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임금관리
Ⅰ. 임금이란 ?
Ⅱ. 임금관리란 ?
성과배분제 도입현황과 과제
1. 성과배분제 도입 현황
2. 성과배분제 운영 현황
3. 성과배분제의 효과 및 애로사항
4. 향후계획
연봉제 도입현황과 과제
1. 개요
2. 연봉제 도입 현황
3. 연봉제 운영 현황
4. 연봉제의 효과 및 애로사항
5. 향후계획
Ⅰ. 임금이란 ?
Ⅱ. 임금관리란 ?
성과배분제 도입현황과 과제
1. 성과배분제 도입 현황
2. 성과배분제 운영 현황
3. 성과배분제의 효과 및 애로사항
4. 향후계획
연봉제 도입현황과 과제
1. 개요
2. 연봉제 도입 현황
3. 연봉제 운영 현황
4. 연봉제의 효과 및 애로사항
5. 향후계획
본문내용
15
9.2
10.8
금융및보험업
137
73
47.5
53.3
부동산·임대및사업서비스업
360
188
46.6
52.2
교육서비스업
119
19
9.2
16.0
보건및사회복지업
299
102
27.3
34.1
기타공공사회및개인서비스업
134
53
29.2
39.6
오락,문화및운동관련서비스
80
27
-
33.8
유형별로는 공공부문이 78.4%로 민간부문 30.8%보다 2배이상 높고, 민간부문중에는 30대그룹이 66.9%로 기타 업체 30.0%보다 2배이상 높음
구 분
조사업체(개소)
도입업체(개소)
비율(%)
01년
02년
그룹구분
30대그룹사
305
204
62.0
66.9
기타
4,693
1,408
24.8
30.0
공공/민간
공공부문
148
116
72.4
78.4
민간부문
4,850
1,496
25.6
30.8
기업규모별로는 규모가 클수록 연봉제 도입 비율이 높음
- 5000인이상 사업장이 87.5%로 도입 비율이 가장 높고, 100∼299인 사업장은 26.0%로 가장 낮음
구 분
조사업체수
도입업체(개소)
비율(%)
01년
02년
100∼299인
3,594
934
21.9
26.0
300∼499인
616
276
33.8
44.8
500∼999인
440
189
37.3
43.0
1000∼4999인
316
185
51.5
58.5
5000인이상
32
28
71.8
87.5
3. 연봉제 운영 현황
□ 연봉제 실시 이유
생산성 향상(54.2%)이 주된 이유이며, 인력 또는 임금관리 용이성 및 우수인력 채용이 부차적인 이유임
구 분
생산성 향상
인력·임금관리용이
우수인력 채용
기 타
비율(%)
54.2
17.7
15.3
7.9
□ 연봉제 적용 인원비중
연봉제가 적용되는 인원비중은 전체인원의 50%이상 적용하고 있는 사업장이 35.1% 차지
- 생산직을 제외한 적용인원 비중이 50%이상인 사업장은 46.4%로 나타남
구 분
10%미만
10∼30%미만
30∼50%미만
50∼70%미만
70%이상
전체인원대비(%)
17.1
31.0
13.7
7.1
28.0
생산직제외시(%)
14.0
16.0
9.1
5.6
40.8
□ 연봉제 도입유형
연봉제 도입형태는 혼합형(46.7%)이 가장 많고, 미국식 순수성과급 형태(13.6%)는 상대적으로 적음
성과가급(%)
혼합형(%)
순수성과급(%)
연수형(%)
14.0
46.7
13.6
19.7
〈 연 봉 제 유 형 〉
구 분
기본급(기본연봉)
업적급(보너스)
성과가급(Merit Bonus)
직급·직능별 동일인상률 적용
비누적방식으로 개인별 지급
혼 합 형
현재의 기본급을 기준으로 업적에 따라 개인별 인상률 적용
비누적방식으로 개인별 지급
순수성과급(Merit Pay)
기본급·업적급 구분없이 전체에 대하여 개인별 인상률 적용
연 수 형
성과에 따른 개인별 차등없이 기존의 기본급, 수당, 상여금을 통합하여 단순화시킨 형태
※ 비누적방식 : 전년도의 지급액을 기준으로 하지 않고 업적에 따라 지급액의 전액이 변동될 수 있는 형태
연봉총액중 업적급(변동급) 비중은 30%미만이 78.6%로 대부분을 차지
구 분
10%미만
10∼30%미만
30∼50%미만
50%이상
변동급비중(%)
42.0
36.6
10.5
4.8
□ 연봉산정을 위한 평가
평가방식은 주로 절대평가와 상대평가를 혼용
구 분
절대평가
상대평가
절대평가+상대평가
비율(%)
15.0
21.1
61.5
평가기준은 업적평가를 주로 하고, 능력평가를 참고로 하는 사업장이 46.8% 가장 많음
구 분
비율(%)
업적만 평가
3.7
업적평가를 주로 하되, 능력평가를 참고로 활용
46.8
업적과 능력을 동일한 비중으로 평가
37.0
평가대상인 업적은 주로 개인업적과 집단업적을 함께 고려
구 분
비율(%)
개인업적만 적용
19.6
집단업적 적용
3.2
개인업적+집단업적 적용
74.0
평가방법은 취업규칙 등으로 정해져 있는 경우는 44.4%이고, 규정이 없는 경우는 27.3%임
구 분
비율(%)
사업주가 취업규칙으로 정하였음
22.3
노사협의를 거쳐 취업규칙으로 정하였음
22.1
노조와 단체교섭을 거쳐 합의
4.5
특별히 규정화되어있지 않음
27.3
직급별 업적평가에 의한 최상위자와 최하위자간의 차등폭은 각 직급 공히 20%미만인 경우가 가장 많음
구 분
10%미만(%)
10∼20%미만(%)
20∼40%미만(%)
40%이상(%)
이사급이상
29.2
25.9
10.2
5.1
부장·과장급
32.6
33.3
13.5
4.6
대리급이하
30.0
26.5
8.8
2.8
전 근로자에 대한 연봉총액은 업적평가 결과에 따라 총액이 늘어날 수 있는 플러스섬 방식이 56.5%임
- 연봉총액이 미리 정해지는 제로섬 방식의 경우는 경영실적에 따라 결정하는 비율이 57.3%로 가장 높음
구 분
비율(%)
플러스 섬 방식
56.5
제로 섬 방식
37.8
제로섬 방식으로
연봉총액을 정하는 경우 결정요소
경영실적(이익, 매출액 등)
57.3
노사협의 또는 노조와의 단체교섭
13.8
다른 회사의 임금수준
11.7
4. 연봉제의 효과 및 애로사항
연봉제의 긍정적 효과로서 직원들의 태도변화 와 임금관리효율성을 높게 평가한 반면, 인건비 절감효과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남
효 과
생산성 향상(%)
인건비 절감(%)
임금관리효율성(%)
직원 태도변화(%)
매우작다
1.6
7.9
3.3
1.2
작 다
3.8
17.4
5.8
5.1
보 통
52.6
59.6
37.5
39.3
크 다
32.6
7.4
41.0
43.8
매우크다
1.6
0.4
6.1
3.5
연봉제 실시에 따른 문제점은 평가에 대한 불신 이 45.0%로 가장 높음
구 분
직원간 과도한 경쟁
단기실적에 치중
평가에 대한 불신
고용불안 확산
비율(%)
6.1
19.7
45.0
10.7
연봉제를 실시하면서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점은 인사고과 제도(38.4%)임
구 분
법정수당 지급관련
연봉제 임금구성방법
목표관리제도
인사고과제도
비율(%)
11.2
16.4
26.1
38.4
5. 향후계획
적용대상 확대여부에 대해서는 현행유지가 52.5%로 가장 높고, 확대할 계획인 사업장도 38.6%로 나타남
구 분
확대할 계획
현재대로 유지할 것
축소할 계획
비율(%)
38.6
52.5
0.6
9.2
10.8
금융및보험업
137
73
47.5
53.3
부동산·임대및사업서비스업
360
188
46.6
52.2
교육서비스업
119
19
9.2
16.0
보건및사회복지업
299
102
27.3
34.1
기타공공사회및개인서비스업
134
53
29.2
39.6
오락,문화및운동관련서비스
80
27
-
33.8
유형별로는 공공부문이 78.4%로 민간부문 30.8%보다 2배이상 높고, 민간부문중에는 30대그룹이 66.9%로 기타 업체 30.0%보다 2배이상 높음
구 분
조사업체(개소)
도입업체(개소)
비율(%)
01년
02년
그룹구분
30대그룹사
305
204
62.0
66.9
기타
4,693
1,408
24.8
30.0
공공/민간
공공부문
148
116
72.4
78.4
민간부문
4,850
1,496
25.6
30.8
기업규모별로는 규모가 클수록 연봉제 도입 비율이 높음
- 5000인이상 사업장이 87.5%로 도입 비율이 가장 높고, 100∼299인 사업장은 26.0%로 가장 낮음
구 분
조사업체수
도입업체(개소)
비율(%)
01년
02년
100∼299인
3,594
934
21.9
26.0
300∼499인
616
276
33.8
44.8
500∼999인
440
189
37.3
43.0
1000∼4999인
316
185
51.5
58.5
5000인이상
32
28
71.8
87.5
3. 연봉제 운영 현황
□ 연봉제 실시 이유
생산성 향상(54.2%)이 주된 이유이며, 인력 또는 임금관리 용이성 및 우수인력 채용이 부차적인 이유임
구 분
생산성 향상
인력·임금관리용이
우수인력 채용
기 타
비율(%)
54.2
17.7
15.3
7.9
□ 연봉제 적용 인원비중
연봉제가 적용되는 인원비중은 전체인원의 50%이상 적용하고 있는 사업장이 35.1% 차지
- 생산직을 제외한 적용인원 비중이 50%이상인 사업장은 46.4%로 나타남
구 분
10%미만
10∼30%미만
30∼50%미만
50∼70%미만
70%이상
전체인원대비(%)
17.1
31.0
13.7
7.1
28.0
생산직제외시(%)
14.0
16.0
9.1
5.6
40.8
□ 연봉제 도입유형
연봉제 도입형태는 혼합형(46.7%)이 가장 많고, 미국식 순수성과급 형태(13.6%)는 상대적으로 적음
성과가급(%)
혼합형(%)
순수성과급(%)
연수형(%)
14.0
46.7
13.6
19.7
〈 연 봉 제 유 형 〉
구 분
기본급(기본연봉)
업적급(보너스)
성과가급(Merit Bonus)
직급·직능별 동일인상률 적용
비누적방식으로 개인별 지급
혼 합 형
현재의 기본급을 기준으로 업적에 따라 개인별 인상률 적용
비누적방식으로 개인별 지급
순수성과급(Merit Pay)
기본급·업적급 구분없이 전체에 대하여 개인별 인상률 적용
연 수 형
성과에 따른 개인별 차등없이 기존의 기본급, 수당, 상여금을 통합하여 단순화시킨 형태
※ 비누적방식 : 전년도의 지급액을 기준으로 하지 않고 업적에 따라 지급액의 전액이 변동될 수 있는 형태
연봉총액중 업적급(변동급) 비중은 30%미만이 78.6%로 대부분을 차지
구 분
10%미만
10∼30%미만
30∼50%미만
50%이상
변동급비중(%)
42.0
36.6
10.5
4.8
□ 연봉산정을 위한 평가
평가방식은 주로 절대평가와 상대평가를 혼용
구 분
절대평가
상대평가
절대평가+상대평가
비율(%)
15.0
21.1
61.5
평가기준은 업적평가를 주로 하고, 능력평가를 참고로 하는 사업장이 46.8% 가장 많음
구 분
비율(%)
업적만 평가
3.7
업적평가를 주로 하되, 능력평가를 참고로 활용
46.8
업적과 능력을 동일한 비중으로 평가
37.0
평가대상인 업적은 주로 개인업적과 집단업적을 함께 고려
구 분
비율(%)
개인업적만 적용
19.6
집단업적 적용
3.2
개인업적+집단업적 적용
74.0
평가방법은 취업규칙 등으로 정해져 있는 경우는 44.4%이고, 규정이 없는 경우는 27.3%임
구 분
비율(%)
사업주가 취업규칙으로 정하였음
22.3
노사협의를 거쳐 취업규칙으로 정하였음
22.1
노조와 단체교섭을 거쳐 합의
4.5
특별히 규정화되어있지 않음
27.3
직급별 업적평가에 의한 최상위자와 최하위자간의 차등폭은 각 직급 공히 20%미만인 경우가 가장 많음
구 분
10%미만(%)
10∼20%미만(%)
20∼40%미만(%)
40%이상(%)
이사급이상
29.2
25.9
10.2
5.1
부장·과장급
32.6
33.3
13.5
4.6
대리급이하
30.0
26.5
8.8
2.8
전 근로자에 대한 연봉총액은 업적평가 결과에 따라 총액이 늘어날 수 있는 플러스섬 방식이 56.5%임
- 연봉총액이 미리 정해지는 제로섬 방식의 경우는 경영실적에 따라 결정하는 비율이 57.3%로 가장 높음
구 분
비율(%)
플러스 섬 방식
56.5
제로 섬 방식
37.8
제로섬 방식으로
연봉총액을 정하는 경우 결정요소
경영실적(이익, 매출액 등)
57.3
노사협의 또는 노조와의 단체교섭
13.8
다른 회사의 임금수준
11.7
4. 연봉제의 효과 및 애로사항
연봉제의 긍정적 효과로서 직원들의 태도변화 와 임금관리효율성을 높게 평가한 반면, 인건비 절감효과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남
효 과
생산성 향상(%)
인건비 절감(%)
임금관리효율성(%)
직원 태도변화(%)
매우작다
1.6
7.9
3.3
1.2
작 다
3.8
17.4
5.8
5.1
보 통
52.6
59.6
37.5
39.3
크 다
32.6
7.4
41.0
43.8
매우크다
1.6
0.4
6.1
3.5
연봉제 실시에 따른 문제점은 평가에 대한 불신 이 45.0%로 가장 높음
구 분
직원간 과도한 경쟁
단기실적에 치중
평가에 대한 불신
고용불안 확산
비율(%)
6.1
19.7
45.0
10.7
연봉제를 실시하면서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점은 인사고과 제도(38.4%)임
구 분
법정수당 지급관련
연봉제 임금구성방법
목표관리제도
인사고과제도
비율(%)
11.2
16.4
26.1
38.4
5. 향후계획
적용대상 확대여부에 대해서는 현행유지가 52.5%로 가장 높고, 확대할 계획인 사업장도 38.6%로 나타남
구 분
확대할 계획
현재대로 유지할 것
축소할 계획
비율(%)
38.6
52.5
0.6
추천자료
비서직 종사자에 대한 연봉제 적용상의 문제점과 대응방안
연봉제의 특징과 운용 및 기대효과 문제점 성공관건
[연봉제][일본 연봉제 사례][동양제과 연봉제][LG의 연봉제]연봉제의 특징, 연봉제의 장단점,...
[연봉제][연봉제 사례][선진국][휴렛팩커드][HP][하나로통신][신세계백화점][P데이타]선진국 ...
[연봉제][연봉제 사례]연봉제의 배경, 연봉제의 기대효과, 연봉제의 도입효과, 연봉제의 요소...
[연봉제][선진국과 연봉제 비교]연봉제의 필요성, 연봉제의 배경, 연봉제의 장단점, 연봉제의...
[연봉제][연봉제도][미국 연봉제 사례]연봉제의 의미, 연봉제의 도입배경, 연봉제의 기본구조...
연봉제의 도입
[연봉제][연봉제설계][연봉제 장단점][연봉제설계 방향]연봉제의 개념, 연봉제의 조건, 연봉...
외국인 노동자와 한국사회, 입국과 취업, 직장, 사회 생활, 임금, 노동이동, 귀환, 송출국의 ...
여성 불평등의 정의, 원인, 사회적 불평등, 입사, 승진, 보육, 육아휴직, 임금, 해고, 변화, ...
한국_기업의_연봉제_도입사례
기업의 인사관리 - LG화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