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익섭 - 국어 조어론의 몇 문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익섭 - 국어 조어론의 몇 문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조어법에 관련된 술어의 불통일된 사용

3. 조어방식에 의거한 단어분류체계의 문제점

4. 술어에 대한 개념 규정

5. 복합어에 대한 정의 검토

6. 맺음말

★ 참고문헌

본문내용

면 최현배(1937/1971)는 어미나 접미사를 제외한 어기가 하나인지 둘인지에 따라 단어를 분류하였다. 그렇게 해서 단일형태소로 이루어진 단어와 파생어를 묶어 홑씨로 보고 합성어를 겹씨로 보아 크게 둘로 나누었다. 이러한 체계는 파생과 굴절을 구분하지 않은 태도에 기인한 결과라 볼 수 있다. 이후 이희승은 <표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단어를 단일어와 합성어(complex word)로 나누고 합성어 아래에 복합어(compound word), 첩어, 파생어를 두었다. 이희승은 독립성이 있는 단어 또는 어원적 어근이 중복되어 결합하는 단어의 무리를 첩어(duplicated word)라고 지칭하고 이들을 합성어의 하위 분류로써, 복합어, 파생어와 같은 위상의 자격을 두어 체계를 정리하였다. 이러한 첩어를 이익섭은 복합어로 편입시켜 합성어(complex word)가 복합어와 파생어를 포함하는 관계를 설정한다. 이로써 현재에 이르기까지 대부분에 의해 받아들여지는 조어법의 체계가 잡히게 된다. 허웅과 안병희는 <표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우선 단어를 단(單)형태와 다(多)형태로 나눈다. 그런데 용언의 경우 필수적으로 어미를 동반하게 됨으로 항상 다형태소에 포함된다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표1>과 <표3>에서 합성어로 번역 사용되는 complex word가 복합어 compound word와 파생어를 포함하는 반면 <표2>에서는 복합어로 번역 사용하는 complex word가 굴절어와 파생어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즉 \"<표2>의 복합어와 합성어를 서로 뒤바꾸어 놓는다 해도 <표1>의 그것들과 일치되는 개념을 갖게 되\"는 것은 결국 그 체계가 다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위의 표들에서 단일어(simple word)에 \"대응되는 단어군\"으로써 복합어(혹은 합성어)로서의 complex word는 공통적으로 파생어(derivational word)를 포함한다. 즉 용어의 혼동은 complex를 compound로 혼동하는 것이 아니라 번역하는 술어 선택의 문제에 기인한다. 따라서 조어론에서 다루게 될 문제들은 체계를 정립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준의 문제와 두 개 이상의 형태소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단어의 경우 구성요소에 대한 개념 정리, 그리고 용어가 지칭하는 대상의 범주 설정이 선행되고, 개별 어휘들에 대한 분석에 천착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단어를 크게 단어를 형성하는 구성 형태소의 개수에 따라 단단어와 다단어로 구분할 것인지, 다단어의 경우 활용하는 어미를 조어론이 아닌 활용론에서 다루고, 어근과 어기를 무엇으로 볼 것인가에 따라 단어 구성 체계의 내용이 달라질 것이다.
※ Hockett의 derived stem에 합치 ‘어근’ 개념 사용
Bloomfied의 complex word, Nida의 complex struture 와는 일치하지 않다.
complex에 굴절형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형태소 개념 사용)으로 필자의 체계에 따르면 조어법에 따른 단어의 분류 체계는 어미 부분을 고려에 넣지 않아야 하므로 굴절형을 포함시킨 complex 개념에 대해서는 의견을 달리하고 있는 것이다.
※ 복합어와 합성어 대한 고영근의 정의와 이익섭의 정의 비교
고영근
이익섭
단어의 구조
단어 「 단일어
복합어 합성어
파생어
단어 「 단일어
합성어 복합어 (첩어포함)
파생어
복합어
Complex Word
그 짜임새가 복합적인 말
Compound Word
그 어간의 IC가 모두 어기이거나 그 보다 큰 언어형식인 단어
합성어
Compound Word
실질형태소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말
Complex Word
― 영어로 된 용어를 우리말로 번역하는데 있어서 차이일 뿐이며, 단어의 구조에 대한 생각은 기본적으로 같다고 할 수 있다.
3. 조어 방식에 의거한 단어분류체계의 문제점
1) 파생어 굴절어를 같은 묶음으로 분류하는 체계의 문제점 <표2>
몇몇 미국 논저의 체계에 따른 문제점으로 ‘굴절’과 ‘조어’ 이익섭(1997),『국어학 개설』,학연사, p.87 : 단어의 구조를 파악할 때의 한 단계는 단어를 ‘어간 + 어미’로 쪼개는 일이다. 한 단어의 어간이 여러 어미를 취하는 일을 굴절(inflection)이라 한다. 한편 단어의 구조를 파악할 때 또 한 단계는, 단어에서 어미는 완전히 제거한 다음 그 어간의 구조만을 분석하는 단계다. 한 단어의 어간이 형태소 하나나 몇 개로 이루어지는 일을 조어(word-formation)이라 한다.
를 혼동하여 사용하고 있다.
굴절과 조어가 다른 층에 속한다는 사실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었던 Bloomfield 역시 단어의 분류에 있어서 어미를 일단 배제하지 않았다는 문제가 있다. <표2>는 단어 조어 방식에 의한 분류이므로 일단 단어를 어간과 어미로 분류하고 난 다음 ‘어간의 구조’에 의해 단어를 분류해야 한다는 것이 바로 필자의 주장 <표3>이다. 또한 <표2>는 어떤 한 단위가 동시에 두 부류에 소속될 수 있다는 결함도 가진다.
예 ) 웃기다 : 웃 - 기 - 다 (‘기’는 파생접미사, 굴절어)
짓밟다 : 짓 - 밟 - 다 (‘짓’은 파생접두사, 굴절어)
이와 같이 ‘웃기다’와 ‘짓밟다’는 파생어이기도 하면서 동시에 굴절어이기도 한데, <표2>에 따르면 파생어와 굴절어를 복합어의 하위개념으로써 대등한 관계를 두고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 같은 단어들의 소속에 있어서 모순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2) 파생어를 복합어보다 단일어에 더 가깝게 묶는 체제의 문제점 <표4와 표5>
<표 4 우리말본 >
순전히 한 낱으로 된 것
홀씨
으뜸조각에 씨가지가 붙어서 된 것
낱말
녹은 겹씨
겹씨 한글학회(1995),『국어학 사전』, p.25, 199, 441
(1) 녹은겹씨 : 둘이나 둘 더 되는 씨가 서로 겹하되, 아주 녹아 어울리어서 그 각가의 본디의 뜻을 잃어버리고, 한 덩어리의 새 뜻을 나타내는 겹씨이다. 현대어로 본다면, 융합합성어로 예를들면, 강+산이 ‘국토’로 밤+낮은 ‘늘, 항상’으로 새 뜻을 나타내는 합성어이다.
(2) 가진겹씨 : 두 씨 가운데 하나는 주장이 되고, 다른 하나는 딸림이 되어서, 딸림은 주장을
  • 가격2,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8.03.24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72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