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참여 방송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시민참여 방송의 역사적 배경
1. 표현의 자유론에 대한 재고
2. 시민사회와 공공영역의 성장
Ⅲ. 시민참여 방송과 시청자의 법익
1. 알권리
2. 미디어 액세스권
Ⅳ. 외국 시민참여 방송의 현황과 함의
Ⅴ. 맺음말

본문내용

과 사회』, 제22호, 1998년 가을호.
박형상(1993), 「시청자주권 가로막는 현행법의 문제점」, 『방송연구』, 37호.
신광영(1995), 「시민사회의 개념과 시민사회의 형성」, 유팔무·김호기 엮음, 『시민사회 와 시민운동』, 한울.
신명순(1995), 「한국에서의 시민사회 형성과 민주화과정에서의 역할」, 안병준 외, 『국 가, 시민사회, 정치민주화』, 한울.
안정임(1999). 『우리나라 악세스 채널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종합유선방송위원회 모노 그래프 99-2.
양 건(1993), 「표현의 자유」, 김동민 편저, 『언론 법제의 이론과 현실』, 한나래.
임병국(1999), 『언론법제와 보도』, 나남.
정용준(1995), 「1990년대 한국방송구조의 공익성에 관한 연구: 국가, 시장, 시민사회의 관 계를 중심으로」, 서울대 신문학과 박사학위논문.
최영묵(1998), 『방송공익성에 관한 연구』(제2판), 커뮤니케이션북스.
팽원순(1984), 『매스코뮤니케이션 법제이론』, 법문사.
허 영(1998), 『헌법이론과 헌법』(신정 3판), 박영사.
황태연(1992), 『환경정치사상』, 나남.
AMARC Africa(1998), What is Community Radio: A Resource Guide, Panos: South Africa.
Andras, S. & P. E. Monroe(1996), Rights of Access to the Media, Hague: Kluwer Law International.
Arednt, H.(1958) The Human Condition, 이진우·태정호 역, 『인간의 조건』, 한길사.
Barendt, E.(1995), Broadcasting Law: A Comparative Study, Oxford: Clarendon Press,
Barron, Jerome A.(1973), Freedom of the Press to Whom? The Right to of Access to the Mass Media, Bloomington: Indiana Univ. Press.
Brecht, B.(1983), "Radio as a Means of Communication," Communication and Class Struggle 2: Liberalism, Socialism, New York: International General/IMMRC.
Emerson, Tomas.(1986) "Expression and Action: The Dividing Line", W. Brasch and D. Ulloth, ed. The Press and The States and: Sociohistorical and Contemporary Interpretations, Lanham; Univ. Press of America.
Firestone, C. & Jacklin, P.(1979), "Deregulation and the Pursuit of Fairness", in T. R. Haight ed. Telecomunication Policy and the Citizen: Public Interest Perspectives in the Communication Act Rewrite, New York: Praeger.
Fuller, Linda K.(1994) Community Television in the United States: A Sourcebook on Public, Educational, and Governmental Access, Westport: Greenwood Press.
Habermas, J(1974) Theory and Practice, Boston: Beacon Press.
Habermas, J(1979) "The Public Sphere" in Mattelart & Siegelaub eds. Communication and Class Struggle 1. Capitalism, Imperialism, NY: IG.
Habermas, J(1989),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An Inquiry into a Category of Bourgeois Society, Cambridge: Polity Pres.
Head, S. W. etc.(1994), Broadcasting in America: A Survey of Electric Media, Houghton Mifflin Company.
Held, David(1987), Models of Democracy, London: Polity Press.
Keane, John(1988), Democracy and Civil Society, London: Verso
Keane, John(1991), The Media and Democracy. 주동황·정용준·최영묵 역(1995), 『언 론과 민주주의』, 나남,
Milton, John, Aropagitica 임상원 역주(1998), 『아레오파지티카: 존밀턴의 언론출판 자 유에 대한 선언』, 나남, 1998.
Sajo, Andras & Monroe, Price(1996), Rights of Access to the Media, Hague: Kluwer Law International.
Scannell, Paddy(1989), "Public service broadcasting and modern public life", Media, Culture and Society, Vol. 11.
Wasko, J. and Mosco, V. eds.(1992), Democratic Communications in the Information Age, Norwood, NJ: Ablex, 1992, p. 7.
Wiggins, James(1964), Freedom or Secrecy, New York: Oxford Univ. Press.
Williams, Raymond(1976), Television: Technology and Cultural Form, New York: Oxford Univ. Press.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2.05.24
  • 저작시기200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50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