 석장리 등이 있다. 구석기시대 중기에 한반도에 사는 구석기인이 비로소 마찰열로 불을 피우는 방법을 알게 되었다. 공주 석장리와 단양 수양개에서 고래와 물고기등을 새긴 조각이 발견되었고, 청원 두루봉동굴에서는 사람 얼굴을 새긴 사슴 뼈가 발견되었다. 이와 같은 예술품에는 구석기인이 사냥감의 번성을 비는주술적인 의미가 깃들어있다.
2) 신석기시대의 생활상
약 1만 2천 년 전쯤에 빙하기가 끝나고 기후가 따뜻해지면서 지구의 환경이 오늘날과비슷해졌다. 사람들은 이 무렵부터 돌을 갈아 만든 간석기와 토기를 사용했는데, 이때부터를 신석기시대라고 부른다. 신석기시대 중기인 약 5,500년 전 무렵부터 농경과 가축의 사육이 시작되었다, 당시까지도 여전히 채집과사냥, 고기잡이가 경제생활의 중심을 이루었다. 대표적인 유적으로 부산 동삼동, 서울 암사동을 들 수 있다. 농경의 시작 이후 간석기로 괭이, 보습, 낫 등 다양한 농기구를 만들었으며, 식량 가공 도구로서 갈돌과 갈판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신석기시대 후기에 정착생활로 인구가 늘어나자 같은 핏줄의 씨족이 모여 마을을 형성하고, 몇 개의 씨족이 모여 부족을 이루었으며 같은 씨족끼리는 혼인하지 않았다.
신석기시대 사람들은 씨족이나 부족 단위로 공동으로 식량을 채집하거나 생산하고 분배하는 공동체 생활을 하였으며, 연장자나 경험이 풍부한 사람이 공동체를 이끌었다. 씨족공동체에서 여성이 토기를 만들고 농사를 짓거나, 또는 옷을 만드는 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기 때문에 신석기시대를 ‘모계씨족사회’라고 부르기도 한다. 신석기시대는 인간의 생활에 영향을 끼치는 해, 달, 강, 산, 동물, 큰 나무 등에 영혼이 있다고 믿었는데, 이를 애니미즘이라고 부른다. 신석기시대의 여러 유적에서 독무덤과 움무덤이 발견되었다. 울진 후포리에서는 40여 명 이상의 뼈를 묻은 무덤구덩이가 발견 되었는데, 다른 곳에 시신을 묻었다가 뼈만 추려서 다시 묻은 것이었다. 여기에서 마치 사람 뼈를 덮듯이 깔려 있는 돌도끼가 상당히 많이 발견되어 신석기 시대에도 장례의식을 치렀음을 알 수 있다.
3)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의 생활상
구석기시대는 인류가 나타난 이래 약 1만 2천 년 전까지 뗀석기를 사용한 시기이다. 한반도의 구석기인은 동물의 뼈나 뿔로 만든 도구와 뗀석기를 사용하여 채집과 사냥을 하였다. 이들은 무리지어 먹잇감을 찾아 이동하면서 동굴이나 바위그늘에서 생활하였다. 구석기 시대의 도구로서 주먹도끼는 전국에서 출토되었다. 슴베찌르개는 구석기시대 후기의 대표적 유물이다. 구석기인들은 불을 사용했고, 상징적인 언어를 쓰기 시작했다. 이들은 사냥감이 번성하기를 비는 주술적 의미의 그림과 조각을 남겼다. 공주 석장리, 단양 수양개, 청원 두루봉동굴에서 이러한 구석기 예술품이 발견되었다.
신석기시대는 농경과 목축, 정착생활을 하게 된 단계(‘신석기혁명’)로 한반도의 신석기시대는 기원전 8천년경 시작되었다. 신석기인들은 간석기와 토기를 사용하였는데, 빗살무늬토기가 대표적이다. 이들은 씨족 단위의 평등한 ‘원시공동체사회’를 이루어 살았다. 신석기시대에는 농경 정착생활을 하면서 애니미즘, 토테미즘, 영혼숭배와 같은 신앙이 생겨났다.
송찬섭 외 공저, 한국사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3-8쪽.
⑵ 삼국사회의 신분제와 농민생활을 설명해주세요.
1) 삼국사회의 신분제
삼국은 중앙과 지방의 통치조직을 갖추고 지배층의 권위 유지를 위해 신분제를 시행하였는데, 신라의 골품제가 대표적이다. 국가 운영의 기본 법제로는 율령을 마련하였다. 고대사회의 기본적 생산 담당자는 민이었는데, 소국, 읍락 지배층 일부는 중앙귀족으로 편입되고 읍락민은 조세와 역역(力役)을 부담하는 공민(公民)으로 편제되었다. 고구려의 진대법은 가난한 농민을 구제하려는 제도였다. 4세기 이후 철제 농기구와 우경 보급, 수리시설 확대로 농업생산력이 늘어나고 남부 지방에서는 벼농사가 행해졌다.
고구려의 신분제도는 고분벽화를 통해 알 수 있는데 왕족, 귀족들은 크게 그려져 있고 노비나 낮은 신분의 인물은 작게 그려져 있다. 백제의 신분제도는 관등체계에 따라 엄격히 구별되어 있었다. 즉 1관등은 솔(率)류이고, 2관등은 덕(德)류, 3관등은 무관 계열이었다.
- 중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