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목차
1.머리말
1.1 이 글의 목적
2.본문 번역의 몇 가지 問題點
3.관련 문제점
4.몇 가지
1.1 이 글의 목적
2.본문 번역의 몇 가지 問題點
3.관련 문제점
4.몇 가지
본문내용
독본을 번역. 소개하여야 할 것이고, 아울러 일본 및 국내의 선어록을 읽기 위한 별도의 입문서와 독본 등을 정리. 출간해야 한다.
(4)선어록 역주본 출간
우선 국내에서 출간된 선종 어록의 번역 현황을 파악한 후, 장기적인 계획으로 원문을 게재한 대역본을 출간한다. 이 때 판본 등의 문제와 역주를 상세히 첨부하여 학술적인 가치가 있는 역주본을 출간하도록 한다.
(5)선어록 언어 관련 사전 간행
우선 어느 일종의 선종 어록에 출현한 모든 어휘를 풀이한 『어휘 사전』
(예:『조당집』 어휘 사전』)을 간행하면서, 장기적으로는 『선어록 허사 사전』. 『선어록 사전』등을 기획. 출간한다.
(6)선어록의 공동 번역 추진
위에서 검토한 바와 같이 선종 어록이 포괄하고 있는 분야는 매우 다양하여, 혼자서는 모든 내용을 완벽하게 이해하기가 곤란하므로, 예를 들어 동국대 역경원내에 선사상은 물론, 역사. 사회. 언어. 정치. 경제등 관련 분야의 전문가를 번역위원 또는 자문위원 등으로 초빙하여(현재는 불교계 인사만 초빙하였음), 공동 번역을 꾀하고, 번역 완료시 이에 대한 발표회를 갖고, 번역 내용을 세부적으로 검토하여 수정. 보완토록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에 인터넷 상에 원문의 대역본을 올려놓아 관심 있는 독자로 하여금 수정. 보완의 의견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한다.
(7)중문과. 선학과. 한문과 등에 관련 과목 개설
이 분야의 인재 양성을 위해 관련 학과인 중문과. 선학과. 한문과 등에 관련 과목을 개설함과 동시에, 예를 들면 동국역경원 부설로 전문가를 양성할 수 있는 장기 연수 과정도 개설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주요 참고 문헌>
풍춘전(2000) 『근대한어어법연구』 제남:산동교육출판사
왕해분(1992) 『고대의문사어용법사전』 절강교육출판사
장소우(1994) 『근대한어연구개황』 북경:북경대학출판사
강남생(1994) <시술여숙상선생대근대한어연구적공헌>,『중국어문』1994-1:16-21
장상 (1953) 『시사곡어사회석』 북경:중화서국 (* 대북;세계서국 1962)
장례홍(1988) 『돈황변문자의통석』 [제4차증정본] 상해:상해고적출판사
왕영(1990) 『당송필기어사회석』 북경:중화서국
유견 (1982) 「고대백화문헌개술」, 『어문연구』1982-1:97-104
-----[편](1985) 『근대한어독본』 상해:상해교육출판사
-----[편](1999) 『고대백화문헌선독』 북경:상무인서관
왕력 (1958) 『한어사고』(수정본) 북경:과학출판사
*향항:파문서국(출판년도 미기재)
---(1989) 『한어어법사』 북경:상무인서관
하금송(1994) 『허사역시사전』 무한:호북인민출판사
유견등사인(1992) 『근대한어허사연구』 북경:어문출판사
여숙상(1955) 『한어어법론문집』 북경:과학출판사
-----(1984) 『한어어법론문집』[증정본] 북경:상무인서관
장기빙.오복상(1997) 『근대한어강요』 장사:호남교육출판사
원빈[편](1990) 『선종저작사어회석』 남경:강소고적출판사
---(1992) 『근대한어개론』 상해:상해교육출판사
---[편](1992) 『선종어록대관』 남창:백화주문예출판사
---[주편](1994) 『선종사전』 무한:호북인민출판사
---(1995) 『선종어언화문헌』 남창:강서인민출판사(서명:우곡)
---(1999) 『선어역주』 북경:어문출판사
호죽안등 3명 [편] (1992) 『근대한어연구』 북경:상무인서관
장소우, 강남생 [편](1999) 『근대한어연구(이)』 북경:상무인서관
강남생.조광순[편](1997) 『당오대어언사전』 상해:상해교육출판사
원빈 등사인[편] (1997) 『송어언사전』 상해:상해교육출판사
조광순(1995) 『근대한어조사』 북경:어문출판사
왕금혜 (1993) 『돈황변문어법연구』 대북:대만사범대학국문연구소석사논문
------(1997) 『돈황변문여조당집의문구비교연구』
대북:대만사범대학국문연구소
박사논문
오복상(1996) 『돈황변문어법연구』 장사:악록서사
장미란(1998) 『선종어언개론』 대북:오남도서출판공사
주유개(1999) 『선종어언』 항주:절강인민출판사
인순(1971) 『중국선종사』 대북:자인
양증문 교사(1993) 『돈황신본 육조단경』 상해:상해고적출판사
양증문(1999) 『당오대선종사』 북경;중국사회과학출판사
구택대학 『선학대사전』 편찬소[편](1985) 『신판 선학대사전』 동경:대수관서점
유전성산 [편] 1980--84 『조당집색인』(상.중.하 삼책) 경도:
경도대학인문과학연구소
전중양소[편](1994) 『선학연구입문』 동경:대동출판사
박영록(1997) 『"조당집"의미허화동사연구』
서울:성균관대학교 중문과 박사 논문
-----(1999) <선어록 해석의 몇가지 문제점>, 『백련불교논집』9:149-176
장호득(1999) 『"조당집"부정사지나집여어의연구』[중문] 대북:정치대학
중문연구소 박사논문
법장스님(1999) <불전 번역과 우리의 현실>,『불교와 문화』1999.가을: 18--29
조현춘(1999) <불경 번역 오류의 예와 대안>,『불교와 문화』1999.가을:30--42
김은중(1999) <불교계 번역의 오류와 제도적 과제>,『불교와 문화』1999.가을:
43--55
진현종(1999) <'불경"프로젝트 시급하다>, 『불교와 문화』1999.가을:50--55
한국유학생인도학불교학연구회[엮음](2001) 『일본의 한국불교 연구 동향』
경남 합천군:장경각
박경훈(1998) <역경--동국역경원을 중심으로> 『월운스님 고희기념 불교학 논총』 (서울:동국역경원):715--743
이철교.일지.신규탁 [편찬] (1995) 『선학사전』 서울:불지사
정성본(1991) 『중국선종의 성립사 연구』 서울:민족사
신규탁(1998) 『선사들이 가려는 세상』 합천:장경각
----(2000) <선어록 독법의 문제점>,『불교평론』2000-봄:48--65
송인성(1996) 『"조당집"허사연구』[중문] 대북:중국문화대학중문연구소박사론문
-----(2000)<당송 선종어록 언어 연구 현황과 과제>,『백련불교논집』10:33-80
---- (2001)<언어 측면에서의 『조당집』신라.고려 선사 부분의 후대 편입 여부>
『한국선학』2 (2001.6)
(4)선어록 역주본 출간
우선 국내에서 출간된 선종 어록의 번역 현황을 파악한 후, 장기적인 계획으로 원문을 게재한 대역본을 출간한다. 이 때 판본 등의 문제와 역주를 상세히 첨부하여 학술적인 가치가 있는 역주본을 출간하도록 한다.
(5)선어록 언어 관련 사전 간행
우선 어느 일종의 선종 어록에 출현한 모든 어휘를 풀이한 『어휘 사전』
(예:『조당집』 어휘 사전』)을 간행하면서, 장기적으로는 『선어록 허사 사전』. 『선어록 사전』등을 기획. 출간한다.
(6)선어록의 공동 번역 추진
위에서 검토한 바와 같이 선종 어록이 포괄하고 있는 분야는 매우 다양하여, 혼자서는 모든 내용을 완벽하게 이해하기가 곤란하므로, 예를 들어 동국대 역경원내에 선사상은 물론, 역사. 사회. 언어. 정치. 경제등 관련 분야의 전문가를 번역위원 또는 자문위원 등으로 초빙하여(현재는 불교계 인사만 초빙하였음), 공동 번역을 꾀하고, 번역 완료시 이에 대한 발표회를 갖고, 번역 내용을 세부적으로 검토하여 수정. 보완토록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에 인터넷 상에 원문의 대역본을 올려놓아 관심 있는 독자로 하여금 수정. 보완의 의견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한다.
(7)중문과. 선학과. 한문과 등에 관련 과목 개설
이 분야의 인재 양성을 위해 관련 학과인 중문과. 선학과. 한문과 등에 관련 과목을 개설함과 동시에, 예를 들면 동국역경원 부설로 전문가를 양성할 수 있는 장기 연수 과정도 개설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주요 참고 문헌>
풍춘전(2000) 『근대한어어법연구』 제남:산동교육출판사
왕해분(1992) 『고대의문사어용법사전』 절강교육출판사
장소우(1994) 『근대한어연구개황』 북경:북경대학출판사
강남생(1994) <시술여숙상선생대근대한어연구적공헌>,『중국어문』1994-1:16-21
장상 (1953) 『시사곡어사회석』 북경:중화서국 (* 대북;세계서국 1962)
장례홍(1988) 『돈황변문자의통석』 [제4차증정본] 상해:상해고적출판사
왕영(1990) 『당송필기어사회석』 북경:중화서국
유견 (1982) 「고대백화문헌개술」, 『어문연구』1982-1:97-104
-----[편](1985) 『근대한어독본』 상해:상해교육출판사
-----[편](1999) 『고대백화문헌선독』 북경:상무인서관
왕력 (1958) 『한어사고』(수정본) 북경:과학출판사
*향항:파문서국(출판년도 미기재)
---(1989) 『한어어법사』 북경:상무인서관
하금송(1994) 『허사역시사전』 무한:호북인민출판사
유견등사인(1992) 『근대한어허사연구』 북경:어문출판사
여숙상(1955) 『한어어법론문집』 북경:과학출판사
-----(1984) 『한어어법론문집』[증정본] 북경:상무인서관
장기빙.오복상(1997) 『근대한어강요』 장사:호남교육출판사
원빈[편](1990) 『선종저작사어회석』 남경:강소고적출판사
---(1992) 『근대한어개론』 상해:상해교육출판사
---[편](1992) 『선종어록대관』 남창:백화주문예출판사
---[주편](1994) 『선종사전』 무한:호북인민출판사
---(1995) 『선종어언화문헌』 남창:강서인민출판사(서명:우곡)
---(1999) 『선어역주』 북경:어문출판사
호죽안등 3명 [편] (1992) 『근대한어연구』 북경:상무인서관
장소우, 강남생 [편](1999) 『근대한어연구(이)』 북경:상무인서관
강남생.조광순[편](1997) 『당오대어언사전』 상해:상해교육출판사
원빈 등사인[편] (1997) 『송어언사전』 상해:상해교육출판사
조광순(1995) 『근대한어조사』 북경:어문출판사
왕금혜 (1993) 『돈황변문어법연구』 대북:대만사범대학국문연구소석사논문
------(1997) 『돈황변문여조당집의문구비교연구』
대북:대만사범대학국문연구소
박사논문
오복상(1996) 『돈황변문어법연구』 장사:악록서사
장미란(1998) 『선종어언개론』 대북:오남도서출판공사
주유개(1999) 『선종어언』 항주:절강인민출판사
인순(1971) 『중국선종사』 대북:자인
양증문 교사(1993) 『돈황신본 육조단경』 상해:상해고적출판사
양증문(1999) 『당오대선종사』 북경;중국사회과학출판사
구택대학 『선학대사전』 편찬소[편](1985) 『신판 선학대사전』 동경:대수관서점
유전성산 [편] 1980--84 『조당집색인』(상.중.하 삼책) 경도:
경도대학인문과학연구소
전중양소[편](1994) 『선학연구입문』 동경:대동출판사
박영록(1997) 『"조당집"의미허화동사연구』
서울:성균관대학교 중문과 박사 논문
-----(1999) <선어록 해석의 몇가지 문제점>, 『백련불교논집』9:149-176
장호득(1999) 『"조당집"부정사지나집여어의연구』[중문] 대북:정치대학
중문연구소 박사논문
법장스님(1999) <불전 번역과 우리의 현실>,『불교와 문화』1999.가을: 18--29
조현춘(1999) <불경 번역 오류의 예와 대안>,『불교와 문화』1999.가을:30--42
김은중(1999) <불교계 번역의 오류와 제도적 과제>,『불교와 문화』1999.가을:
43--55
진현종(1999) <'불경"프로젝트 시급하다>, 『불교와 문화』1999.가을:50--55
한국유학생인도학불교학연구회[엮음](2001) 『일본의 한국불교 연구 동향』
경남 합천군:장경각
박경훈(1998) <역경--동국역경원을 중심으로> 『월운스님 고희기념 불교학 논총』 (서울:동국역경원):715--743
이철교.일지.신규탁 [편찬] (1995) 『선학사전』 서울:불지사
정성본(1991) 『중국선종의 성립사 연구』 서울:민족사
신규탁(1998) 『선사들이 가려는 세상』 합천:장경각
----(2000) <선어록 독법의 문제점>,『불교평론』2000-봄:48--65
송인성(1996) 『"조당집"허사연구』[중문] 대북:중국문화대학중문연구소박사론문
-----(2000)<당송 선종어록 언어 연구 현황과 과제>,『백련불교논집』10:33-80
---- (2001)<언어 측면에서의 『조당집』신라.고려 선사 부분의 후대 편입 여부>
『한국선학』2 (20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