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신부전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급성 신부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악성빈혈
D-bilirubin
0.11
▼ 0.02
0.1~0.4
mg/dl
증가:간염, 간경변증, 담도계 질환, 폐쇄성 황달
AST
10
18
5~40 U/L
증가:간경변 초기, 급성간염(초기), 알콜성 간염, 용혈성 질환
ALT
10
8
5~41 U/L
증가:간경변초기, 급성간염(초기), 알콜성 간염, 용혈성 질환
ALP
61
39
35~130 IU/L
증가: 담즙울체, 급성간염, 간암, 담도암, 골질환, 소아, 임신, 성장기 청소년
감소: 선천성 저 ALP혈증, 악성빈혈, 괴혈병
r-GTP
32
18
10~71 IU/L
증가: 알콜성 간장애, 약제성 간염, 담도폐색, 간암, 만성간염
total cholesterol
▼ 67
100~220
mg/dl
증가: 동맥경화, 심장근경색, 협심증, 뇌졸중
total amylase
▼ 26
30~115
U/L
증가: 급·만성 췌장염, 췌장암, 이하선염, 간.담도 질환, 소화성 궤양의 천공
감소: 췌장질환 말기, 고도의 당뇨병, 간경변
creatinine
▲ 2.40
▲ 2.34
0.5~1.2 mg/dl
감소: 사구체 신염, 신부전, 뇨독증, 울혈성 심부전, 당뇨병성 Ketoacidosis 말단비대증
증가: 중증 근이영양증, 임신, 간기능장애
BUN
▲ 58.3
▲ 60.1
6-23
mg/dl
증가: 신기능 장애, 신부전, 요로폐쇄, 탈수증, 요독증
감소: 간부전, 임신, 저단백식, 간부전, 요붕증
Uric acid
▲ 9.2
2.5~7.5
mg/dl
증가: 통풍, 비만, 신부전, 백혈병, 악성종양
감소: 세뇨관 재흡수 장애, 임신, 만성신장질환
LDH
222
135~250
U/L
증가: 용혈성 빈혈, 악성빈혈, 심근경색, 백혈병, 악성종양, 급성간염, 감염증
감소: DH 부분 결손증, 항 종양제, 면역 억제제 투여
Triglyceride
80.9
48~250 mg/dl
증가: 가족성 lipoprotein 혈증, 당뇨병, 동맥경화, 가족성 HDL lipoprotein 결손증
감소: β-Lipoprotein 결손증, 전격성 간염, 간암
total calcium
8.4
8.2~10.8 mg/dl
증가: Vitamin D 과잉증, 부갑상선 항진증, 골의 급격한 파괴
감소: Vitamin D 결핍증, 부갑상선 기능저하증
phosphorus
3.0
2.5~4.5mg/dl
증가: 급·만성 신부전, 특발성 부갑상선 기능저하증, Vit. D 과잉
감소: 골연화증, 원발성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Vit.D 결핍증
sodium
142
139
135~145
mEq/L
증가: 수분결핍, 당뇨병, 뇨붕증, 원발성 aldosterone증, Cushing 증후군
감소: 고지혈증, 고혈당(이상 위성감소), 설사, 구토, Addison 병
potassium
▲ 5.58
5.36
3.5~5.5
mEq/L
증가: 급·만성신부전, Addison 병, Aldosterone 결핍증, Heparin 치료
감소: 구토, 만성설사, 알칼리증, Cushing 증후군, 효소결핍
chloride
▲ 117
▲ 114.5
98~110
mEq/L
증가: 설사, 과잉섭취, 호흡성 알칼리증, 고장성 탈수
감소: 구토, 위액흡인, 급성 감염증, 이뇨제 투여, 수분과잉
CPK
30
20~200
U/L
증가: 진행성 근이영양증, 다발성근염, 급성 심근경색, 갑상선 기능저하증
감소: 갑상선 기능항진증, 만성 류마티스성 관절염
LDL
▼ 28
70~140 mg/dl
증가: 일차성 고지단백혈증, 가족성 고Cholesterol혈증
감소: 저 지단백혈증
Ionized calcium
1.29
1.1~1.35
mmol/L
증가: 기면증, 혼수상태, 신부전, 악성종양, 일차부갑상선항진
감소: 만성신부전, 부갑상선 저하증, 비타민D결핍증, 급성 췌장염
Lipase
▼ 11
13~60 U/L
증가: 급성 췌장염, 췌장암, 간경변, 소화성 궤양
CRP
▲ 2.47
▲ 3.68
0~0.3 mg/dl
증가: 교원병, 화농성 세균 감염증, 급성염증질환, 여러 감염증, 교원병, 악성 종양, 기관지염
globulin
2.8
2.2
2~3.5 g/dl
증가: 류마티스 관절염, 면역신경 질환, 간기능 저하, 만성 염증
감소: 간 기능 이상, 면역기능 저하, 단백질 부족
ammonia
24
23
16~60mmol/l
증가: 라이증후군, 간성혼수, 중증간장애, 심질환, 화상, 각종 피부질환, 쇼크, 요소회로의 선천성 기형
감소: 저단백식, 빈혈
pro-BNP
2286
0~300
증가: 심부전증, 심근경색
3) 요 대변 검사
진단검사
환자수치
정상수치
임상적 의의
S.G
(요비중검사)
1.030
1~1.030
증가: 고열, 발한, 구토, 설사, 탈수, 급성 사구체 신염
감소: 만성 사구체 신염, 다뇨증, 요붕증
pH
5.0
5~7.5
증가: 신질환, 대사성 및 호흡성 알칼리증, 구토, 세균에 의한 요로감염
감소: 대사성 및 호흡성 산혈증, 심한 설사, 고열, 탈수증
leukocyte
negative
negative
소변내에 백혈구가 있음을 의미. 요로감염시 그람 음성 간균의 감염을 의미.
nitrite
negative
negative
감염의 지표
protein
15mg/dl
negative
단백뇨 시 소변 검출
glucose
negative
negative
당뇨, 쿠싱 증후군 시 증가
ketones
negative
negative
당뇨, 중증탈수증, 소화 흡수장애
urobilinogen
negative
negative
간종양, 결석, 담도 폐색시 양성
bilirubin
negative
negative
blood
negative
negative
신장, 요로계 염증, 용혈 빈혈, 심근경색, 요로결석, 종양시 양성 반응.
wbc
<1
0~1
증가: 신장 감염, 방광염, 요로결석, 신장염
RBC
<1
0~1
증가: 다혈구증, 심장병, 흡연
감소: 빈혈, 엽산 부족, 만성 신부전, 만성 감염, 골수 이형성증
non-squamous EP cell
negative
negative
-
yeast
negative
negative
양성 시 진균에 의한 감염을 의미한다.
crystal
negative
neagative
요중에 나타나는 결정체로 요산
  • 가격2,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24.08.04
  • 저작시기202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580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