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Pavlov 의 고전적 조건화
2.Guthrie 의 조건화 모형은
3.Skinner 의 조작적 조건화
4.Thorndike 의 시행착오설
5. Hull 의 체계적 행동설
6. Bandura 의 관찰학습이론
7. 행동주의 학습이론의 평가 및 교육적 시사점
2.Guthrie 의 조건화 모형은
3.Skinner 의 조작적 조건화
4.Thorndike 의 시행착오설
5. Hull 의 체계적 행동설
6. Bandura 의 관찰학습이론
7. 행동주의 학습이론의 평가 및 교육적 시사점
본문내용
의 과정은 주의과정, 파지과정, 운동재생과정, 동기화 과정으로 구성된다.
(1)주의과정: 노출된 모델을 선택적으로 관찰하고, 주목할 내용을 결정하는 과정
(2)파지과정: 관찰한 내용을 파지 하는 과정. 파지는 주로 심상과 언어라는 표상체제에 의존 한다.
(3)운동재생과정: 상징적 표상을 적절한 행위로 변화시키는 과정.
(4)동기유발과정: 동기를 유발시키는 과정.
7. 행동주의 학습이론의 평가 및 교육적 시사점
행동주의 심리학 이론은 1960년 이후 쇠퇴하고, 인지 심리학 이론이 관심을 받고 있다. 행동주의 학습이론 중 행동수정, 행동조성의 기본원리로 강화라는 개념이 현재까지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강화원리를 기초로 하여 프로그램수업이나 교수기계 등이 고안되었으며, 그 결과 교수공학측면의 발전에 공헌하였다.
(1)주의과정: 노출된 모델을 선택적으로 관찰하고, 주목할 내용을 결정하는 과정
(2)파지과정: 관찰한 내용을 파지 하는 과정. 파지는 주로 심상과 언어라는 표상체제에 의존 한다.
(3)운동재생과정: 상징적 표상을 적절한 행위로 변화시키는 과정.
(4)동기유발과정: 동기를 유발시키는 과정.
7. 행동주의 학습이론의 평가 및 교육적 시사점
행동주의 심리학 이론은 1960년 이후 쇠퇴하고, 인지 심리학 이론이 관심을 받고 있다. 행동주의 학습이론 중 행동수정, 행동조성의 기본원리로 강화라는 개념이 현재까지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강화원리를 기초로 하여 프로그램수업이나 교수기계 등이 고안되었으며, 그 결과 교수공학측면의 발전에 공헌하였다.
추천자료
행동주의 학습이론 개념
행동주의적 학습이론들을 비교 설명
행동주의적 학습이론들(파블로프, 손다이크, 스키너)을 비교, 설명하시오.
행동주의적 학습이론들(파블로프, 손다이크, 스키너)을 비교, 설명하시오
행동주의 학습이론[교육학]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행동주의 학습이론
행동주의 학습이론
[보건교육론] 행동주의 학습이론
[유아교육학] 행동주의 학습이론
행동주의 학습이론의 발달
행동주의 학습이론 (고전적 조건화(classical conditioning))
행동주의 학습이론에 대해
행동주의 학습이론의 원리
[유아교육학자] about 스키너(F. Skinner) - 스키너의 생애, 스키너의 행동주의적 학습이론,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