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종문학분석-시) 낡은집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스러움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다.
이 시의 대상은 '낡은 집'으로 표상되는 한 가족의 가난한 삶이다. 그것이 내 친구인 '털보의 셋째아들'의 성장 과정을 중심으로 화자의 귀에 들리고 눈앞에 펼쳐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시의 화자는 그렇게 해서 듣고 본 이야기를 자기 또래쯤의 청자에게 전달하고 있다. 작자는 이 화자-청자 사이의 이야기를 구체적으로 보여 줌으로써 시에 직접 개입하지 않으면서도 담담한 가운데 대상을 사실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또한 화자를 어린이로 처리하여 화자의 판단이 시 속에 개입되는 것을 막고, 단지 전달의 기능만을 맡김으로써 독자의 상상력이 자유롭게 발휘되도록 하고 있다.
이 작품에서 어린 화자의 입을 통해 청자에게 전해지고 있는 내용은, 일제 강점기 조선 농촌의 피폐화 과정이다. 이 시는 문학 작품이 시대 상황에 어떻게 대응하는지를 보여 주는 좋은 예가 될 것이다.
<참고> 이용악의 작품 세계
"일제 강점기 한국 근대시사에서 이용악만큼 국내외 유이민(流移民)의 비극적 삶을 깊이 있게 통찰하고 또 이를 민족 모순의 핵심으로 명확히 인식, 형상화한 시인은 드물다." 라는 평가가 있듯이 이용악의 시는 시대가 자아내는 비극적 슬픔을 담고 있다. 또 다른 특징은 이야기성과 서사 구조에 있다. "사실주의적 기법과 선명한 구조를 통해 당대의 비극적 실상을 성공적으로 그려 낸 수작"으로 평가받는 '낡은 집'도 시인의 어릴 적 동무인 털보네 이야기를 통해 일제의 침탈로 피폐해진 농촌의 실상과 유이민(流移民) 현실을 사실적으로 형상화하여 경향시가 빠지기 쉬운 관념성을 극복했다고 볼 수 있다.

키워드

낡은집,   이용악,   전문,   무곡,   죽마고우,   산호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2.06.19
  • 저작시기20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65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