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의 권위 - 제도적 권위, 지적권의, 기술적 권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사의 권위 - 제도적 권위, 지적권의, 기술적 권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기 초

2. 제도적 권위

3. 지적권위

4. 기술적 권위

본문내용

질서를 유지하고자 할 때 제재, 때로는 징벌도 가해질 수 있다. 아마도, 이러한 원칙은 학생의 자의적 요구나 교사와의 자발적 구속에 의해서 제재와 징벌이 자주성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타의적 동기 유발이 자발적 동기 유발에의 길을 열어 주는 기능을 하는 것이어야 한다. 교육은 학생의 자발적 흥미에 의존하지 않고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것은 사실일 뿐만 아니라, 때때로 그 자체가 도덕적 문제일 수도 있다.
(9) 그러나 민주형이 전제형과 보다 근본적으로 다른 점은, 후자는 폐쇄적 능력을 기르는 데 비하여 전자는 개방적 능력을 기르는 데 있다. '폐쇄적 능력'(closed competence)과 '개방적능력'(open competence)을 구별하기 위해서는 공자가 "하나를 가르쳐 열을 통하지 못하면 가르치지 말라"고 한말을 생각하면 된다. 하나를 배우고 하나밖에 모르는 것은 폐쇄적 능력이며, 열(혹은 하나 이상)을 아는 것은 개방적 능력이다. 그것은 학생의 책임인 양 표현했지만 실은 공자도 一以貫之(일이관지)의 원리를 교육의 방법으로 중시하였다. 개발적 능력은 지도의 내용에도 달려 있지만, 학생의 자발적 노력과 사고의 자율성에도 크게 의존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전제형은 그 자체의 고착적 특징 때문에 폐쇄적 능력을 기를 수밖에 없으나, 민주형은 사고의 개방성을 그 자체의 원리로 삼는다.
교사가 바로 교육적 가치 체제일 수 있다는 것은, 바로 그가 지닌 권위를 어떤 방식으로 행사하느냐에 따라서 길러질 학생의 능력과 자질이 달라진다는 사실에서 우리는 보다 정확히 알 수 있다.
  • 가격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2.02.04
  • 저작시기2002.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12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