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사 기출 문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회사 기출 문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수 없을 정도였다
② 사상
㉠ 보수적 입장에서 아벨라르의 자유사상을 배격하였다
㉡ 고난 당하신 그리스도를 사모하였다
㉢ 에 대한 사랑의 분류
ⓐ 사람은 자아를 위해 자아를 사랑하고
ⓑ 자아를 위해 신을 사랑하고
ⓒ 자아를 위해 신의 도움을 구하고
ⓓ 신의 사랑을 체험하면 신을 위해 신을 사랑하고
ⓔ 신을 위해 자아를 사랑하는 자리에 이른다
③ 시토 교단
㉠ 베르나르두스의 정신을 계승
㉡ 황무지를 재건 농업에 종사하고, 이교도 전도에 역점을 두고, 기독교
문화 전파에 많은 공헌을 하였다
63) 탁발교단(Mendicant Orders)에 대하여 논하라
① 발단원인
㉠ 교황과 감독등이 부와 권세를 얻고 사원에서 안일하게 지냄
㉡ 예배의식만 중히 여기고 설교를 가볍게 여겼고 백성들을 멀리함
㉢ 수도사들은 청백한 일만 힘쓰고 전도와 구령 사업을 등화시했다
② 의의와 유래
청빈생활을 서약하고 구걸로 생계를 이어가는 수도단으로 그 유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320년 이집트 남방에서 허미트(Hermit) 수도원을 창설
㉡ 528년 베네딕투스(Benedict) 수도원을 설립(유자녀 교육)
㉢ 1115년 베르나르두스(Bernard)가 클래르보 수도원을 창설
㉣ 1209년 프란체스코(francesco)교단 설립
㉤ 1215년 도미니코(Dominicou)교단 설립
③ 교단
㉠ 시토교단(1098년)감독에게 복종하는 것은 조건부로 시토가 창설
㉡ 가르멜산(Order of Carmtitis)교단 - 십자군 때 이탈리아 잔류병들이
모여서 이룩된 교단
㉢ 부라몬 교단(1121설립, 엄격한 금욕주의 교단)
㉣ 아우구스티누스교단(13세기, 이탈리아 은둔사들로 조직)
㉤ 프란체스코 교단 및 도미니크교단(교황이 탁발 교단으로 인정)
④ 중심인물
㉠ 프란체스코(Francesco, 1182∼1226)
㉮ 이탈리아 앗시시(Assisi) 出生
㉯ 3인조 전도대(소형 제단)을 조직하여 각처에 파송함
㉰ 교단 운영(교황 인노센트 3세의 인가받음, 교단원은 1221년에 3천명이 었으며 귀족, 학자, 부호들이 많이 입단함)
⑤ 영향
㉠ 민중의 벗이 됨 - 당시 보통 수도사들은 일반이 모르는 언어를
사용했으나 이들은 민중들을 도와주고 그들의 고백을 듣고 설교함
㉡ 대학세력의 확장 - 많은 대학 교수들이 참가함
㉢ 학제베출 - 13세기의 학자들은 거의 이교단에서 베출됨
64) 중세의 예배와 생활을 설명하라
① 예배
예배 용어는 라틴어가 사용되었으며 일반 교인은 설교를 듣고 감동을
받는것이 아니라 예배를<보는>것으로 만족해야함
② 예전(Sacraments)(한국 R.C,C용어로 설교)
1439년 피렌체(Florence)회의에서 7대 성 예전을 공인
㉠ 성세 - 몸에 술을 뿌리거나 침례로 입교를 증거하는 의식
㉡ 견진(Confirmation) - 세례자에게 신앙견고를 위한 성령을 얻게하는
기름 붓는 의식
㉢ 성체 - 12C경 롬바르투스(1110∼1161)에 의한 형식, 화체설을 토대로한 의식
㉣ 고해 - 죄를 신부께 참회고백, 신부로부터 면죄 받는 예식
㉤ 혼배 - 교회법이 합법으로 인정하는 결혼을 예전으로 신성시함
㉥ 종부(終傅, Extreme Unction) - 임종시 병사자에게 기름을 바르는 의식, 신교에는 없음
㉦ 신품(Ordination) - 영혼에 인호를 쳐서 임직을 임명하는 예전
③ 생활
㉠ 숭배 - 께는 예배, Ⅸ께는 숭배, 성모마리아제는 최고숭배
㉡ 공덕 - 선행으로 죄사함을 받는다고 믿었다
㉢ 미사(Mass) - 세상 사람과 연옥의 사람을 위해 께 제사드리는 의식
ⓐ 대미사 - 향 피우고 음악 연주, 주일과 축제일에 거행
ⓑ 소미사 - 음악없이 사죄의 미사로 신부가 거행
ⓒ 장례미사 - 죽은자 위해 제사드리는 의식
㉣ 찬송가 - 중세의 장엄한 찬송은 그들의 생활화가 됨
65) 大學의 설립에 대하여 써라
① 대학설립
㉠ 기원 - 수도원이 발전되고 많은 학생이 모여옴
㉡ 설립된 대학 - 볼로냐(Bologna) - 이탈리아 1158년 (법학)
파리(Paris) - 프랑스 1186년 (신학)
옥스퍼드(Oxford) - 영국 1200년 (신학)
살레르노(Salerno) - 이탈리아 1200년 (의학)
㉢ 조직과 내용
ⓐ 예과 - 음악, 논리학, 수학 등
ⓑ 불과 - 신과, 법과, 의과
ⓒ 라틴어로 강의와 별론함
㉣ 특권
ⓐ 국가나 교회가 간섭하지 않음
ⓑ 교수나 학생의 자치 단체로 발전
② 代表的 학자들
㉠ 알렉산더(Alexander of Hales, 1185∼1245)
ⓐ 프란체스코파 단원, 신학자(영국인)
ⓑ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입장에서 신학을 연구하고 교수함
<실재론>파리에서 교육
ⓒ 저서 - <신학 요의>
㉡ 보라벤투라(Gohn Bonaventura, 1221∼1274)
ⓐ 알렉산더의 제자
ⓑ 프란체스코 교단 단원
ⓒ 신비주의자, 고행주의자
㉢ 알베르투스 마그누스(Albertus Magnus, 1193∼1280)
ⓐ 독일의 신비주의자, 도미닉 단원
ⓑ 아리스토텔레스 철학과 신비주의의 조화를 위해 노력함
ⓒ 킬른(Koln)에서 18년간 교수, 87세로 죽음
㉣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 1227∼1274)
ⓐ 이탈리아 나폴리 아키노 백작의 아들이며 도미티크 단원 파리대학
출신으로서 마그누스에게 사신
ⓑ 1272년 교황 율반 2세의 초빙으로 나폴리(Napoli)대학의 교수가
되었다가 1274년에 죽음
ⓒ 저서(신학총론) (Summa Totus Theologia)
㉮ 이 책은 중, 고대 기독교 사상을 집합하여 체계화 한 것임
㉯ 카톨릭 신학의 표준이 되는 신학서
㉰ 근래 사상 부흥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함
㉤ 둔스 스코투스(John Duns Scotus, 1255∼1308)
ⓐ 생애
㉮ 프란체스코 단원 ㉯ 옥스퍼드, 파리, 쾰른대학 교수역임
㉰ 독일 쾰른 수도원장 ㉱ 아퀴나스 반대로 유명
ⓑ 사상
㉮ 의 명령은 언제나 선하다 ㉯ 의 닻은 의 닻인 고로 선하다
㉰ 의 계시에 의해 깨달을 수 있다
㉱ 은혜는 성예전으로 오는 것이 아니오 께서 합당히 보셔야 한다
㉲ 무염 시태설 (無染 始胎說)주장 - 원죄와 무관
㉥ 윌리엄 옥칼(William Occam, 1280∼1348)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116페이지
  • 등록일2002.10.04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51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