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에 관하여(고혈압, 동맥경화, 비만, 결핵, 관절염)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질병에 관하여(고혈압, 동맥경화, 비만, 결핵, 관절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들어가는 이야기(질병에 관하여)

2.중요이야기 (5가지 질병 고혈압,동맥경화,결핵,관절염,비만에 대하여)

본문내용

과성의 발작, 현기증, 이명, 기억력 저하, 두통, 경력, 시야장애, 불면 등이 보이고 전구증상이 알려져 있는 것도 있지만 거의 갑작스런 뇌졸중 발작으로 의식장애, 지각장애, 반신 또는 전신마비, 혼수 등을 일키고 심한 경우 50~80%가 사망한다.
2) 관상동맥경화
협심증과 심근경색 등 허혈성 심장질환의 원인이된다.
3) 신동맥경화
신동맥의 죽상경화
: 신실질의 허혈을 일으키고 혈액부족시 renin의 분비로 , angiotensin계 부활에 의한
2차성 고혈압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신경색의 원인이 된다.
4) 신세동맥의 경화
: 신기능 부전을 일으켜 고혈압을 조장한다. 보행 중 발이 아파 서있지 못하는 증상을 보인 다.
5) 대동맥경화
해리성 대동맥류의 원인이 되고 그 부위에 생긴 혈전의 박리로 말초동맥에 혈전증을 발생한다.
6) 말초동맥경화
말초혈관조직의 허혈로 안정시나 보행시 심한 통증을 호소한다.
말초의 동맥박동을 나쁘게 해 악화되면 말초조직의 궤양과 괴저를 일으킨다.
* 치료 및 식사요법 *
▷ 이미 형성된 동맥경화성 질환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법은 아직까지 없기 때문에
우선 질병의 원인을 발견해서 제거하고 더 이상의 진전이나 합병증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 비만, 고혈압과 고지혈증, 당뇨병 등이 있으면 이들을 치료하기 위해
식사요법과 약물요법을 실시한다.
▷ 그 외 운동, 금연, 스트레스 해소 등 생활습관의 개선에 노력한다.
* 열 량 *
▷ 적극적으로 에너지 섭취량을 줄여 표준체중을 유지하도록 한다.
남성 : 1,800kcal~2,200kcal, 여성 : 1,600~2,000kcal 가 적당하고 비만인 경우에는
400kcal 정도를 줄인다.
▷ 과음, 과식에 의해 에너지 과잉이 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총 에너지 가운데 지질이 차지하는 열량이 20%이하가 되도록 한다.
지 질
▷ 총 열량의 15~20%를 섭취한다.
▷ 고기의 지방부분이나 버터, 라드 등은 제한한다.
▷ 조리용 기름으로는 불포화지방산 특히 linoleic acid 풍부한 대두유나 옥수수유 등을 사용한다.
▷ 등푸른 생선 및 어유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EPA(C20:5)는 혈소판 응집을 억제해서 심근경색, 뇌경색의 발생을 줄인다.
▷ 콜레스테롤이나 포화지방산이 다량 함유된 동물성 지방의 과잉섭취를 제한한다.
▷ 식사 중의 콜레스테롤은 100mg/1,000kcal 이내로 한다.
식품중의 콜레스테롤 함량
단백질
▷ 총 열량의 15~20%로 하여 양질의 단백질을 충분히 섭취.
▷ 신장병 등의 합병증이 없으면 단백질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 저 열량식이라도 단백질의 섭취량이 적으면 뇌졸중과 저 알부민혈증의 원인이 되므로
적어도 1.0~1.5/kg은 섭취한다.
▷ 고지혈증과 통풍의 우려가 있는 경우 이들을 제한한다.
당 질
▷ 총 열량의 50~60%로 하고 최소한 180g 정도는 꼭 섭취하도록 한다.
▷ 설탕과 과당 등 단순당을 피하고 복합당질의 형태로 섭취한다.
▷ 섬유소가 많이 함유된 전곡류, 채소류, 두류, 감자류, 버섯 등을 충분히 섭취하고
특히 펙틴, 만난, 알긴산 등의 수용성 식이섬유소의 섭취를 늘린다.
▷ 하루에 20g 정도의 식이섬유를 섭취하도록 한다.
비타민 및 무기질
▷ 과산화 지질은 동맥경화 발생의 중요한 촉진인자이므로 그것을 많이 함유한
보존식에 주의한다. 지질의 과산화방지를 위해서는 비타민 E가 효과적이다.
▷ 고혈압을 예방하기 위해 하루에 약 7g(정상인의 약 1/2) 이하로 식염을 제한한다.
기 타
▷ 알콜은 의사의 지시에 따른다.
▷ 커피 중 카페인은 혈중 유리지방산과 중성지방을 증가시키므로 제한한다.
▷ 설탕이 다량 함유된 과자류와 기호음료도 지나치면 비만이 되기 쉬우며
혈청 중성지방을 증가시키므로 피한다.
▷ 향신료는 보통요리에 사용되는 정도라면 자유롭게 사용해도 좋다.
▷ 콜라나 사이다 등 탄산음료는 피한다.
▷ 흡연은 해서 좋을 것 없다. (^.^;)
▷ 정신적 스트레스로 혈청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이 증가하거나 혈액응고의 항진이 보인다. 고로 스트레스는 가급적 피하며 즉시 풀어주도록 한다.
**** 참고문헌 ****
*잘못된 식생활이 성인병을 만든다.-미국 상원 영양 문제 보고서-(1995),
미국 상원 영양문제 특별 위워회 원저, 원태진 편저, 형성사,
제3장 구미화되어가는 동양이의 식생활이 성인병을 증가시키고 있다. 109~110
제4장 식생활 개선으로 건강증진과 질병을 치료하는 시대가 왔다. 179~182
제5장 지금 의학계에는 큰 혁명이 일어나고 있다. 212~214, 225~228
*개정 영양과 건강 <현대인의 생활 영양> (1998), 문수재 저, 신광출판사
제1장 건강하게 살기위한 식생활의 지혜 8~11
제6장 성인병과 영양 211~215
제7장 바람직한 식생활 지침 221~223
*식품과 현대인의 건강(1995), 전희정/젠세열 외 공저, 지구문화사
제5장-2 성인병 관리 256~265, 269~279, 284~286
*칼슘 영양의 신비(1992), 이현기 저, 약업신문사
제4장 질병과 칼슘 68~86, 98~111, 117~118
*인체 영양과 건강(1995), 이일하 외 공저, 중앙대학교 출판부
제2장 비만과 저체중 33~48
제3장 식생활과 심펼관계 질환 53~68
제6장 골다공증과 영양 101~114
*생활주기 영양학(1997), 최진호 저, 교문사
제3장 소아영양-6 소아영양의 장애와 대책-5 205~207
제4장 노인영양학-6 노인의 영양성 질환 265~266, 269~270
*현대 식이요법(1996), 김상복 외 공저, 지구문화사
제1장 식이요법 개요-4 영양과 질병 26~28
제5장 영양성 질환의 식이요법-1 비만증 109~115
제7장 혈관계 질환의 식이요법-1 고혈압 141~145
*영양원리와 식이요법(1981), 차일미 외 공저,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제2편 식이요법 293~308, 241~248
*식이요법(1990), 이원열, 수학사
제13장-1 328~331
제17장-2 195~213
*한국인의 평생건강관리(1995), 대한가정의학회 저, 고려의학
제1장 뇌혈관 질환, 심혈관 질환, 대사성 질환, 감염성 질환

키워드

질병,   고혈압,   동맥경화,   비만,   결핵
  • 가격3,3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02.11.12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16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