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권근(權近,호는 양촌, 1352∼1409)
2. 이 황(李滉:퇴계, 1501∼1572)
3. 이이(李珥: 栗谷, 1536∼1548)
2. 이 황(李滉:퇴계, 1501∼1572)
3. 이이(李珥: 栗谷, 1536∼1548)
본문내용
관한 규정이다.
(4) 격몽요결(擊蒙要訣) : 일반 학도를 위하여 저술한 것으로 내용상 학교모범과 비슷한 점이 많고 10장중 제 1장을 입지로서 특히 강조한다.
(5) 성학집요(聖學輯要) : 제왕의 학을 위한 저술로, 교학의 성패는 군주의 자질여하에 달려있고 교육 성공의 첩경은 제왕학에 있음을 밝히고 있다. (화왕계: 설총, 성학십도 : 이황에 해당)
(4) 격몽요결(擊蒙要訣) : 일반 학도를 위하여 저술한 것으로 내용상 학교모범과 비슷한 점이 많고 10장중 제 1장을 입지로서 특히 강조한다.
(5) 성학집요(聖學輯要) : 제왕의 학을 위한 저술로, 교학의 성패는 군주의 자질여하에 달려있고 교육 성공의 첩경은 제왕학에 있음을 밝히고 있다. (화왕계: 설총, 성학십도 : 이황에 해당)
추천자료
[교육의 역사] 조선시대의 교육
조선시대 및 일제강점기의 교육사회
조선 성리학 교육사상의 전개(퇴계이황과 율곡이이)
19세기 서양의 교육사상(교육사조)과 사상가들
서당을 중심으로 본 조선 중후기의 아동교육
고려와 조선의 교육
조선 성리학 교육사상(교육철학) 권근과 이황, 조선 성리학 교육사상(교육철학) 이이, 조선 ...
조선시대 교육기관을 찾아서
조선 전기 후기의 교육상황, 교육정책, 교육문화
조선시대의 교육(조선시대의 교육, 교육, 학교제도, 학규, 사학, 조선시대, 조선의 교화정책,...
조선시대부터 오늘날까지의 교육
교육제도 - 시대별 교육제도의 특징과 지향해야 할 바람직한 교육제도 ( 삼국~고려~조선시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