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
II. 주5일 근무제를 둘러싼 논쟁
III. 근로시간 단축을 동반한 주5일 근무제의 영향
IV. 근로시간 단축을 둘러싼 노사간의 쟁점
■ 노사간의 쟁점과 논의의 진전과정
■ 근로시간 단축과 관련된 근로기준법 개정안 요약
V. 법제도의 개정이 없는 자율적인 주5일 근무제의 도입
VI. 향후 방향
<표 1> 근로시간 단축 전후의 연간 실질 GDP성장률 평균
<표 2> 근로시간 단축 전후의 연간 제조업성장률 평균
<표 3> 근로시간 단축 전후의 연간 서비스업성장률 평균
<표 4> 근로시간 단축 전후의 연간 근로시간 평균
<표 5> 근로시간 단축 전후의 연간 실업률 평균
<표 6> 근로시간 단축 전후의 연간 물가ㆍ소비자가격 상승률 평균
<표 7> 근로시간 단축 전후의 연간 임금상승률 평균
<표 8> 근로시간 단축 전후의 연간 산업생산 평균
참고문헌
II. 주5일 근무제를 둘러싼 논쟁
III. 근로시간 단축을 동반한 주5일 근무제의 영향
IV. 근로시간 단축을 둘러싼 노사간의 쟁점
■ 노사간의 쟁점과 논의의 진전과정
■ 근로시간 단축과 관련된 근로기준법 개정안 요약
V. 법제도의 개정이 없는 자율적인 주5일 근무제의 도입
VI. 향후 방향
<표 1> 근로시간 단축 전후의 연간 실질 GDP성장률 평균
<표 2> 근로시간 단축 전후의 연간 제조업성장률 평균
<표 3> 근로시간 단축 전후의 연간 서비스업성장률 평균
<표 4> 근로시간 단축 전후의 연간 근로시간 평균
<표 5> 근로시간 단축 전후의 연간 실업률 평균
<표 6> 근로시간 단축 전후의 연간 물가ㆍ소비자가격 상승률 평균
<표 7> 근로시간 단축 전후의 연간 임금상승률 평균
<표 8> 근로시간 단축 전후의 연간 산업생산 평균
참고문헌
본문내용
00-2001
2075
2052
2025
이탈리아
1994-1997
1997-1998
1998-2001
2054
2049
2046
스페인
1991-1994
1994-1995
1995-1999
1916
1908
1901
일본
1983-1988
1988-1994
1994-1999
1999-2001
2408
2320
2221
2220
주: 각 연도별 기간에 대한 평균치, 1995년 불변가격 기준
자료: ILO, Year Book of Labour Statistics, 1993, 2001.
<표 5> 근로시간 단축 전후의 연간 실업률 평균
근로시간 단축 이전
근로시간 단축기간
근로시간 단축 이후
포르투갈
1992-1996
1996-1997
1997-2001
6.24
6.8
4.4
프랑스
1995-1997
1998-2000
2000-2001
12.00
10.90
8.80
이탈리아
1994-1997
1997-1998
1998-2001
11.93
11.80
10.60
스페인
1991-1994
1994-1995
1995-1999
20.43
22.90
19.43
일본
1983-1988
1988-1994
1994-1999
1999-2001
2.66
2.35
3.76
4.70
주: 각 연도별 기간에 대한 평균치, 1995년 불변가격 기준
자료: IMF, International Financial Statistics Yearbook, 2001.
OECD, Oecd Employment Outlook
OECD, Main Economic Indicators
<표 6> 근로시간 단축 전후의 연간 물가ㆍ소비자가격 상승률 평균
근로시간 단축 이전
근로시간 단축기간
근로시간 단축 이후
포르투갈
1992-1996
1996-1997
1997-2001
-
3.1
2.54
프랑스
1995-1997
1998-2000
2000-2001
1.59
0.99
1.70
이탈리아
1994-1997
1997-1998
1998-2001
3.76
1.98
1.40
스페인
1991-1994
1994-1995
1995-1999
5.04
4.71
2.41
일본
1983-1988
1988-1994
1994-1999
1999-2001
1.01
2.04
0.42
-0.7
주: 각 연도별 기간에 대한 평균치, 1995년 불변가격 기준
자료: IMF, International Financial Statistics Yearbook, 2001.
<표 7> 근로시간 단축 전후의 연간 임금상승률 평균
근로시간 단축 이전
근로시간 단축기간
근로시간 단축 이후
프랑스
1995-1997
1998-2000
2000-2001
2.32
3.18
4.50
이탈리아
1994-1997
1997-1998
1998-2001
3.29
2.81
2.16
스페인
1991-1994
1994-1995
1995-1999
6.32
4.82
4.69
일본
1983-1988
1988-1994
1994-1999
1999-2001
2.42
2.79
1.14
1.0
주: 각 연도별 기간에 대한 평균치, 1995년 불변가격 기준
자료: IMF, International Financial Statistics Yearbook, 2001.
<표 8> 근로시간 단축 전후의 연간 산업생산 평균
근로시간 단축 이전
근로시간 단축기간
근로시간 단축 이후
프랑스
1995-1997
1998-2000
2000-2001
2.09
3.50
3.20
이탈리아
1994-1997
1997-1998
1998-2001
2.60
1.86
1.87
스페인
1991-1994
1994-1995
1995-1999
-0.11
4.71
3.07
일본
1983-1988
1988-1994
1994-1999
1999-2001
5.23
0.28
0.78
6.3
주: 각 연도별 기간에 대한 평균치, 1995년 불변가격 기준
자료: IMF, International Financial Statistics Yearbook, 2001.
참고문헌
LG경제연구원(2000), 「근로시간 단축의 영향과 기업에의 시사점」, LG경제연구원.
김환일(2000), 『근로시간 단축의 이해와 과제』, 한국경영자총협회.
남성일(2001), 「법정근로시간 단축의 거시경제 효과 분석」, 동계학술세미나 발표논문, 한국노동경제학회.
삼성경제연구원(2001), 「주5일 근무 실시의 전제조건」, 삼성경제연구원.
안주엽·이규용(2001), 「법정근로시간 단축의 노동시장 효과- 제조업을 중심으로」, 『분기별 노동동향분석』, 제14권 제1호, 한국노동연구원.
이승길·고진수·윤종만(1997), 『신근로시간관리제도』, 중앙경제사.
일본 경제기획청, 「국민경제계산연보」, 2001.
한국관광연구원(2001), 「주5일 근무제 도입에 따른 관광정책 대응방향」, 한국관광연구원.
한국노동연구원(2000), 「근로시간 단축이 국민경제와 사회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노동연구원(2001), 「근로시간 단축 및 휴가ㆍ휴일제도 개선에 따른 비용ㆍ편익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노동부, 『매월노동통계조사보고서』, 각호.
노동부, 「임금구조기본통계조사」, 2000년 원자료.
노동부(2001), 『근로시간·휴일·휴가제도 실태조사』, 노동부.
Contensou, F. & Vranceanu, R.(2000), Working Time: Theory and Policy Implications, Edward Elgar.
Ehrenberg, R. G. & Smith, R. G.(1994), Modern Labor Ecomomics: Theory and Public Policy, Harper Collins.
Hart, R. A.(1987), Working Time and Employment, Allen and Unwin.
ILO, Year Book of Labour Statistics, 1993, 2001.
IMF, International Financial Statistics Yearbook, 2001.
OECD, Main Economic Indicators, 각호.
----, Oecd Employment Outlook, 각호.
----, Quarterly National Accounts, 각호.
2075
2052
2025
이탈리아
1994-1997
1997-1998
1998-2001
2054
2049
2046
스페인
1991-1994
1994-1995
1995-1999
1916
1908
1901
일본
1983-1988
1988-1994
1994-1999
1999-2001
2408
2320
2221
2220
주: 각 연도별 기간에 대한 평균치, 1995년 불변가격 기준
자료: ILO, Year Book of Labour Statistics, 1993, 2001.
<표 5> 근로시간 단축 전후의 연간 실업률 평균
근로시간 단축 이전
근로시간 단축기간
근로시간 단축 이후
포르투갈
1992-1996
1996-1997
1997-2001
6.24
6.8
4.4
프랑스
1995-1997
1998-2000
2000-2001
12.00
10.90
8.80
이탈리아
1994-1997
1997-1998
1998-2001
11.93
11.80
10.60
스페인
1991-1994
1994-1995
1995-1999
20.43
22.90
19.43
일본
1983-1988
1988-1994
1994-1999
1999-2001
2.66
2.35
3.76
4.70
주: 각 연도별 기간에 대한 평균치, 1995년 불변가격 기준
자료: IMF, International Financial Statistics Yearbook, 2001.
OECD, Oecd Employment Outlook
OECD, Main Economic Indicators
<표 6> 근로시간 단축 전후의 연간 물가ㆍ소비자가격 상승률 평균
근로시간 단축 이전
근로시간 단축기간
근로시간 단축 이후
포르투갈
1992-1996
1996-1997
1997-2001
-
3.1
2.54
프랑스
1995-1997
1998-2000
2000-2001
1.59
0.99
1.70
이탈리아
1994-1997
1997-1998
1998-2001
3.76
1.98
1.40
스페인
1991-1994
1994-1995
1995-1999
5.04
4.71
2.41
일본
1983-1988
1988-1994
1994-1999
1999-2001
1.01
2.04
0.42
-0.7
주: 각 연도별 기간에 대한 평균치, 1995년 불변가격 기준
자료: IMF, International Financial Statistics Yearbook, 2001.
<표 7> 근로시간 단축 전후의 연간 임금상승률 평균
근로시간 단축 이전
근로시간 단축기간
근로시간 단축 이후
프랑스
1995-1997
1998-2000
2000-2001
2.32
3.18
4.50
이탈리아
1994-1997
1997-1998
1998-2001
3.29
2.81
2.16
스페인
1991-1994
1994-1995
1995-1999
6.32
4.82
4.69
일본
1983-1988
1988-1994
1994-1999
1999-2001
2.42
2.79
1.14
1.0
주: 각 연도별 기간에 대한 평균치, 1995년 불변가격 기준
자료: IMF, International Financial Statistics Yearbook, 2001.
<표 8> 근로시간 단축 전후의 연간 산업생산 평균
근로시간 단축 이전
근로시간 단축기간
근로시간 단축 이후
프랑스
1995-1997
1998-2000
2000-2001
2.09
3.50
3.20
이탈리아
1994-1997
1997-1998
1998-2001
2.60
1.86
1.87
스페인
1991-1994
1994-1995
1995-1999
-0.11
4.71
3.07
일본
1983-1988
1988-1994
1994-1999
1999-2001
5.23
0.28
0.78
6.3
주: 각 연도별 기간에 대한 평균치, 1995년 불변가격 기준
자료: IMF, International Financial Statistics Yearbook, 2001.
참고문헌
LG경제연구원(2000), 「근로시간 단축의 영향과 기업에의 시사점」, LG경제연구원.
김환일(2000), 『근로시간 단축의 이해와 과제』, 한국경영자총협회.
남성일(2001), 「법정근로시간 단축의 거시경제 효과 분석」, 동계학술세미나 발표논문, 한국노동경제학회.
삼성경제연구원(2001), 「주5일 근무 실시의 전제조건」, 삼성경제연구원.
안주엽·이규용(2001), 「법정근로시간 단축의 노동시장 효과- 제조업을 중심으로」, 『분기별 노동동향분석』, 제14권 제1호, 한국노동연구원.
이승길·고진수·윤종만(1997), 『신근로시간관리제도』, 중앙경제사.
일본 경제기획청, 「국민경제계산연보」, 2001.
한국관광연구원(2001), 「주5일 근무제 도입에 따른 관광정책 대응방향」, 한국관광연구원.
한국노동연구원(2000), 「근로시간 단축이 국민경제와 사회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노동연구원(2001), 「근로시간 단축 및 휴가ㆍ휴일제도 개선에 따른 비용ㆍ편익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노동부, 『매월노동통계조사보고서』, 각호.
노동부, 「임금구조기본통계조사」, 2000년 원자료.
노동부(2001), 『근로시간·휴일·휴가제도 실태조사』, 노동부.
Contensou, F. & Vranceanu, R.(2000), Working Time: Theory and Policy Implications, Edward Elgar.
Ehrenberg, R. G. & Smith, R. G.(1994), Modern Labor Ecomomics: Theory and Public Policy, Harper Collins.
Hart, R. A.(1987), Working Time and Employment, Allen and Unwin.
ILO, Year Book of Labour Statistics, 1993, 2001.
IMF, International Financial Statistics Yearbook, 2001.
OECD, Main Economic Indicators, 각호.
----, Oecd Employment Outlook, 각호.
----, Quarterly National Accounts, 각호.
추천자료
주5일 근무제 도입에 따른 국민생활체육협의회의 역할
주 5일째 근무제에 따른 소비형태의 변화
주5일 근무제(수업제도)의 쟁점과 정부의 역할
주 5일 근무제 도입에 따른 인사노무관리 대책
주5일 근무제 실시에 따른 백화점의 마케팅 전략
외식업의 환경변화와 성공전략 ; 주5일 근무제를 중심
주 5일 근무제에 따른 생활체육의 역할
주 5일 근무제와 자기개발
주 5일 근무제에 대한 노동자측입장.
주5일 근무제와 환경과의 관련지어 레포트
주5일 근무제 도입에 따른 사회변동《영향 및 평가를 중심으로》
[경제사회] 주 5일 근무제와 생산성
주 5일 근무제 실시와 종교의 세속화
주 5일 근무제에 대해 알아보고, 그 영향 및 대책에 대해 논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