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문화적응과 한국어와 일본어 사용에서 나타나는 miscommmunication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문화적응과 한국어와 일본어 사용에서 나타나는 miscommmunication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Ⅰ.1. 이문화적응과 miscommmunication
Ⅰ.2. 조사방법
Ⅱ. 이문화 적응기에 이르는 과정별 특징
Ⅲ. 대우표현과 커뮤니케이션 능력(communicative competence)
Ⅳ. 대우행동의 기본
Ⅳ.해석 및 고찰
Ⅵ. 결론

본문내용

R. E. Porter (eds.), Belmont: Wadsworth Publishing Co. pp.404-417.
Toomey, S. T.(1997). Managing Intercultural Conflicts Effectively.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L. A. Samovar & R. E. Porter(eds.), Belmont: Wadsworth
Publish Co. pp. 392-404.
Wang, H. -S.(1984). Honorific Speech Behavior in a Rural Korean Village: Structure and
Use. Unpublished Ph. D. diss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石井敏, 岡部朗一, 久米昭元(1987).『異文化コミュニケ-ション : 新國際人への條件』有斐閣選書. 東京 : 有斐閣.
金容雲(1984). 「鎖國の汎パラダイム : 日韓文化の異質性」東京 : サイマル出版會.
申惠璟(1996).「韓國語と日本語の待遇表現の社會言語學的比較硏究 : 呼稱とスピ-チレベルの使用法を
中心に」. 博士學位論文. 上智大學.
  • 가격1,2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2.05.29
  • 저작시기200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52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