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정지용
2.박필양
3.임화
4.김기림
2.박필양
3.임화
4.김기림
본문내용
덕…털크덕…털크덕…털크덕…\' 과 같은 활자적 심상 표현은 연을 더 할수록 속도를 더하며 점점 반복되어 보는 이의 뇌리에 \'들들들들\'거리며 각인 된다. 이것들이 차지하는 의미소(意味素)들과는 관계없이114) 우선 큰 활자로 일별 되는 \'爬蟲類動物\'과 \'…털 그 덕 털 그 덕…\'이라는 두 개의 핵심요소 곧, 한자적(漢字的) 그림 이미지와 소리 이미지만으로도 독자는 이미 그의 활자 표현의 덫에 묶이고 만다. <슬픈 인상화>[그림28]에서 \'포풀아- 늘어슨 큰 길\'에 전등이 이어 매달린 모습을 \'電\'자와 \'燈\'자 사이를 전깃줄처럼 선으로 연결시켜 그 이미지를 시각화시킨 것은 이러한 시도로는 최초일 것이다. 또한 \'築港의 汽笛소리 ●●● 汽笛소리 ●●●\'의 둔탁하고 어두운 汽船의 기적 소리를 묘사한 검은 땡땡이는 \"
추천자료
1940년대 좌우 합작운동
1930년대 한국 현대 문학사
70년대 석유파동과 일본경제
1940년대 해방기 소설의 특징
1930년대 모더니즘 문학의 근대성 1
1930년대 모더니즘 문학의 근대성 2
1930년대 경제대공황
1980년대 후반 노동해방 운동과 민주노총의 출범사
1900-1960년대 서양의 헤어스타일 및 모자 완벽 정리
1930년대 재일조선인 아나키스트들의 활동과 이념 논문 요약
1910년대 창작 단편소설의 문학사적 의의 안국선의 공진회 현상윤의 소설 등을 중심으로
1930년대 한국 현대시의 모더니즘과 정지용
1930년대 순수서정시 운동의 시대적 의미
1930년대 소설- 빈곤과 무기력함의 표현 [박태원 소설과 김유정 소설을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