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증상
2.진단
3.치료
2.진단
3.치료
본문내용
통로 차단제로 혈압을 조절하고 대동맥 부하를 덜어주어야 한다. 후유증으로는 대동맥판 폐쇄부전, 동맥류(aneurysm) 형성 및 파열 등이 있고 17~25%에서는 2년 내에 다른 부위에 동맥류(aneurysm)가 형성될 수 있다.
2) 수술적 치료
상행 대동맥을 침범한 급성 근위부 박리인 경우 즉시 수술적 치료를 해야 하고 원위부 박리라도 주요 장기 손상 소견이 있는 경우, 파열이 임박(saccular aneurysm형성)한 경우, Marfan 증후군 환자에서 생긴 경우는 수술이 필요하다. 수술적 치료를 받은 대동맥 박리 환자의 사망률이 약 15~20%에 이르는데 사망 원인은 심근 경색증, 신부전, 출혈, 패혈증 등이다. 하행 대동맥 박리로 내과적 치료를 받은 환자의 사망률도 15~20% 정도이다.
2) 수술적 치료
상행 대동맥을 침범한 급성 근위부 박리인 경우 즉시 수술적 치료를 해야 하고 원위부 박리라도 주요 장기 손상 소견이 있는 경우, 파열이 임박(saccular aneurysm형성)한 경우, Marfan 증후군 환자에서 생긴 경우는 수술이 필요하다. 수술적 치료를 받은 대동맥 박리 환자의 사망률이 약 15~20%에 이르는데 사망 원인은 심근 경색증, 신부전, 출혈, 패혈증 등이다. 하행 대동맥 박리로 내과적 치료를 받은 환자의 사망률도 15~20% 정도이다.
추천자료
심장질환및 재화치료방법
Examination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사회과학] 심장장애
신생아의 선천성 심질환
고혈압 식사요법
동맥관 개존증 (Patent Ductus Arteriosus, PDA)
상대적금기와 절대적 금기
CABG와 검사 비교
심혈관계의 질환에 관한 요약 정리
ASO 환자사례연구
[간호사례][심장수술환자][심근경색증환자][쇼크환자][안수술환자][위암수술환자][신장장애환...
고위험신생아, 정상신생아 (신생아실/신생아중환자실)
[성인간호 케이스] 동맥류 케이스 aneurysm case
응급,수술환자 간호 용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