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제한소의 개념과 범위
3. 연구 방법
4. 제한소의 기본 의미
5. 제한소의 의미 체계
6. 맺음말
2. 제한소의 개념과 범위
3. 연구 방법
4. 제한소의 기본 의미
5. 제한소의 의미 체계
6. 맺음말
본문내용
성모음]-----------: 회
| | +[#음성모음]-----------: 휘1
| +<약성>----------------------------------------: X
+<시간>+<정시>----------------------------------------: X
| +<전시>+[#+숙성]-------------------------------: 올
| | +[#-숙성]-------------------------------: 일
| +<후시>----------------------------------------: X
|<적부>+<적당>----------------------------------------: X
| +<부적당>+<숙성도>-----------------------------: 데1
| +<자신도>-----------------------------: 얼
| +<성실도>-----------------------------: 헛
+<증감>+<증가>+[#-의성의태]---------------------------: 덧
| +[#+의성의태]---------------------------: 우
+<감소>----------------------------------------: X
현대 국어의 제한소 의미 영역은 우선 <사태>와 <정도>로 구분되는데, 여기에 드는 제한소는 50:50의 비율을 보이고 있다. <사태>는 <동작>과 <상태>로 구분되는데, 여기에 드는 제한소는 14:6의 비율을 보이고 있다. <정도>는 <강약>과 <시간>과 <적부>와 <증감>으로 구분되는데, 여기에 드는 제한소는 12:2:3:2의 비율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내용을, 빈칸을 보이는 한도에서 그림으로 보이면 다음과 같다.
빈칸을 중심으로 기술할 때 <개폐>에서는 <개방>이 빈칸이고, <일방향>에서는 <상방향>만이 존재하고, <완급>에서는 <완만>이 빈칸이고, <수량>에서는 <전체>만이 존재하이고, <비교>에서는 <일치>가 빈칸이고, <색채>에서는 <하양>만이 존재하고, <질감>에서는 <양질>이 빈칸이고, <강약>에서는 <약성>이 빈칸이고, <시간>에서는 <전시>만이 존재하고, <적부>에서는 <적당>이 빈칸이고, <증감>에서는 <감소>가 빈칸이다.
(9) 제한소의 의미 영역별 비율
제한소 39
사태 20
동작 14
개폐 1
개방 0
폐쇄 1
방향 2
양방 1
일방 1
상방향 1
하방향 0
좌방향 0
우방향 0
완급 1
완만 0
시급 1
수량 2
개별 0
부분 0
전체 2
태도 6
회귀 2
상태 6
비교 3
일치 0
불일치 3
색채 2
빨강 0
노랑 0
파랑 0
하양 2
검정 0
질감 1
양질 0
조악 1
정도 19
강약 12
강성 12
저강성 8
고강성 4
약성 0
시간 2
정시 0
전시 2
후시 0
적부 3
적당 0
부적당 3
증감 2
증가 2
감소 0
(1997.8.30)
<참고문헌>
김민수(1981). 「국어의미론」. 서울: 일조각.
김민수(1982). 「국어문법론」. 서울: 일조각.
김민수 외(1991). 「금성판 국어대사전」. 서울: 금성출판사.
김응모(1989). 「국어평행이동 자동사 낱말밭」. 서울: 한신문화사
김응모(1993가). 「국어이동자동사 낱말밭(1)」(평행이동편). 서울: 서광학술자료사.
김응모(1993나). 「국어이동자동사 낱말밭(2)」(수직이동편). 서울: 서광학술자료사.
김응모(1995). 「한국어 종교 관혼상제 자동사 낱말밭」. 서울: 박이정.
김응모(1996). 「한국어 신체관련 자동사 낱말밭」. 서울: 박이정.
김응모(1997가). 「한국어 운동경기 동사 낱말밭」. 서울: 박이정.
김응모(1997나). 「한국어 구기경기 동사 낱말밭」. 서울: 박이정.
김일웅(1987). "월의 분류와 특징: 생성 과정과 관련하여." 「한글」 198.
남영신(1987). 「우리말 분류사전」. 서울: 한강문화사.
남영신(1988). 「우리말 분류사전」(풀이말편). 서울: 한강문화사.
남영신(1992). 「우리말 분류사전」(꾸밈씨 기타편). 서울: 한강문화사.
배해수(1990). 「국어내용연구: 성격 그림씨를 중심으로」. 서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배해수(1992). 「국어내용연구(2)」. 서울: 국학자료원.
배해수(1994). 「국어내용연구(3)」. 서울: 국학자료원.
사회과학원 언어학연구소(1992). 「조선말대사전」.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서정수(1989). "분석 체계와 종합적 설명법의 재검토: 국어 문법은 분석 체계로 기술되어야 한다." 「주시경학보」 4.
성광수(1988). "국어의 단어와 조어: 어휘구조와 어형성 규칙(1)." 「주시경학보」 1.
유재원(1985). 「우리말 역순사전」. 서울: 정음사.
이익환(1984). 「현대의미론」. 서울: 민음사.
장영천 역(1988). 「구조의미론과 낱말밭 이론」. 서울: 집현사.
정시호(1984). "계열적 어장이론 연구: 형성배경과 전개." 서울대 박사 논문.
조항범 역(1990). 「의미분석론: 성분분석의 이론과 실제」. 서울: 탑출판사.
주시경(1910). 「국어문법」. 경성: 박문서관. 김민수(1977). 「역대한국문법대계」(공편, 제1부제4책). 서울: 탑출판사.
최호철(1993가). "현대 국어 서술어의 의미 연구: 의소 설정을 중심으로." 고려대 박사 학위 논문.
최호철(1993나). "국어의 언어 단위에 대하여." 한국어학연구회 여름발표회 요지.
최호철(1994가). "현대 국어 규정소의 의미 체계." 「우리말 내용 연구」 1.
최호철(1994나). "현대 국어 가의소의 의미 분석(1): '-답다, -되다, -롭다, -스럽다'를 중심으로." 「한국어학」 1.
최호철(1995가). "의소(義素)와 이의(異義)에 대하여." 「국어학」 25.
최호철(1995나). "국어의 문법 단위와 문법 교육." 「어문론집」(고려대) 34.
최호철(1996). "어휘 의미론과 서술소의 의미 분석." 「한국어학」 4.
한글 학회(1992). 「우리말 큰사전」. 서울: 한글 학회.
허발(1981). 「낱말밭의 이론」.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허발 역(1985). 「구조의미론」.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 | +[#음성모음]-----------: 휘1
| +<약성>----------------------------------------: X
+<시간>+<정시>----------------------------------------: X
| +<전시>+[#+숙성]-------------------------------: 올
| | +[#-숙성]-------------------------------: 일
| +<후시>----------------------------------------: X
|<적부>+<적당>----------------------------------------: X
| +<부적당>+<숙성도>-----------------------------: 데1
| +<자신도>-----------------------------: 얼
| +<성실도>-----------------------------: 헛
+<증감>+<증가>+[#-의성의태]---------------------------: 덧
| +[#+의성의태]---------------------------: 우
+<감소>----------------------------------------: X
현대 국어의 제한소 의미 영역은 우선 <사태>와 <정도>로 구분되는데, 여기에 드는 제한소는 50:50의 비율을 보이고 있다. <사태>는 <동작>과 <상태>로 구분되는데, 여기에 드는 제한소는 14:6의 비율을 보이고 있다. <정도>는 <강약>과 <시간>과 <적부>와 <증감>으로 구분되는데, 여기에 드는 제한소는 12:2:3:2의 비율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내용을, 빈칸을 보이는 한도에서 그림으로 보이면 다음과 같다.
빈칸을 중심으로 기술할 때 <개폐>에서는 <개방>이 빈칸이고, <일방향>에서는 <상방향>만이 존재하고, <완급>에서는 <완만>이 빈칸이고, <수량>에서는 <전체>만이 존재하이고, <비교>에서는 <일치>가 빈칸이고, <색채>에서는 <하양>만이 존재하고, <질감>에서는 <양질>이 빈칸이고, <강약>에서는 <약성>이 빈칸이고, <시간>에서는 <전시>만이 존재하고, <적부>에서는 <적당>이 빈칸이고, <증감>에서는 <감소>가 빈칸이다.
(9) 제한소의 의미 영역별 비율
제한소 39
사태 20
동작 14
개폐 1
개방 0
폐쇄 1
방향 2
양방 1
일방 1
상방향 1
하방향 0
좌방향 0
우방향 0
완급 1
완만 0
시급 1
수량 2
개별 0
부분 0
전체 2
태도 6
회귀 2
상태 6
비교 3
일치 0
불일치 3
색채 2
빨강 0
노랑 0
파랑 0
하양 2
검정 0
질감 1
양질 0
조악 1
정도 19
강약 12
강성 12
저강성 8
고강성 4
약성 0
시간 2
정시 0
전시 2
후시 0
적부 3
적당 0
부적당 3
증감 2
증가 2
감소 0
(1997.8.30)
<참고문헌>
김민수(1981). 「국어의미론」. 서울: 일조각.
김민수(1982). 「국어문법론」. 서울: 일조각.
김민수 외(1991). 「금성판 국어대사전」. 서울: 금성출판사.
김응모(1989). 「국어평행이동 자동사 낱말밭」. 서울: 한신문화사
김응모(1993가). 「국어이동자동사 낱말밭(1)」(평행이동편). 서울: 서광학술자료사.
김응모(1993나). 「국어이동자동사 낱말밭(2)」(수직이동편). 서울: 서광학술자료사.
김응모(1995). 「한국어 종교 관혼상제 자동사 낱말밭」. 서울: 박이정.
김응모(1996). 「한국어 신체관련 자동사 낱말밭」. 서울: 박이정.
김응모(1997가). 「한국어 운동경기 동사 낱말밭」. 서울: 박이정.
김응모(1997나). 「한국어 구기경기 동사 낱말밭」. 서울: 박이정.
김일웅(1987). "월의 분류와 특징: 생성 과정과 관련하여." 「한글」 198.
남영신(1987). 「우리말 분류사전」. 서울: 한강문화사.
남영신(1988). 「우리말 분류사전」(풀이말편). 서울: 한강문화사.
남영신(1992). 「우리말 분류사전」(꾸밈씨 기타편). 서울: 한강문화사.
배해수(1990). 「국어내용연구: 성격 그림씨를 중심으로」. 서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배해수(1992). 「국어내용연구(2)」. 서울: 국학자료원.
배해수(1994). 「국어내용연구(3)」. 서울: 국학자료원.
사회과학원 언어학연구소(1992). 「조선말대사전」.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서정수(1989). "분석 체계와 종합적 설명법의 재검토: 국어 문법은 분석 체계로 기술되어야 한다." 「주시경학보」 4.
성광수(1988). "국어의 단어와 조어: 어휘구조와 어형성 규칙(1)." 「주시경학보」 1.
유재원(1985). 「우리말 역순사전」. 서울: 정음사.
이익환(1984). 「현대의미론」. 서울: 민음사.
장영천 역(1988). 「구조의미론과 낱말밭 이론」. 서울: 집현사.
정시호(1984). "계열적 어장이론 연구: 형성배경과 전개." 서울대 박사 논문.
조항범 역(1990). 「의미분석론: 성분분석의 이론과 실제」. 서울: 탑출판사.
주시경(1910). 「국어문법」. 경성: 박문서관. 김민수(1977). 「역대한국문법대계」(공편, 제1부제4책). 서울: 탑출판사.
최호철(1993가). "현대 국어 서술어의 의미 연구: 의소 설정을 중심으로." 고려대 박사 학위 논문.
최호철(1993나). "국어의 언어 단위에 대하여." 한국어학연구회 여름발표회 요지.
최호철(1994가). "현대 국어 규정소의 의미 체계." 「우리말 내용 연구」 1.
최호철(1994나). "현대 국어 가의소의 의미 분석(1): '-답다, -되다, -롭다, -스럽다'를 중심으로." 「한국어학」 1.
최호철(1995가). "의소(義素)와 이의(異義)에 대하여." 「국어학」 25.
최호철(1995나). "국어의 문법 단위와 문법 교육." 「어문론집」(고려대) 34.
최호철(1996). "어휘 의미론과 서술소의 의미 분석." 「한국어학」 4.
한글 학회(1992). 「우리말 큰사전」. 서울: 한글 학회.
허발(1981). 「낱말밭의 이론」.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허발 역(1985). 「구조의미론」.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추천자료
- 종속접속문과 부사화내포문/국어 종속접속의 통사적 지위 두 논문의 비교 분석
- ‘접속어미’ 관련 논문을 통해 살펴본 구조의미론의 국어교육학적 의의
- 중세국어문법(조사)
- [국어 파생][국어 파생법][국어 파생어][파생][파생법][파생어][국어]국어 파생의 유형, 국어...
- [명사구][품사]국어 품사 명사구의 유형, 국어 품사 명사구의 구조, 국어 품사 수량명사구, ...
- [형용사][품사][국어][영어][일본어][독일어]국어 품사 형용사의 정의, 국어 품사 형용사의 ...
- [국어 어미][모음조화][의문어미][약속어미][연결어미][명령어미][부사형어미]국어 어미의 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