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소설가 채만식
1. 개항기
2. 일제 군국주의 상황
3. 위기의 시대
4. 해방 전후 각 5년간의 시기
Ⅱ. 소설가 김유정
Ⅲ. 소설가 박완서
Ⅳ. 소설가 이호철
Ⅴ. 소설가 황순원
Ⅵ. 소설가 나도향
Ⅶ. 소설가 강경애
참고문헌
1. 개항기
2. 일제 군국주의 상황
3. 위기의 시대
4. 해방 전후 각 5년간의 시기
Ⅱ. 소설가 김유정
Ⅲ. 소설가 박완서
Ⅳ. 소설가 이호철
Ⅴ. 소설가 황순원
Ⅵ. 소설가 나도향
Ⅶ. 소설가 강경애
참고문헌
본문내용
<현대문학>에, 단편 차라리 내 목을을 <신동아>에 각각 발표.
1968년
<월간문학> 편집위원에 위촉됨. 한글 전용 심의위원에 위촉됨. 장편 움직이는 성을 <현대문학>에 연재.
1969년
황순원 대표작선집 전 6권을 조광출판사에서 간행.
1970년
군제 펜클럽 제37차 서울대회에서 한국 대표로 한국 문학에 있어서의 해학의 특성이라는 제목으로 주제를 발표. 국민훈장 동백장 받음.
1971년
‘외솔회’ 이사에 위촉됨.
1972년
장편 움직이는 성<현대문학> 완결. 부친 사망.
1973년
장편 움직이는 성을 삼중당에서 간행. 황순원 문학전집 전7권을 삼중당에서 간행.
1974년
모친 사망. 단편 숫자풀이를 <문학사상>에, 단편 마지막 잔을 <현대문학>에 발표.
1976년
단편집 탈을 문학과지성사에서 간행. 미국일본대만 등지를 여행.
1978년
장편 신들의 주사위를 <문학사상>에 연재.
1980년
경희대 교수 정년 퇴임과 동시에 명예교수로 취임. 장편 신들의 주사위가 <문학과지성>폐간으로 가을호부터 연재중단 됨. 황순원전집 전12권중 제1권이 문학과지성사에서 간행됨.
1983년
장편 신들의 주사위로 대항민국 문학상 본상 수상.
1984년
미국 중부, 서부 지방과 유럽의 영국프랑스스위스이탈리아오스트리아독일벨기에 등지를 여행.
1985년
단편 학이 인문계 실업계 구분 없이 편찬한 고등학교 국2에 수록됨. 황순원전집 전12권이 문학과지성사에서 완간.
1987년
제1회 인촌상 문학부문 수상. 예술원 원로회원에 추대됨.
1990년
선친께서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 받음.
1992년
시 산책길에서 1,산책길에서 2,무서운 아이등을 <현대문학>에 발표.
Ⅵ. 소설가 나도향
나도향의 일생은 1902년 음력 3월 30일에 출생하여 1926년 8월 26일에 작고하기까지 겨우 24년 4개월간 일제 암흑기의 전반부에 살다간 단명한 작가로 불운했었다. 도향의 작품활동 기간 역시 불과 1920년대 초반부터 시작하여 겨우 5년밖에 안되지만 30여 편 가까운 소설을 발표하였으며 평론, 수필, 시도 수편씩 발표된바 있지만 역시 소설이 그의 대표 양식이며 그 중에서도 문제성을 지닌 것은 단편소설이 되겠다.
Ⅶ. 소설가 강경애
강경애는 1906년 황해도 송화에서 가난한 농민의 딸로 태어났다. 그녀의 아버지는 강경애가 아주 어릴 때 죽었다(1909년). 그러자 그녀의 어머니는 호구지책으로 황해도 장연의 최도감의 후처로 들어가게 된다(1910). 그래서 강경애는 어릴 때부터 갖은 구박을 받으며 자랐다. 그리고 강경애의 집은 매우 가난했다고 한다. 그렇게 빈곤하고 불안정한 가족관계는 그녀의 작품들에 아주 큰 영향을 미쳤다. 우리가 저번에 본 「어머니와 딸」에서 나오는 예쁜이가 딸 옥이를 데리고 다른 사내와 살게 되었을 때 예쁜이와 옥이와 그 사내의 관계는 어쩌면 강경애의 어머니와 강경애 그리고 의붓아버지 최도감 이 세 사람의 불행한 가족 관계가 투영된 것인지도 모른다.
열 살이 지나서야 어머니의 애원과 간청으로 겨우 장연여자청년학교를 거처 장연소학교에 입학하여 공부를 했다(1915). 1921 형부의 도움으로 평양 숭의여학교에 입학했다. 그러나 역사 가난한 기숙사 생활이었다. 이런 그의 가난한 시절은 그녀의 작품 곳곳에서 볼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원고료 이백원」에서 주인공이 어린 시절을 회상하는 부분이 강경애의 어린 시절의 가난했던 추억을 투영한 것이라 한다.
또 강경애는 1923년 학생 맹휴 사건의 주동자였다. 그 당시 향학열이 민족적 각성에 다라 갑자기 양양되어 학급마다 교실이 좁아지고 학교마다 시설의 빈약과 교원의 낮은 인격적 수준은 피할 수가 없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이에 불만을 품고 있던 여학생들은 일본인 교원 배척, 무자격 교원 배척, 시설 충실 등을 요구조건으로 내세우고 동맹 휴학을 하게 된다. 이 사건에 강경애는 주동자로 나서고 학교에서 퇴학당한다. 이것은 후에 있을 그녀의 프롤레타리아적 성향의 소설을 암시하는 듯하다. 하지만 그녀가 진정으로 그런 식의 소설을 쓰게 된 데는 그녀의 남편인 장하일과의 결혼과 간도에서의 생활 때문이다.
강경애는 1931년 6월에서 이듬해 6월까지 간도에서 방랑생활을 했던 것 같고 이 시기에 그녀의 남편인 장하일을 만난 것 같다. 장하일은 사회주의 운동가로서 그녀에게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일단 그는 그녀의 소설을 최초로 읽는 독자였다. 여기서 장하일은 강경애의 소설을 ‘검열’했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레 사회주의자인 장하일의 영향을 안 받을 수가 없었던 것이다.
그리고 간도는 항일 투쟁의 중심지였다. 뿐만 아니라 간도에는 수많은 가난한 농민들이 이주해서 살던 곳이기도 하다. 그러다 보니 자연히 강경애는 이런 가난한 농민과 노동자와의 만남이 잦아지고 그녀가 쓰는 소설은 이런 사람들의 체험적 경험에서 나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소금」을 비롯한 「모자」,「번뇌」등은 모두 인물구성이 모두 만주 지방의 사회주의 운동가나 항일 유격대와 관련되어 있다.
1933년 9월경에 그들 부부는 다시 간도로 건너간다. 그곳에서 그녀는 장편소설 『인간문제』를 《동아일보》에 8월부터 12월까지 연재한다. 하지만 그 후 강경애는 혼란스럽던 사회적 분위기와 맞물려 그녀의 소설 역시 혼란스런 면을 보여주기 시작한다. 『인간문제』이후의 작품들인 「원고료 이백원」,「번뇌」,「동정」,「산남」 등은 모두 수필적 성향이 짙어 진다.
1939년에 병의 악화로 그들 부부는 황해도 장연으로 돌아온다. 그리고 1944년 4월에 그녀는 병이 악화되어 귀도 먹고 앞조차 보지 못하게 되어 한 달 전에 돌아가신 어머니를 부르면서 38세의 아까운 나이로 사망한다.
참고문헌
▷ 김나영(2005), 김유정 소설의 문체 연구, 경희대학교
▷ 공화순(2011), 박완서 소설연구 : 전쟁·세태·가족사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 남기홍(1994), 나도향 문학의 전기적 고찰, 인하대학교
▷ 박용규(2005), 황순원 소설의 개작과정 연구, 서울대학교
▷ 최영란(1986), 채만식 소설 연구 : 풍자적 특징과 그 변이양상을 중심으로, 대구교육대학교
▷ 황태묵(2011), 이호철 소설에 나타난 분단의식 변모양상 연구, 고려대학교
1968년
<월간문학> 편집위원에 위촉됨. 한글 전용 심의위원에 위촉됨. 장편 움직이는 성을 <현대문학>에 연재.
1969년
황순원 대표작선집 전 6권을 조광출판사에서 간행.
1970년
군제 펜클럽 제37차 서울대회에서 한국 대표로 한국 문학에 있어서의 해학의 특성이라는 제목으로 주제를 발표. 국민훈장 동백장 받음.
1971년
‘외솔회’ 이사에 위촉됨.
1972년
장편 움직이는 성<현대문학> 완결. 부친 사망.
1973년
장편 움직이는 성을 삼중당에서 간행. 황순원 문학전집 전7권을 삼중당에서 간행.
1974년
모친 사망. 단편 숫자풀이를 <문학사상>에, 단편 마지막 잔을 <현대문학>에 발표.
1976년
단편집 탈을 문학과지성사에서 간행. 미국일본대만 등지를 여행.
1978년
장편 신들의 주사위를 <문학사상>에 연재.
1980년
경희대 교수 정년 퇴임과 동시에 명예교수로 취임. 장편 신들의 주사위가 <문학과지성>폐간으로 가을호부터 연재중단 됨. 황순원전집 전12권중 제1권이 문학과지성사에서 간행됨.
1983년
장편 신들의 주사위로 대항민국 문학상 본상 수상.
1984년
미국 중부, 서부 지방과 유럽의 영국프랑스스위스이탈리아오스트리아독일벨기에 등지를 여행.
1985년
단편 학이 인문계 실업계 구분 없이 편찬한 고등학교 국2에 수록됨. 황순원전집 전12권이 문학과지성사에서 완간.
1987년
제1회 인촌상 문학부문 수상. 예술원 원로회원에 추대됨.
1990년
선친께서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 받음.
1992년
시 산책길에서 1,산책길에서 2,무서운 아이등을 <현대문학>에 발표.
Ⅵ. 소설가 나도향
나도향의 일생은 1902년 음력 3월 30일에 출생하여 1926년 8월 26일에 작고하기까지 겨우 24년 4개월간 일제 암흑기의 전반부에 살다간 단명한 작가로 불운했었다. 도향의 작품활동 기간 역시 불과 1920년대 초반부터 시작하여 겨우 5년밖에 안되지만 30여 편 가까운 소설을 발표하였으며 평론, 수필, 시도 수편씩 발표된바 있지만 역시 소설이 그의 대표 양식이며 그 중에서도 문제성을 지닌 것은 단편소설이 되겠다.
Ⅶ. 소설가 강경애
강경애는 1906년 황해도 송화에서 가난한 농민의 딸로 태어났다. 그녀의 아버지는 강경애가 아주 어릴 때 죽었다(1909년). 그러자 그녀의 어머니는 호구지책으로 황해도 장연의 최도감의 후처로 들어가게 된다(1910). 그래서 강경애는 어릴 때부터 갖은 구박을 받으며 자랐다. 그리고 강경애의 집은 매우 가난했다고 한다. 그렇게 빈곤하고 불안정한 가족관계는 그녀의 작품들에 아주 큰 영향을 미쳤다. 우리가 저번에 본 「어머니와 딸」에서 나오는 예쁜이가 딸 옥이를 데리고 다른 사내와 살게 되었을 때 예쁜이와 옥이와 그 사내의 관계는 어쩌면 강경애의 어머니와 강경애 그리고 의붓아버지 최도감 이 세 사람의 불행한 가족 관계가 투영된 것인지도 모른다.
열 살이 지나서야 어머니의 애원과 간청으로 겨우 장연여자청년학교를 거처 장연소학교에 입학하여 공부를 했다(1915). 1921 형부의 도움으로 평양 숭의여학교에 입학했다. 그러나 역사 가난한 기숙사 생활이었다. 이런 그의 가난한 시절은 그녀의 작품 곳곳에서 볼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원고료 이백원」에서 주인공이 어린 시절을 회상하는 부분이 강경애의 어린 시절의 가난했던 추억을 투영한 것이라 한다.
또 강경애는 1923년 학생 맹휴 사건의 주동자였다. 그 당시 향학열이 민족적 각성에 다라 갑자기 양양되어 학급마다 교실이 좁아지고 학교마다 시설의 빈약과 교원의 낮은 인격적 수준은 피할 수가 없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이에 불만을 품고 있던 여학생들은 일본인 교원 배척, 무자격 교원 배척, 시설 충실 등을 요구조건으로 내세우고 동맹 휴학을 하게 된다. 이 사건에 강경애는 주동자로 나서고 학교에서 퇴학당한다. 이것은 후에 있을 그녀의 프롤레타리아적 성향의 소설을 암시하는 듯하다. 하지만 그녀가 진정으로 그런 식의 소설을 쓰게 된 데는 그녀의 남편인 장하일과의 결혼과 간도에서의 생활 때문이다.
강경애는 1931년 6월에서 이듬해 6월까지 간도에서 방랑생활을 했던 것 같고 이 시기에 그녀의 남편인 장하일을 만난 것 같다. 장하일은 사회주의 운동가로서 그녀에게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일단 그는 그녀의 소설을 최초로 읽는 독자였다. 여기서 장하일은 강경애의 소설을 ‘검열’했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레 사회주의자인 장하일의 영향을 안 받을 수가 없었던 것이다.
그리고 간도는 항일 투쟁의 중심지였다. 뿐만 아니라 간도에는 수많은 가난한 농민들이 이주해서 살던 곳이기도 하다. 그러다 보니 자연히 강경애는 이런 가난한 농민과 노동자와의 만남이 잦아지고 그녀가 쓰는 소설은 이런 사람들의 체험적 경험에서 나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소금」을 비롯한 「모자」,「번뇌」등은 모두 인물구성이 모두 만주 지방의 사회주의 운동가나 항일 유격대와 관련되어 있다.
1933년 9월경에 그들 부부는 다시 간도로 건너간다. 그곳에서 그녀는 장편소설 『인간문제』를 《동아일보》에 8월부터 12월까지 연재한다. 하지만 그 후 강경애는 혼란스럽던 사회적 분위기와 맞물려 그녀의 소설 역시 혼란스런 면을 보여주기 시작한다. 『인간문제』이후의 작품들인 「원고료 이백원」,「번뇌」,「동정」,「산남」 등은 모두 수필적 성향이 짙어 진다.
1939년에 병의 악화로 그들 부부는 황해도 장연으로 돌아온다. 그리고 1944년 4월에 그녀는 병이 악화되어 귀도 먹고 앞조차 보지 못하게 되어 한 달 전에 돌아가신 어머니를 부르면서 38세의 아까운 나이로 사망한다.
참고문헌
▷ 김나영(2005), 김유정 소설의 문체 연구, 경희대학교
▷ 공화순(2011), 박완서 소설연구 : 전쟁·세태·가족사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 남기홍(1994), 나도향 문학의 전기적 고찰, 인하대학교
▷ 박용규(2005), 황순원 소설의 개작과정 연구, 서울대학교
▷ 최영란(1986), 채만식 소설 연구 : 풍자적 특징과 그 변이양상을 중심으로, 대구교육대학교
▷ 황태묵(2011), 이호철 소설에 나타난 분단의식 변모양상 연구, 고려대학교
추천자료
소설가 채만식에 대해
1920년대 소설가 (염상섭, 나도향, 현진건, 최서해, 김동인, 채만식, 전영택)
소설가 백릉 채만식에 대해서
[소설가][소설가 황순원][소설가 김유정][소설가 조정래][소설가 이문열][소설가 이기영][채...
[소설가][소설가 강경애][소설가 황순원][소설가 김유정][소설가 박완서][소설가 채만식][이...
[소설가][소설가 박경리][소설가 박태원][소설가 김동리][소설가 채만식][소설가 이태준][김...
[소설가][황석영][이태준][채만식][홍석중][김동리][박경리][박태원][소설][문학]소설가 황석...
[소설가]소설가(소설작가) 조벽암, 손창섭, 소설가(소설작가) 이광수, 소설가(소설작가) 안함...
채만식의 연보, 채만식의 문학세계, 채만식과 희곡, 채만식과 풍자, 채만식의 소설 태평천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