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람, 이스라엘 그리고 미국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슬람, 이스라엘 그리고 미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중동 지역 각 국별 개관

2. 이슬람

3. 이스라엘과 중동

4. 팔레스타인과 저항

5. 이라크와 제재

6. 중동과 미국

7. 시간이 흐르는 땅의 사람들

본문내용

황에서 일반인의 피해만 늘어나게 하는 비인도적 행위
6. 중동과 미국
1) 미국의 외교이념
(1) 현실주의적 국제주의 : 적극 개입선호, 군사력과 미국 중심의 안보체계유지의 중요성 강조
(2) 자유주의적 국제주의 : 다자주의적 대화와 협력 강조
(3) 현실주의적 고립주의 : 세계경찰의 역할 반대, 미국의 사활적 이익이 걸린 안보문제에 선별적 대응
(4) 자유주의적 고립주의 : 군사적 과다개입 반대, 다자주의에 최소한 지분 유지
국 제
|
현실 -------------+-------------- 자유
|
고 립
2) 중동에 대한 미국의 이해
(1) 석유의 안정적 공급
- 중동 지역은 세계 석유 매장량의 2/3. 페르시아만 지역은 미국 석유수입량 가운데 23.5% 차지
- 안정적 공급, 석유가격의 유지
(2) 지역 패권 :\' 한 개의 사과가 썩으면 한 상자가 다 썩게 된다.\'
- 러시아등 견제, 반미정권 전복, 친미정권 지원
- 세력 균형 또는 분열 : 이란-이라크 전쟁에서 이란을 견제하기 위해 이라크 지원, 아랍권의 약화를 위해 이스라엘을 이용, 쿠르드족에 대한 이중정책
- 미국을 위한 이스라엘의 역할
(3) 이스라엘의 안보 : 1977년 대외원조법 이후 어떤 나라든 핵무기를 비밀리에 개발하는 나라에는 지원을 할 수 없도록 했으나 오히려 이스라엘이 최대 수혜국. 팔레스타인의 저항을 진압하는 미국의 무기
3) 미국과 중동의 악연
- 기본적으로 백인우월주의, 식민주의, 패권주의 등이 바탕
- 1949 : 시리아 군사쿠데타 지원
- 1953 : 이란 모사드 정권 전복하고 팔레비 왕조를 자리에 앉힘
- 1958 : 레바논 점령
- 1973 : 4차 중동전쟁에 이스라엘 무기 지원
- 1981 : 리비아 비행기 두 대 격추
- 1982.1 미국, 유엔 안보이사회에서 이스라엘의 골란고원 합병에 대한 아랍국들의 제재촉구 결의안에 거부권을 행사
- 1984 : 2대의 이란 비행기 격추됨
- 1986 : 리비아 폭격
- 1989 : 2대의 리비아 비행기 격추
- 1990- : 이라크에 대학 제재, 폭격 등. 이슬람 성지가 있는 사우디 아라비아에 미군 주둔
- 1998 : 수단의 제약공장을 폭격
- 2001.3.27 : 팔레스타인에 국제 감시단을 파견하는 내용의 결의안이 미국의 거부권 행사로 부결
- 2001.08.20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특별 회의를 열어 11개월간 지속되고 있는 중동 유혈사태의 종식방안과 팔레스타인에 국제감시단을 파견하는 내용의 결의안 채택 여부 등을 논의했다. 미국이 중동사태에 유엔 안보리를 개입시키려는 아랍권의 노력을 지지하지 않겠다는 입장 밝힘.
- 2001.9.3 : [UN 인종 차별철폐회의]에서 시오니즘을 인종주의로 규정하려는 아랍권의 반발해 이스라엘과 함께 철수.
7. 시간이 흐르는 땅의 사람들
1) 지역문제
(1) 지역 패권주의 : 이란, 이라크, 시리아, 이집트 , 터키
(2) 미국문제 : 미국의 패권주의, 식민주의
(3) 체제 전환 : 왕정, 자유, 인권. 이란의 경우 교직원 중 여성비율 20-30%. 탈문맹률 왕정때 28%->90년대 초 65%로 상승. 여성 1인당 평균 자녀수 7.2->3.5명으로 하락.
(4)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쿠르드-... : 땅과 평화를 바꾸는 것이 아니라 땅과 평화를 함께 얻는 것
(5) 이라크 : 경제제재 중단. 특히 어린이들에게 식량과 의약품 공급 시급
(6) 경제 : 국가내 분배. 석유 이후를 고려해야
(7) 이슬람개혁 : 여성이 은행 통장을 가질 것인지 말 것인지는 논의할 필요도 없음.
(8) 종파간 평화 : 순니, 시아...
(9) 지역 평화
아랍지역 대규모 분쟁 사례 (누적 사망자 1000이상)
- Hugh Miall 외, [Contemporary Conflict Resolution], Polity Press, 1999 참고함
지역
개시
기본 당사자
사망
이집트
1992
정부군 대 Gamaat Islamiya
1,000이상
이라크
1980
정부군 대 KDP, PUK(Kurds), Shi\'a, SAIRI 등
500,000이상
이란
1979
정부군 대 Mujahideen e-Khalq, KDPI(Kurds)
5,000이상
이스라엘
1948
정부군 대 PLO, Hamas, Hezbollah, Islamic Jihad, PFLP
13,000이상
레바논
1976
정부군 대 Hezbollah, 님
15,000이상
수단
1983
정부군 대 SPLA, NDA
150만이상
터키
1983
정부군 대 PKK(Kurds)
2만이상
알제리
1992
정부군 대 FIS, GIA etc
6만이상
2) 팔레스타인
1) 땅과 자유 : 이스라엘의 거부주의와 식민주의가 가장 큰 문제
2) 평화 : 분쟁의 축소와 공존 모델(아랍-유대 공동체, AFSC의 사례 등)
3) 정의 : 특히 국제적 인식 필요
4) 내부 협력 : 예) PLO 내부의 FATAH - PFLP, 팔레스타인 내부 PLO - HAMAS
5) 귀환 : 난민의 귀환. 너무 많은 사람이 한번에 돌아 오는 문제. 그들이 머물 곳, 경제...
6) 난민 : 시급히 현재의 난민을 지원. 난민촌 외부에 있는 난민 포함. 이스라엘의 학대 중지
7) 경제 : 이스라엘에 종속되어 있는 상황으로 도로만 봉쇄해도 지역경제 침체
8) 인정 : 이스라엘 - 팔레스타인이 서로의 존재 뿐만 아니라 존립을 인정하는 문제. 특히 이스라엘의!
9) 개혁 : 예) 1997.7.31 팔레스타인 자치의회는 부패진상조사위의 조사결과를 받아들여 자치정부 18명 각료들에 대한 사임요구안을 51대 1의 압도적 지지로 통과시켰다.
10) 물 : 이것은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사이의 문제 뿐만 아니라 시리아, 요르단과도 걸리는 문제
11) 정신 : 이스라엘의 인종주의 뿐만 아니라 고통받고 충격받았던 팔레스타인인들
12) 외부지원 : 각국, 진보세력의 팔레스타인 지원.
3) 우리는...
(1) 입장의 차이 : 그래 이스라엘은 나뻐! 팔레스타인은 너무 안 됐어! 미국도 나뻐!
(2) 사실의 차이 : 그런데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은 뭐지?
(3) 행동의 차이 : 우리 속에도 이미 저 먼나라의 사람쯤으로 그들이 자리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2.03.25
  • 저작시기200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24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