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관리론 개인차(조직에 대한 성격 및 태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개인의 본질
2. 개인의 성격
3. 셩격과 조직관리
4. 태도와 태도형성
5. 기질론, 상황론, 인지부조화
6. 직무
7. 태도와 행동

본문내용

질론적 관점이 제시하는 것처럼 일정 요소로 구성되어 있음으로 해서 일관성 있게 행동으로 나타나는 안정적인 기질로 보기 어렵다고 주장되어지는 상황론적 관점에 도전을 받고 있다. 이에 의하면 사회적 환경이 제공하는 정보에 의해 기인의 태도가 형성된다고 한다.
상황론적 관점에 관한 실증적 연구들의 결과를 보면, 일반적으로 이 관점에 대해 부분적으로 지지를 하고 있지만, 조직구성원들의 태도는 조직의 객관적 속성과 사회적 정보 모두에 의해 형성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3. 인지적 부조화
인지라 함은 태도, 신념, 사상, 행위를 알아차리는 것을 말하는데 인간은 원래 이러한 많은 인지들 사이에 일관성이 결여되었을 때 이를 피하려는 본능이 있다는 것이다.
부조화 상태를 가져오게 하는 직접적인 원인은 많이 있지만 어떤 의사결정을 했을 때, 강요 때문에 하는 수 없이 복종하거나 받어들였을 때, 남과 의견이 대립되었을 때, 노력을 조금하고 보상을 조금 받았을때에 특히 크게 일어날 수 있을 것이다.
)임창희, 조직행동(서울 : 학현사, 1997), pp.160∼161
〈그림Ⅳ-2〉인지부조화 해결과정
Ⅴ. 직무와 관련된 태도
조직관리자는 직원들의 태도를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야 한다. 직원들의 태도는 조직에 입장에서 중요한 여러 가지 행동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인간의 태도에 관한 이론과 연구를 살펴봄으로서 조직관리자들읜 직장에 대한 직원들의 태도를 좀더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1. 직무만족
직무만족이란 직무에 대한 개인적 태도로서 조직학 분야에서 가장 널리 연구된 변수 중 하나이다.
종업원 직장생활의 만족에 대한 연구가 수없이 많았지만 아직도 해답이 충분치 못하다. 또한 아직 직무만족이 반드시 높은 성과를 가져오는지도 확실치 않다. 오히려 불만족한 종업원들의 성과가 높을 가능성도 많다. 예를 들면 호되게 혼나며 공부한 아이가 성적이 좋은 경우를 들 수 있다.
직무를 자극하는 요인 중 직무가 어떻게 설계되어 있느냐에 따라 직무만족도가 죄우되는 경우가 있다. 직무의 설계란 직무가 갖고 있는 사회적 구조적 모든 속성이 종업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고려하여 직무를 계획적으로 다시 설계하는 것을 말하며 이러한 직무가 어떻게 설계되어 있느냐에 따라 직무만족도가 좌우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언제나 직무를 설계할 때에는 조직의 성과향상과 종업원의 만족이라는 두 측면을 같이 고려해야 한다.
2. 조직몰입과 직무관여
조직몰입이란 조직에 대해 갖고 있는 개인적 태도로서 자신이 소속하고 있는 조직을 개인이 얼마나 동일시하며 그 조직에 얼마나 헌신하고자 하는가 하는 정도이다. 또한 직무개입이란 자발적으로 직무의 기본적 요구수준을 넘어서 직무를 수행하는 정도를 말한다.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가장 큰 차이점은 직무만족이 개인의 직무나 직무의 어떤 측면에 대한 태도만을 의미하는 데 반해 조직몰입은 조직 전체에 대한 개인의 태도라는 면에서 좀더 포괄적인 개념이고, 직무만족은 직무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비교적 쉽게 변하지만 조직몰입은 비교적 오래 지속된다는 것이다.
조직몰입과 직무관여는 연령이나 조직에서 근속연수 같은 개인적 요인과 직원들이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정도 그리고 그들이 생각하는 직장의 안정성 같은 조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한다. 따라서 조직관리자는 가능한 필요할 때마다 직원들이 의사결정에 참여하도록 하고 직장의 안정성 수준을 합리적으로 제고함으로서 조직몰입과 직무관여를 높일 수 있다.
Ⅵ. 태도와 행동
1. 태도와 행동의 일치성
태도와 행동은 직접적 관계가 있는가라는 질문에서부터 시작해야 할 것이다. 즉 둘은 일치하는가에서 일단은 일치한다고 보는 것이 상식이다. 예를 들어 어떤 후보를 좋아하는 태도에서 그 후보를 뽑는 행동으로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사람들의 실제상황은 그렇지 않는 경우도 나타난다. 거지를 돕고 싶은 태도지만 안 도와준다는 행동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평화를 원하는 태도를 전쟁을 하는 행동으로 나타나게 하기도 한다.
2. 태도가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정
태도라는 것은 일단 형성이 되면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그것은 심리세계에 존재하는 것이기 때문에 직접 관찰이 불가능하다. 태도는 그 결과로 나타나는 행동을 보고 역추적하여 추론해낼 수 밖에 없다.
첫째, 인지측면의 태도 추정으로 어떻게 느끼는가, 어떤 견해를 갖고 있나 질문해 보든지 그의 신념 표명을 관찰한다.
둘째, 정서측면의 태도 추정으로 직접 질문해 보든가 맥박, 뇌파 등 신체적 변화를 관찰하는 것이다.
셋째, 행동측면의 태도 추정으로 행동을 직접 관찰해 보던가 가설적 상황을 놓고 그럴 때 어떻게 행동하겠냐고 질문해 보는 것이다.
)임창희, 조직행동(서울 : 학현사, 1997), pp.149∼150
여기서 직무만족 같은 전반적인 태도는 다양하게 직무와 관련이 있는 광의의 직무 성과와 그 관계를 살피는 것이 논리적일 것이다. 즉 어떤 특정 행동에 관한 구체적 태도는 전반적인 행동보다는 그러한 특정 행동과 더욱 관련이 있고, 직무만족 같은 전반적인 태도는 개별 행동보다는 전반적인 행동과 더욱 관련이 있다 따라서 태도와 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볼 때 구체적 태도는 구체적 행동과 연결시키고, 전반적 태도는 전반적 행동과 전반적 태도는 전반적 행동과 연결시키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림Ⅳ-1〉태도가 행동화되는 과정
Ⅶ. 개인차의 조직관리상의 의미
조직관리자는 인간 각자의 특성과 성격이 다르다는 것을 이해하고 이에 따른 합리적 행동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조직관리자는 부하에 대해 가능한 선입견을 버리고 부하들을 있는 그대로 대우하며 이해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參考文獻>
임창희, 조직행동, 서울 : 학현사, 1997.
황규대 외, 조직행위론, 서울 : 박영사, 2000.
김현택 외, 심리학, 서울 : 학지사, 2001.
민진, 조직관리론, 서울 : 대영문화사, 1998.
이완정, 행동연구 분석기법, 서울 : 교육과학사, 1996.
〈인터넷 사이트〉
http://100.empas.com/entry.html/
http://biz.mk.co.kr/biznews/school/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2.06.12
  • 저작시기20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59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