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사이버스페이스 이해
1-1 개념적 이해
1-2 탈중앙화 시스템
1-3 정보와 지식의 매개체
1-4 지구적 광속 쌍방향 통신망
2. 사이버스페이스 문화
2-1 탈중앙화와 개체성의 문화
2-2. 다양성과 다원성의 문화
2-3. 탈대중적 합의 문화
2-4. 변혁적 비판문화
1-1 개념적 이해
1-2 탈중앙화 시스템
1-3 정보와 지식의 매개체
1-4 지구적 광속 쌍방향 통신망
2. 사이버스페이스 문화
2-1 탈중앙화와 개체성의 문화
2-2. 다양성과 다원성의 문화
2-3. 탈대중적 합의 문화
2-4. 변혁적 비판문화
본문내용
까지 다양한 의사소통이 사이버스페이스 안에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보다 합리적인 판단과 의사결정에 이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장점은 전 지구적인 토론과 의견교환이 가능하다는 데에서 나오고 있다. 따라서 이제 사이버스페이스를 넘나드는 개인은 한 지역의 문화와 전통과 가치에 종속된 존재로 이해될 수 없다. 사이버스페이스 시대의 한 개인은 물리적으로는 어느 한 지점에서 살고 있지만 그의 의식과 사고는 글로벌 커뮤니티의 한 멤버로서의 차원을 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 어느 때 보다도 사이버스페이스 시대의 개인은 보다 더 합리적인 가치와 행위를 선택할 수 있는 비판적 개인이 되는 것이다.
2-4. 변혁적 비판문화
죤 네이스비트는 그의 책 Megatrends: Global Paradox(1994)에서 사이버스페이스의 시대적 특징을 일컬어 '지구적 모순'이라고 불렀다. 여기서 말하는 글로벌 패러독스란 통신혁명을 통하여 시간과 거리를 제로화 시킨 세계는 거대한 하나의 공동체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모든 사고와 행위의 단위를 글로벌하게 만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 지역, 종족 혹은 개인의 존재양식의 독특성을 존중하는 지역화가 동시에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글로벌 패러독스의 시대를 살아가는 지혜로서 그는 "지역적으로 사고하고, 세계적인 차원에서 행동하라"
) 죤 네이슈비트, 『글로벌 페러독스』, 정성호 역 (세계일보, 1994) 35.
고 권한다. 그의 견해에 따르면 사이버스페이스를 통하여 주고받는 데이터의 성격은 개체의 존재의미를 거대한 전 지구적 관심으로 확대시키는 데 있다. 따라서 전 지구적 연결망 속에 주체적인 자아들이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확고한 의식을 더 할 것이라고 보며, 동시에 다양한 주체들이 공존하는 지구촌의 현존성을 더욱 가깝게 느끼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사이버스페이스 안에서 활동하는 이들이 사고와 행위에 있어서 두 축을 공유하고 있음을 보게된다.
사이버스페이스는 지구적인 것과 동시에 개체적인 것에 의미와 가치를 부여하는 문화를 산출한다. 그 결과 개체 인간을 존중하지 않는 지구적 가치는 의미가 약화되고, 또한 지구적 가치를 고려하지 않는 개인이나 개체적 가치는 그 의미를 잃게 된다. 그러므로 개체성과 지구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문화의 형성이 강조된다. 지난 1993년 9월 4일, 시카고 종교회의에서 만들어진 「세계윤리선언』은 전형적으로 두 가지 축의 사고를 종합하고 있는 윤리적 선언이다. 한스 큉(Hans Kueng)의 Global Responsibility (Projekt Weldethos, 1990) 도 이러한 정신을 잘 반영하고 있다. 뒤에 사이버스페이스와 윤리 문제를 언급할 때 자세히 논의하겠으나, 여기서 우리가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은 세계적 차원과 개인적 차원, 혹은 개개의 종교적 차원이 함께 공유할 수 있는 가치를 무시하거나 외면하는 개인이나, 정치, 경제적 정책, 혹은 종교적 전통은 날카로운 비판을 받게 된다. 왜냐하면 그것은 세계의 평화를 깨뜨릴 뿐만 아니라 개인의 존엄성 또한 파괴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요구하는 것은 자기 비판적 시야뿐만 아니라 자기 전통에 지적으로 정직함으로서 성숙을 통한 창조적인 자기변혁을 모색해야 한다는 것이다.
) Hans Kueng, Global Responsibility (New York: Cross Road, 1991) 102--103.
결국 개체 존재들이 지구적 연결망 속에서 만나, 대화를 나누고 함께 개체를 존중하는 동시에 지구적 존재의미를 공유하는 삶을 추구함으로써 창조적인 상호 성숙의 기회를 가질 수 있는 가능성이 사이버스페이스를 통하여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2-4. 변혁적 비판문화
죤 네이스비트는 그의 책 Megatrends: Global Paradox(1994)에서 사이버스페이스의 시대적 특징을 일컬어 '지구적 모순'이라고 불렀다. 여기서 말하는 글로벌 패러독스란 통신혁명을 통하여 시간과 거리를 제로화 시킨 세계는 거대한 하나의 공동체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모든 사고와 행위의 단위를 글로벌하게 만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 지역, 종족 혹은 개인의 존재양식의 독특성을 존중하는 지역화가 동시에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글로벌 패러독스의 시대를 살아가는 지혜로서 그는 "지역적으로 사고하고, 세계적인 차원에서 행동하라"
) 죤 네이슈비트, 『글로벌 페러독스』, 정성호 역 (세계일보, 1994) 35.
고 권한다. 그의 견해에 따르면 사이버스페이스를 통하여 주고받는 데이터의 성격은 개체의 존재의미를 거대한 전 지구적 관심으로 확대시키는 데 있다. 따라서 전 지구적 연결망 속에 주체적인 자아들이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확고한 의식을 더 할 것이라고 보며, 동시에 다양한 주체들이 공존하는 지구촌의 현존성을 더욱 가깝게 느끼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사이버스페이스 안에서 활동하는 이들이 사고와 행위에 있어서 두 축을 공유하고 있음을 보게된다.
사이버스페이스는 지구적인 것과 동시에 개체적인 것에 의미와 가치를 부여하는 문화를 산출한다. 그 결과 개체 인간을 존중하지 않는 지구적 가치는 의미가 약화되고, 또한 지구적 가치를 고려하지 않는 개인이나 개체적 가치는 그 의미를 잃게 된다. 그러므로 개체성과 지구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문화의 형성이 강조된다. 지난 1993년 9월 4일, 시카고 종교회의에서 만들어진 「세계윤리선언』은 전형적으로 두 가지 축의 사고를 종합하고 있는 윤리적 선언이다. 한스 큉(Hans Kueng)의 Global Responsibility (Projekt Weldethos, 1990) 도 이러한 정신을 잘 반영하고 있다. 뒤에 사이버스페이스와 윤리 문제를 언급할 때 자세히 논의하겠으나, 여기서 우리가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은 세계적 차원과 개인적 차원, 혹은 개개의 종교적 차원이 함께 공유할 수 있는 가치를 무시하거나 외면하는 개인이나, 정치, 경제적 정책, 혹은 종교적 전통은 날카로운 비판을 받게 된다. 왜냐하면 그것은 세계의 평화를 깨뜨릴 뿐만 아니라 개인의 존엄성 또한 파괴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요구하는 것은 자기 비판적 시야뿐만 아니라 자기 전통에 지적으로 정직함으로서 성숙을 통한 창조적인 자기변혁을 모색해야 한다는 것이다.
) Hans Kueng, Global Responsibility (New York: Cross Road, 1991) 102--103.
결국 개체 존재들이 지구적 연결망 속에서 만나, 대화를 나누고 함께 개체를 존중하는 동시에 지구적 존재의미를 공유하는 삶을 추구함으로써 창조적인 상호 성숙의 기회를 가질 수 있는 가능성이 사이버스페이스를 통하여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추천자료
- 나는 누구일까 인간인가 아니면 한없이 인간에 가까운 사이보그인가
- 인터넷과 개인 권력
- 인터넷보급의확산이청소년사회화과정에미치는영향
- 디지털 정체성의 진화와 커뮤니티의 몰락
- 전자상거래를 통한 인터넷의 양면성바라보기
- [교육학]인터넷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 음란성과 폭력성을 중심으로
- 정보화사회 가상현실과 가상공동체의 출현과 윤리적 문제들
- 미니홈피, 블로그, 카페를 통한 인터넷 커뮤니케이션
- 정보사회의 도래와 가상공간에서의 새로운 위험요인들
- [네티켓][넷티켓][네티켓(넷티켓) 원칙][네티켓(넷티켓) 당위성]네티켓(넷티켓)의 개념, 네티...
- 기독교교육학개론
- [현대사회와 사회문제] 정보화사회와 청소년문제 - N세대,N세대의특성,N세대의가치관,N세대의...
- 대학생의 싸이월드 미니홈피 이용현황과 바람직한 사용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