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기호학
1.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2. 페르디낭 드 소쉬르
Ⅱ. 기호학과 커뮤니케이션
Ⅲ. 광고와 기호학
1. Benetton
2. TTL
Ⅳ. 소설/기호학의 적극적 도입
1. 소설
2. 영화
<<참고문헌>>
1.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2. 페르디낭 드 소쉬르
Ⅱ. 기호학과 커뮤니케이션
Ⅲ. 광고와 기호학
1. Benetton
2. TTL
Ⅳ. 소설/기호학의 적극적 도입
1. 소설
2. 영화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음식기호)
영화속의 음식기호는 등장인물의 캐릭터를 함축적으로 표현하기도 하는데, 그 예로 <봄날은 간다>(2001)를 들 수 있다. 극중에서 '은수'는 순간적인 허전함을 메꾸기 위해 즉흥적으로 사랑을 하는 성격이며, 라면을 매우 좋아한다. 라면은 손쉽게 먹을 수 있는 대표적인 인스턴트 식품이다. 이에 이 라면은 '은수'의 연애관을 나타내는 상징이라고 볼 수 있다.
(등장인물의 감정의 필터로서의 음식기호)
마지막으로 영화속에서 나타난 음식기호가 등장인물의 감정을 나타내는 사례로 <달콤,쌉싸름한 초콜릿>(1992)을 들 수 있다. 주인공 띠따는 인습 때문에 사랑하는 남자와 결혼하지 못하게 된다. 그녀가 사랑하는 남자는 대신 자신의 친언니와 결혼하는 것을 선택하게 된다. 그들의 결혼식 케익을 만들면서 띠따가 흘린 눈물이 케익 반죽에 들어가, 이 결혼식 케익을 먹은 사람들은 구토를 일으키거나 눈물을 한없이 흘리는 등의 반응을 보인다. 이로서 이 영화에서 중요한 음식기호인 결혼식 케익은 띠따의 슬픔 그 자체라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TTL 1,2차 광고 : www.ttl.co.kr/index.ttl
『기호와 광고학』, 김정탁 염성원 공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0
『현대 문학 문화 비평 용어 사전』,조셉 칠더즈. 게리 헨치 엮음
『대중매체의 기호학』,박정순, 나남출판, 1995
*목 차
Ⅰ. 기호학
1.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2. 페르디낭 드 소쉬르
Ⅱ. 기호학과 커뮤니케이션
Ⅲ. 광고와 기호학
1. Benetton
2. TTL
Ⅳ. 소설/기호학의 적극적 도입
1. 소설
2. 영화
<<참고문헌>>
영화속의 음식기호는 등장인물의 캐릭터를 함축적으로 표현하기도 하는데, 그 예로 <봄날은 간다>(2001)를 들 수 있다. 극중에서 '은수'는 순간적인 허전함을 메꾸기 위해 즉흥적으로 사랑을 하는 성격이며, 라면을 매우 좋아한다. 라면은 손쉽게 먹을 수 있는 대표적인 인스턴트 식품이다. 이에 이 라면은 '은수'의 연애관을 나타내는 상징이라고 볼 수 있다.
(등장인물의 감정의 필터로서의 음식기호)
마지막으로 영화속에서 나타난 음식기호가 등장인물의 감정을 나타내는 사례로 <달콤,쌉싸름한 초콜릿>(1992)을 들 수 있다. 주인공 띠따는 인습 때문에 사랑하는 남자와 결혼하지 못하게 된다. 그녀가 사랑하는 남자는 대신 자신의 친언니와 결혼하는 것을 선택하게 된다. 그들의 결혼식 케익을 만들면서 띠따가 흘린 눈물이 케익 반죽에 들어가, 이 결혼식 케익을 먹은 사람들은 구토를 일으키거나 눈물을 한없이 흘리는 등의 반응을 보인다. 이로서 이 영화에서 중요한 음식기호인 결혼식 케익은 띠따의 슬픔 그 자체라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TTL 1,2차 광고 : www.ttl.co.kr/index.ttl
『기호와 광고학』, 김정탁 염성원 공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0
『현대 문학 문화 비평 용어 사전』,조셉 칠더즈. 게리 헨치 엮음
『대중매체의 기호학』,박정순, 나남출판, 1995
*목 차
Ⅰ. 기호학
1.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2. 페르디낭 드 소쉬르
Ⅱ. 기호학과 커뮤니케이션
Ⅲ. 광고와 기호학
1. Benetton
2. TTL
Ⅳ. 소설/기호학의 적극적 도입
1. 소설
2. 영화
<<참고문헌>>
추천자료
프로이드의 재담이론
오정희 소설의 연구
움베르토 에코의 논문 잘쓰는 방법
해체주의비평
서양미술사 정리
레비스트로스
롤랑 바르트의 신화, 롤랑 바르트의 문학, 롤랑 바르트의 기호론, 롤랑 바르트의 텍스트론, ...
기호와 이데올로기
장미의이름 서평 및 분석 - 작품 내용요약, 진리중심주의의 폐습과 파괴적 결과, 중세라는 이...
기호의 구조 요약 정리.ppt
롤랑바르트의 신화론
박종석 저자의 글쓰기 기술 줄거리 요약 및 감상문, 느낀점, 독후감, 나의 견해, 나의 소감, ...
피에르 부르디외와 아비투스 이론
[언어의 이해 D형] 언어기호의 특성을 설명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