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용어정의
2)문헌고찰
3)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기간
3. 연구도구
4.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4)연구결과 및 논의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취업주부와 전업주부의 건강증진 생활방식 비교
3. 취업주부와 전업주부의 자아존중감 비교
4. 취업주부와 전업주부의 건강지각 정도 비교
5. 취업주부와 전업주부의 다차원적 건강통제위 비교
6. 취업주부와 전업주부의 건강증진 생활방식과 자아존중감, 건강통제위
5)성향,건강지각 정도와의 관계
6)결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용어정의
2)문헌고찰
3)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기간
3. 연구도구
4.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4)연구결과 및 논의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취업주부와 전업주부의 건강증진 생활방식 비교
3. 취업주부와 전업주부의 자아존중감 비교
4. 취업주부와 전업주부의 건강지각 정도 비교
5. 취업주부와 전업주부의 다차원적 건강통제위 비교
6. 취업주부와 전업주부의 건강증진 생활방식과 자아존중감, 건강통제위
5)성향,건강지각 정도와의 관계
6)결 론
본문내용
도를 이용하였으며 이 도구는 내적 건강통제위, 타인의존성, 우연성 건강통제위의 3개 하위범주로 구성되어 있다. \"전적으로 동의한다\"에 5점, \"전적으로 반대한다\"에 1점을 주어 최고 90점에서 최저 18점까지의 범위를 보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그 영역의 성향이 큰 것을 의미한다.
4) 건강증진 생활방식 측정도구
Walker, Sechrist, Pender(1987)가 개발한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6개의 하위범주로 나누어지는데 자아실현 11문항, 건강책임 10문항, 운동 5문항, 영양 7문항, 대인관계 7문항, 스트레스관리 7문항으로 총 47문항으로 구성하였다.\'거의 그렇지 않다\'에 1점, \'항상 그렇다\'에 4점을 주어 최저 47점에서 최고 188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건강증진 생활방식 수준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개발당시의 신뢰도는 .92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88이었다.
5) 건강지각
대상자 자신의 안녕 상태를 측정하는 Ware(1976)의 건강지각 도구를 유, 김과 박(1985)이 번안한 것을 이용하였다. 이 도구는 6개의 지각영역으로 나뉘어지는데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건강상태 9문항, 미래의 건강상태 4문항, 건강관심 4문항, 질병에 대한 저항성과 민감성 4문항 등 총 21문항을 측정하였다. 각각의 문항 내용에 대한 동의나 반대정도에 따라 \'정말 그렇다\' 5점, \'절대로 그렇지 않다\' 1점으로 측정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건강지각 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했다.
4.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로 전산처리하였다.
각 집단간의 동질성 여부를 파악하기 위하여 X2-test를 하였고 모든 변수에 대한 두 집단의 차이는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건강증진 생활방식과 자아존중감, 건강통제위 성향, 건강지각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및 논의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취업 주부
전업 주부
특성
항목
실수
(백분율)
실수
(백분율)
X2
P값
연령
(세)
35-39
40-44
45-49
50-54
55이상
40
9
6
1
2
(69.0)
(15.5)
(10.3)
( 1.7)
( 3.4)
25
15
11
7
5
(39.7)
(23.8)
(17.5)
(11.1)
( 7.9)
14.42
.013
종교
유
무
42
16
(72.4)
(27.6)
50
13
(79.4)
(20.6)
1.63
.442
교육
정도
국졸
중졸
고졸
대졸이상
1
3
15
39
( 1.7)
( 5.2)
(25.9)
(67.2)
2
4
26
31
( 3.2)
( 6.3)
(41.3)
(49.2)
4.14
.247
결혼
상태
기혼
사별
또는 이혼
54
4
(93.1)
( 6.9)
61
2
(98.8)
( 3.2)
.27
.601
경제
상태
상
중
하
6
28
24
(10.3)
(48.3)
(41.4)
5
29
29
( 7.90
(46.0)
(46.0)
.37
.829
가족수
1∼2인
3∼4인
5인 이상
7
41
10
(12.1)
(70.7)
(17.2)
4
41
18
( 6.3)
(65.1)
(28.60
2.90
.234
입원경험
유
무
35
23
(60.3)
(39.7)
26
37
(41.3)
(58.7)
4.99
.082
연령, 종교, 교육정도, 직업, 결혼상태, 경제상태, 가족 수, 입원경험을 조사하여 두 군간의 동질성 검정을 하였다(표1). 연령 분포를 보면 취업주부의 경우 35∼39세가 39.0%로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고 전업주부는 전 연령층에서 고른 분포를 나타내어 두 군간에 차이를 보였다. 종교가 있는 경우는 취업주부 72.4%, 전업주부 79.4%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교육정도에 있어서는 대졸이상의 학력을 가진 취업주부가 67.2%, 전업주부 49.2%로 대상자 전체의 교육정도는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주부의 직업별 분포는 회사원이 54.9%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직(31.0%), 공무원(14.1%)순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상태는 중류층이상이 두군 모두 50% 이상을 차지하여, 차이가 없었다. 가족 수는 3∼4인 경우가 취업주부 67.6%, 전업주부 65.1%로 비슷한 분포를 보였고 입원경험이 있는 경우는 취업주부 56.3%로서 전업주부 41.3%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연령을 제외한 다른 변수들에서 두 군이 동질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1 일반적 특성
2. 취업주부와 전업주부의 건강증진 생활방식 비교
취업주부와 전업주부의 건강증진 생활방식은 취업주부가 124.66점, 전업주부가 124.86점으로, 전업주부와 취업주부의 건강증진 생활방식 점수는 거의 비슷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표2).
그러나, 하위영역별 두 군의 차이를 비교했을 때, 자아실현과 운동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T=2.19, p=.030; t=-3.11, p=.002).
본 연구결과는 직장이 있는 경우에 건강생활방식 이행정도가 높았던 하, 정, 김(1990)의 연구와는 다른 결과를 보여 직장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규칙적인 생활과 건강관리가 필요하다고 설명한 것을 충분히 지지해주지 못했다.
구 분
실 수
평 균
표준편차
t값
P
취업주부
58
124.66
18.96
-.06
.954
전업주부
63
124.86
19.03
표 2 취업주부와 전업주부의 건강증진 생활방식 비교
한편 하위영역별 생활방식의 이행정도는 각 영역별 문항의 수에 차이가 있어 최고평점인 4점을 기준으로 평균을 비교하였다. 취업주부군은 자아실현(3.03점), 영양(3.04점)이 비교적 높은 점수를 보였고, 그 다음이 대인관계, 스트레스관리, 건강책임, 운동영역의 순이었다 (표 3).
건강증진
생활방식
영역
취업주부
전업주부
t값
P값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자아실현
건강책임
운 동
영 양
대인관계
스트레스
3.03
2.21
1.78
3.04
2.92
2.65
.48
.56
.59
.66
.90
1.04
2.84
2.30
2.14
3.10
2.86
2.59
.54
.63
.81
.58
.57
.55
2.01*
- .81**
-2.82
- .51
4) 건강증진 생활방식 측정도구
Walker, Sechrist, Pender(1987)가 개발한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6개의 하위범주로 나누어지는데 자아실현 11문항, 건강책임 10문항, 운동 5문항, 영양 7문항, 대인관계 7문항, 스트레스관리 7문항으로 총 47문항으로 구성하였다.\'거의 그렇지 않다\'에 1점, \'항상 그렇다\'에 4점을 주어 최저 47점에서 최고 188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건강증진 생활방식 수준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개발당시의 신뢰도는 .92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88이었다.
5) 건강지각
대상자 자신의 안녕 상태를 측정하는 Ware(1976)의 건강지각 도구를 유, 김과 박(1985)이 번안한 것을 이용하였다. 이 도구는 6개의 지각영역으로 나뉘어지는데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건강상태 9문항, 미래의 건강상태 4문항, 건강관심 4문항, 질병에 대한 저항성과 민감성 4문항 등 총 21문항을 측정하였다. 각각의 문항 내용에 대한 동의나 반대정도에 따라 \'정말 그렇다\' 5점, \'절대로 그렇지 않다\' 1점으로 측정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건강지각 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했다.
4.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로 전산처리하였다.
각 집단간의 동질성 여부를 파악하기 위하여 X2-test를 하였고 모든 변수에 대한 두 집단의 차이는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건강증진 생활방식과 자아존중감, 건강통제위 성향, 건강지각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및 논의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취업 주부
전업 주부
특성
항목
실수
(백분율)
실수
(백분율)
X2
P값
연령
(세)
35-39
40-44
45-49
50-54
55이상
40
9
6
1
2
(69.0)
(15.5)
(10.3)
( 1.7)
( 3.4)
25
15
11
7
5
(39.7)
(23.8)
(17.5)
(11.1)
( 7.9)
14.42
.013
종교
유
무
42
16
(72.4)
(27.6)
50
13
(79.4)
(20.6)
1.63
.442
교육
정도
국졸
중졸
고졸
대졸이상
1
3
15
39
( 1.7)
( 5.2)
(25.9)
(67.2)
2
4
26
31
( 3.2)
( 6.3)
(41.3)
(49.2)
4.14
.247
결혼
상태
기혼
사별
또는 이혼
54
4
(93.1)
( 6.9)
61
2
(98.8)
( 3.2)
.27
.601
경제
상태
상
중
하
6
28
24
(10.3)
(48.3)
(41.4)
5
29
29
( 7.90
(46.0)
(46.0)
.37
.829
가족수
1∼2인
3∼4인
5인 이상
7
41
10
(12.1)
(70.7)
(17.2)
4
41
18
( 6.3)
(65.1)
(28.60
2.90
.234
입원경험
유
무
35
23
(60.3)
(39.7)
26
37
(41.3)
(58.7)
4.99
.082
연령, 종교, 교육정도, 직업, 결혼상태, 경제상태, 가족 수, 입원경험을 조사하여 두 군간의 동질성 검정을 하였다(표1). 연령 분포를 보면 취업주부의 경우 35∼39세가 39.0%로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고 전업주부는 전 연령층에서 고른 분포를 나타내어 두 군간에 차이를 보였다. 종교가 있는 경우는 취업주부 72.4%, 전업주부 79.4%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교육정도에 있어서는 대졸이상의 학력을 가진 취업주부가 67.2%, 전업주부 49.2%로 대상자 전체의 교육정도는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주부의 직업별 분포는 회사원이 54.9%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직(31.0%), 공무원(14.1%)순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상태는 중류층이상이 두군 모두 50% 이상을 차지하여, 차이가 없었다. 가족 수는 3∼4인 경우가 취업주부 67.6%, 전업주부 65.1%로 비슷한 분포를 보였고 입원경험이 있는 경우는 취업주부 56.3%로서 전업주부 41.3%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연령을 제외한 다른 변수들에서 두 군이 동질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1 일반적 특성
2. 취업주부와 전업주부의 건강증진 생활방식 비교
취업주부와 전업주부의 건강증진 생활방식은 취업주부가 124.66점, 전업주부가 124.86점으로, 전업주부와 취업주부의 건강증진 생활방식 점수는 거의 비슷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표2).
그러나, 하위영역별 두 군의 차이를 비교했을 때, 자아실현과 운동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T=2.19, p=.030; t=-3.11, p=.002).
본 연구결과는 직장이 있는 경우에 건강생활방식 이행정도가 높았던 하, 정, 김(1990)의 연구와는 다른 결과를 보여 직장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규칙적인 생활과 건강관리가 필요하다고 설명한 것을 충분히 지지해주지 못했다.
구 분
실 수
평 균
표준편차
t값
P
취업주부
58
124.66
18.96
-.06
.954
전업주부
63
124.86
19.03
표 2 취업주부와 전업주부의 건강증진 생활방식 비교
한편 하위영역별 생활방식의 이행정도는 각 영역별 문항의 수에 차이가 있어 최고평점인 4점을 기준으로 평균을 비교하였다. 취업주부군은 자아실현(3.03점), 영양(3.04점)이 비교적 높은 점수를 보였고, 그 다음이 대인관계, 스트레스관리, 건강책임, 운동영역의 순이었다 (표 3).
건강증진
생활방식
영역
취업주부
전업주부
t값
P값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자아실현
건강책임
운 동
영 양
대인관계
스트레스
3.03
2.21
1.78
3.04
2.92
2.65
.48
.56
.59
.66
.90
1.04
2.84
2.30
2.14
3.10
2.86
2.59
.54
.63
.81
.58
.57
.55
2.01*
- .81**
-2.82
- .51
추천자료
주부의 취업여부 및 성역할 정체감과 우울수준의 관계
창업, 취업, 금융 분야에서 국민 불편을 초래하는 규제 사항을 중심으로 한 규제개혁과제
드라마 고찰을 통한 전업주부의 자아실현 분석
결혼과 일(취업주부의 가사노동)
(외국인노동자, 노동복지) 외국인노동자 실태와 복지서비스 개선방안
[마케팅]퇴직자를 위한 전업 지원 교육 프로그램
[취업자료] 생산직(고졸/신입) BEST 자기소개서
[최신]대기업표준양식][총12종류의 이력서양식&자소서양식][취업표준양식 이력서서식][이...
[청소년 취업과 복지] 청소년과 노동의 개념과 실태 및 문제점 개선방안, 취업청소년 복지서비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