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며
Ⅰ. 가족에 대한 논의
Ⅱ. 상업에 대한 논의
Ⅲ. 플라톤의 유토피아 비판
Ⅴ. 정치 체제
Ⅵ. 혁명
Ⅶ. 국가에 대한 견해
맺으며
Ⅰ. 가족에 대한 논의
Ⅱ. 상업에 대한 논의
Ⅲ. 플라톤의 유토피아 비판
Ⅴ. 정치 체제
Ⅵ. 혁명
Ⅶ. 국가에 대한 견해
맺으며
본문내용
육은 육체에서 시작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나 육체는 영혼을 위해 훈련되어야 하며, 욕구는 이성을 위해 훈련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교육이란 도덕 교육이다. 도덕 교육에 대한 강조는 어린이들의 교육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아동들은 그림을 그리는 법을 배워야 하며, 그 목적은 아름다움을 감상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그들은 도덕적인 이상을 표현하는 그림이나 조각을 감상(鑑賞)하는 법도 배워야 한다. 또 노래나 악기를 연주하는 법을 배울지도 모르지만 그것은 음악을 비판적으로 들을 수 있을 정도로 배워야 할 것이며, 결코 기술적인 연주가가 되기까지 배워서는 안된다.
맺으며...
지금까지 살펴보면 아리스토텔레스가 마치 사람들을 국가라는 거대한 기계속의 톱니바퀴가 되도록 교육시키기를 원하는 것처럼 보일지 모르나, 사실 그가 보기엔 국가의 목표와 개인의 목표는 일치한다. 한 시민 개개인이 선하고 그들이 각기 적당한 자신들의 목표를 이룰 때, 국가가 번성한다는 의미에서 일치하는 것이다. 국가의 안정과 번영여ㅔ 대한 유일하고 실제적인 보장은 시민들의 도덕선 선(善)과 성실성이며, 거꾸로 국가가 선하지 못하고 또 국가의 교육제도가 합리적이고 도덕적이며 건전하지 못하면 그 시민들은 선하게 될 수 없을 것이다.
■ 참고문헌 ■
코플스톤 저, 김보편 옮김, 그리스 로마 철학사, 철학과 현실사, 1998
버틀란트 러셀 저, 최민홍 역, 서양철학사, 집문당
D. J 앨런 저, 장영란 옮김,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이해, 고려원
양참삼 저,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철학, 대영사
스터얼링 P. 램프레히트 저, 서양철학사, 을유문화사
맺으며...
지금까지 살펴보면 아리스토텔레스가 마치 사람들을 국가라는 거대한 기계속의 톱니바퀴가 되도록 교육시키기를 원하는 것처럼 보일지 모르나, 사실 그가 보기엔 국가의 목표와 개인의 목표는 일치한다. 한 시민 개개인이 선하고 그들이 각기 적당한 자신들의 목표를 이룰 때, 국가가 번성한다는 의미에서 일치하는 것이다. 국가의 안정과 번영여ㅔ 대한 유일하고 실제적인 보장은 시민들의 도덕선 선(善)과 성실성이며, 거꾸로 국가가 선하지 못하고 또 국가의 교육제도가 합리적이고 도덕적이며 건전하지 못하면 그 시민들은 선하게 될 수 없을 것이다.
■ 참고문헌 ■
코플스톤 저, 김보편 옮김, 그리스 로마 철학사, 철학과 현실사, 1998
버틀란트 러셀 저, 최민홍 역, 서양철학사, 집문당
D. J 앨런 저, 장영란 옮김,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이해, 고려원
양참삼 저,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철학, 대영사
스터얼링 P. 램프레히트 저, 서양철학사, 을유문화사
추천자료
철학자의 사상과 생애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과 생애)
플라톤의 생애와 플라톤의 국가론에 대한 서평
역사적 위인에 관한 고찰(아리스토텔레스 레오나르도 다빈치 뉴턴 괴테 슈브륄)
신플라톤주의의 역사
하룻밤의 지식여행 - 아리스토텔레스를 읽고
도덕교육 - 아직도 우리는 아리스토텔레스를 기억해야 한다.
연극 미학(아리스토텔레스 시학 및 노와 가부키)
아우구스티누스의 철학(플라톤적 관점, 조명성, 일자설, 신플라톤 학파, 인식론, 윤리설)
[필독도서][독후감][독서감상문]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읽고
[정치학] 아리스토텔레스 독서보고서
플라톤의_인간관완성
[정치철학]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 요액과 논평
POLITIKA BY ARISTOTELES -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마키아벨리,홉스,헤겔,마르크스,고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