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출처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출처
본문내용
및 발전시켜 나가고 있으며, 이에 대해 수원시 또한 지원금을 지급함으로써 전통의 계승과 이를 통한 마을 공동체의 유지에 도움을 주고 있다. 경기도 수원시 고색동 큰말 공동체의례(共同體儀禮)와 놀이의 전승력, 최자운, 남도민속연구, 남도민속학회, 2023, p.172
3. 결론
놀이란 인간의 가장 원초적인 본능인 유희를 추구함으로써 개인의 상상력을 발휘하는 장임과 동시에, 타인과 함께 진행한다는 점에서 사회적인 활동이다. 이러한 놀이는 단순히 아동 및 청소년기 시절에만 즐기는 인생의 부수적인 활동이 아니라 인간이 생애 전 과정에 걸쳐 누리는 과정이다. 특히, 과거에는 이러한 놀이를 마을, 더 나아가서는 국가 전체적인 단위로도 행하였으며, 그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농악이다. 농악은 과거 삼한 시대 이전부터 존재한 것으로 추정되며, 과거 기록들을 통해 알 수 있듯 파종 혹은 추수 이후 남녀가 함께 모여 춤을 추는 등의 행위를 한 것이 시초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농악을 통해 파종 혹은 추수 이후 그간의 고단함과 힘듦을 함께 해소하고 즐김으로써 마을의 공동체성을 함양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농악은 농신에게 한 해 농사의 풍요로움을 기원하는 제의적인 성격 또한 띄고 있었기에 여러 제사 행위 또한 함께 수반되었으며, 이는 자연스럽게 마을신앙의 발달로 이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마을신앙은 각 마을 공동체별로 정해진 방법과 규칙에 따라 주관했기 때문에, 마을별 공동체성을 강화시킬 수 있었다. 현대 사회에 들어서는 마을이 해체되고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마을공동체성이 약화되어 가고 있으나, 해당 전통들을 계승 및 발전시킴으로써 현대에 들어서도 마을 공동체의 공동체성을 발전시켜 가고 있는 수원시 고색동 큰말 공동체의례를 통해 알 수 있듯,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 또한 필요하다. 정부와 지자체는 이러한 전통을 올바르게 계승 및 발전시킴으로써 파편화 된 현대인들의 공동체성을 회복시킬 수 있도록 지원해 나아가야 한다.
4. 출처
농악[農樂]에 나타난 한국춤의 상징성과 미의식에 관한 연구, 최병규,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6
공동체문화로서 마을신앙의 활용과 의미 구현, 서해숙, 남도민속연구, 남도민속학회, 2009
주체 변동에 따른 공동체 의례의 변화, 박종오, 島嶼文化,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서, 2010
경기도 수원시 고색동 큰말 공동체의례(共同體儀禮)와 놀이의 전승력, 최자운, 남도민속연구, 남도민속학회, 2023
3. 결론
놀이란 인간의 가장 원초적인 본능인 유희를 추구함으로써 개인의 상상력을 발휘하는 장임과 동시에, 타인과 함께 진행한다는 점에서 사회적인 활동이다. 이러한 놀이는 단순히 아동 및 청소년기 시절에만 즐기는 인생의 부수적인 활동이 아니라 인간이 생애 전 과정에 걸쳐 누리는 과정이다. 특히, 과거에는 이러한 놀이를 마을, 더 나아가서는 국가 전체적인 단위로도 행하였으며, 그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농악이다. 농악은 과거 삼한 시대 이전부터 존재한 것으로 추정되며, 과거 기록들을 통해 알 수 있듯 파종 혹은 추수 이후 남녀가 함께 모여 춤을 추는 등의 행위를 한 것이 시초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농악을 통해 파종 혹은 추수 이후 그간의 고단함과 힘듦을 함께 해소하고 즐김으로써 마을의 공동체성을 함양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농악은 농신에게 한 해 농사의 풍요로움을 기원하는 제의적인 성격 또한 띄고 있었기에 여러 제사 행위 또한 함께 수반되었으며, 이는 자연스럽게 마을신앙의 발달로 이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마을신앙은 각 마을 공동체별로 정해진 방법과 규칙에 따라 주관했기 때문에, 마을별 공동체성을 강화시킬 수 있었다. 현대 사회에 들어서는 마을이 해체되고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마을공동체성이 약화되어 가고 있으나, 해당 전통들을 계승 및 발전시킴으로써 현대에 들어서도 마을 공동체의 공동체성을 발전시켜 가고 있는 수원시 고색동 큰말 공동체의례를 통해 알 수 있듯,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 또한 필요하다. 정부와 지자체는 이러한 전통을 올바르게 계승 및 발전시킴으로써 파편화 된 현대인들의 공동체성을 회복시킬 수 있도록 지원해 나아가야 한다.
4. 출처
농악[農樂]에 나타난 한국춤의 상징성과 미의식에 관한 연구, 최병규,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6
공동체문화로서 마을신앙의 활용과 의미 구현, 서해숙, 남도민속연구, 남도민속학회, 2009
주체 변동에 따른 공동체 의례의 변화, 박종오, 島嶼文化,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서, 2010
경기도 수원시 고색동 큰말 공동체의례(共同體儀禮)와 놀이의 전승력, 최자운, 남도민속연구, 남도민속학회, 202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