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유동성지표 분석
(1) 유동비율
(2) 당좌비율
(3) 자기자본비율
(4) 영업비용방어기간
2. 레버리지 지표분석
(1) 부채비율
(2) 이자보상비율
(3) Walter Hunt 비율
3. 활동성지표
(1) 재고자산 회전율
(2) 매출채권 회전율
(3) 고정자산 회전율
(4) 총자산 회전율
4. 수익성 지표
(1) 총자본이익률
(2) 매출액 순이익률
(3) 자기자본이익률
5. 생산성 지표
(1) 노동생산성
(2) 종업원 1인당 매출액
(3) 자본생산성
6. 증권시장지표
(1) 주당이익
(2) 주가수익비율
(1) 유동비율
(2) 당좌비율
(3) 자기자본비율
(4) 영업비용방어기간
2. 레버리지 지표분석
(1) 부채비율
(2) 이자보상비율
(3) Walter Hunt 비율
3. 활동성지표
(1) 재고자산 회전율
(2) 매출채권 회전율
(3) 고정자산 회전율
(4) 총자산 회전율
4. 수익성 지표
(1) 총자본이익률
(2) 매출액 순이익률
(3) 자기자본이익률
5. 생산성 지표
(1) 노동생산성
(2) 종업원 1인당 매출액
(3) 자본생산성
6. 증권시장지표
(1) 주당이익
(2) 주가수익비율
본문내용
40,969,000
279,239,165,000
(단위 : 원)
(단위 : 명)
1998
1999
2000
2001
종업원 수
4,913
5,952
4,902
4,544
노동생산성
1998
78,866,243원
1999
71,889,602원
2000
64,757,439원
2001
61,452,289원
<98'~01' 노동생산성 변화>
노동생산성 비율은 1998년 이래로 계속하여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이다. 종업원의 수는 1999년에 1,000명 정도 급증했다가 2000년도엔 다시 1998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급감하였다. 이는 노동력이 효율적으로 이용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2) 종업원 1인당 매출액
1인당 매출액 = {매출액 } over {종업원 수}
1인당 매출액
1998
{2,331,815,388} over {4,913} =474,621
1999
{2,206,773,428} over {5,952} =370,761
2000
{2,182,476,502} over {4,902} =445,221
2001
{2,310,925,312} over {4,544} =508,566
종업원 일인당 매출액은 매출액을 종업원 수로 나눔으로써 매출액에 대한 연간 증감률을 나타낸다.
제일제당의 경우 1인당 매출액 증가율이 1999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는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종업원 수가 감소하고 있는데 반해 1인당 매출액은 증가하는 이유가 최근 늘어가고 있는 Out sourcing이 한몫 한 것 같다.
일반적으로 노동집약적인 회사는 종업원 수가 매출액을 좌우하지만, 자본집약적인 회사는 적은 종업원으로도 매출액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생산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3) 자본생산성(총자본투자효율 : capital productivity)
자본생산성={부가가치} over {총자본}
자본생산성
1998
{387,469,852,000} over {2,364,544,225,000}=0.1638
1999
{353,193,618,000} over {2,620,858,220,000}=0.1347
2000
{317,440,969,000} over {2,925,223,658,000}=0.1085
2001
{279,239,165,000} over {2,716,408,455,000}=0.1027
<98'~01' 자본생산성 변화>
투하된 자본이 부가가치를 생산하는 데에 어느 정도 공헌했는가를 보인다. 이 비율이 제일제당의 경우 점점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는데, 이것은 총자본이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지 못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6. 증권시장 지표
(1) 주당이익(earning per share : EPS)
주당이익 = {순이익 } over {발행주식수 }
아래의 표는 1998년도부터 2001년도까지의 주식 총수이다.
1998
1999
2000
2001
발행주식수
19,920,913
27,266,730
27,266,730
27,409,489
보통주주식수
16,761,288
21,881,893
21,881,893
22,024,652
(단위 : 주)
(단위 : 원)
주당이익
1998
{ 105,925,247,000} over { 16,761,288} =6,319.63
1999
{ 119,253,812,000} over { 21,881,893} =5,449.88
2000
{ 58,432,927,000} over { 21,881,893} =2,670.37
2001
{ 53,559,496,000} over { 22,024,652} =2,431.79
<98'~01' 주당이익 변화율>
주당 순이익이 발행주식수는 증가하는데 반해 순이익의 감소로 인하여 점점 하락하고 있다. 기업의 경영성과 평가로 활용된다면 경영성과가 점점 악화되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보통 규모가 다른 기업의 수익성을 비교할 때는 이익의 절대규모만으로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주당순이익으로 평가한다.
(2) 주가수익비율(price/book value ratio : P/E)
주가수익비율={주가 } over {주당이익 }
) 참고 인터넷 사이트 - http://www.emoney.co.kr/dic/dic.html?word=주가수익비율
보통 증권시장에 상장된 모든 종목의 주식을 매입하기는 불가능하므로 누구나 주가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는 종목을 선택하고자 할 것이다. 이때 이용되는 방법 가운데 하나가 상장회사들의 주가수익비율(PER)을 계산하여 낮게 나타나는 회사의 종목을 선택하여 투자하는 것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이익을 많이 내는 회사의 주가는 높게 나타난다는 이론에 따른 것이다.
아래의 표와 그래프는 최근 6개월간의 주가수익비율을 조사한 것이다.
주가수익비율
2002/04/02
{ 57,700} over {6,319 } =9.13
2002/03/04
{ 59,500} over {6,319 } =9.41
2002/02/01
{ 56,400} over {6,319 } =8.92
2002/01/07
{ 51,300} over {6,319 } =8.11
2001/12/03
{ 43,400} over {5,449 } =7.96
2001/11/02
{ 36,350} over {5,449 } =6.67
<6개월간의 주가수익비율 변화>
여기서 주당순이익은 매년 1번 발표되기 때문에 거의 고정된 수치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주가는 시시각각으로 변하기 때문에 주가가 상승하면 주가수익비율은 올라가고, 주가가 하락하면 주가수익비율은 내려가게 된다. 따라서 주가수익비율이 높다는 것은 기업이 영업활동에 의해 벌어들인 이익에 비해 주가가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반대로 주가수익비율이 낮으면 이익에 비해 주가가 낮게 평가되어 있기 때문에 향후 주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일제당의 경우 주당이익을 최근 6개월간 비교하여 본 결과 점점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주가수익비율은 과거(정확하게 말하면 전년도)의 영업실적을 기준으로 계산하기 때문에 향후 주가를 예측하는 데에는 다소 한계가 있다.
따라서 주가수익비율이 낮다고 해서 반드시 그 회사의 주가가 크게 상승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에 유의해야 한다.
279,239,165,000
(단위 : 원)
(단위 : 명)
1998
1999
2000
2001
종업원 수
4,913
5,952
4,902
4,544
노동생산성
1998
78,866,243원
1999
71,889,602원
2000
64,757,439원
2001
61,452,289원
<98'~01' 노동생산성 변화>
노동생산성 비율은 1998년 이래로 계속하여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이다. 종업원의 수는 1999년에 1,000명 정도 급증했다가 2000년도엔 다시 1998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급감하였다. 이는 노동력이 효율적으로 이용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2) 종업원 1인당 매출액
1인당 매출액 = {매출액 } over {종업원 수}
1인당 매출액
1998
{2,331,815,388} over {4,913} =474,621
1999
{2,206,773,428} over {5,952} =370,761
2000
{2,182,476,502} over {4,902} =445,221
2001
{2,310,925,312} over {4,544} =508,566
종업원 일인당 매출액은 매출액을 종업원 수로 나눔으로써 매출액에 대한 연간 증감률을 나타낸다.
제일제당의 경우 1인당 매출액 증가율이 1999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는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종업원 수가 감소하고 있는데 반해 1인당 매출액은 증가하는 이유가 최근 늘어가고 있는 Out sourcing이 한몫 한 것 같다.
일반적으로 노동집약적인 회사는 종업원 수가 매출액을 좌우하지만, 자본집약적인 회사는 적은 종업원으로도 매출액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생산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3) 자본생산성(총자본투자효율 : capital productivity)
자본생산성={부가가치} over {총자본}
자본생산성
1998
{387,469,852,000} over {2,364,544,225,000}=0.1638
1999
{353,193,618,000} over {2,620,858,220,000}=0.1347
2000
{317,440,969,000} over {2,925,223,658,000}=0.1085
2001
{279,239,165,000} over {2,716,408,455,000}=0.1027
<98'~01' 자본생산성 변화>
투하된 자본이 부가가치를 생산하는 데에 어느 정도 공헌했는가를 보인다. 이 비율이 제일제당의 경우 점점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는데, 이것은 총자본이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지 못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6. 증권시장 지표
(1) 주당이익(earning per share : EPS)
주당이익 = {순이익 } over {발행주식수 }
아래의 표는 1998년도부터 2001년도까지의 주식 총수이다.
1998
1999
2000
2001
발행주식수
19,920,913
27,266,730
27,266,730
27,409,489
보통주주식수
16,761,288
21,881,893
21,881,893
22,024,652
(단위 : 주)
(단위 : 원)
주당이익
1998
{ 105,925,247,000} over { 16,761,288} =6,319.63
1999
{ 119,253,812,000} over { 21,881,893} =5,449.88
2000
{ 58,432,927,000} over { 21,881,893} =2,670.37
2001
{ 53,559,496,000} over { 22,024,652} =2,431.79
<98'~01' 주당이익 변화율>
주당 순이익이 발행주식수는 증가하는데 반해 순이익의 감소로 인하여 점점 하락하고 있다. 기업의 경영성과 평가로 활용된다면 경영성과가 점점 악화되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보통 규모가 다른 기업의 수익성을 비교할 때는 이익의 절대규모만으로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주당순이익으로 평가한다.
(2) 주가수익비율(price/book value ratio : P/E)
주가수익비율={주가 } over {주당이익 }
) 참고 인터넷 사이트 - http://www.emoney.co.kr/dic/dic.html?word=주가수익비율
보통 증권시장에 상장된 모든 종목의 주식을 매입하기는 불가능하므로 누구나 주가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는 종목을 선택하고자 할 것이다. 이때 이용되는 방법 가운데 하나가 상장회사들의 주가수익비율(PER)을 계산하여 낮게 나타나는 회사의 종목을 선택하여 투자하는 것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이익을 많이 내는 회사의 주가는 높게 나타난다는 이론에 따른 것이다.
아래의 표와 그래프는 최근 6개월간의 주가수익비율을 조사한 것이다.
주가수익비율
2002/04/02
{ 57,700} over {6,319 } =9.13
2002/03/04
{ 59,500} over {6,319 } =9.41
2002/02/01
{ 56,400} over {6,319 } =8.92
2002/01/07
{ 51,300} over {6,319 } =8.11
2001/12/03
{ 43,400} over {5,449 } =7.96
2001/11/02
{ 36,350} over {5,449 } =6.67
<6개월간의 주가수익비율 변화>
여기서 주당순이익은 매년 1번 발표되기 때문에 거의 고정된 수치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주가는 시시각각으로 변하기 때문에 주가가 상승하면 주가수익비율은 올라가고, 주가가 하락하면 주가수익비율은 내려가게 된다. 따라서 주가수익비율이 높다는 것은 기업이 영업활동에 의해 벌어들인 이익에 비해 주가가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반대로 주가수익비율이 낮으면 이익에 비해 주가가 낮게 평가되어 있기 때문에 향후 주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일제당의 경우 주당이익을 최근 6개월간 비교하여 본 결과 점점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주가수익비율은 과거(정확하게 말하면 전년도)의 영업실적을 기준으로 계산하기 때문에 향후 주가를 예측하는 데에는 다소 한계가 있다.
따라서 주가수익비율이 낮다고 해서 반드시 그 회사의 주가가 크게 상승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에 유의해야 한다.
추천자료
[사회복지][사회복지서비스][사회복지사][전문성][사회복지정책][사회복지제도]사회복지와 사...
[금융위험]금융위험(금융리스크)과 환위험관리, 금융위험(금융리스크)과 위험관리조직, 금융...
[가치경영][가치경영 사례][경제적 부가가치][가상공동체]가치경영의 개념, 가치경영의 측정...
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특허취득, R&D(연구개발투자), 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핵심역...
[기업주가][기업주가와 회계정보공시][기업주가와 브랜드가치][기업주식]기업주가와 국가별 ...
1) 2세아의 신체, 인지, 정서 발달적 특성과 안전사고를 관련지어 설명,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가족복지론] 아동성학대(아동성학대의 배경과 개념 및 행위, 아동성학대의 종류와 단계, 아...
[가족복지론] 노인학대 - 노인, 학대, 노인학대의 개념 및 유형, 학대와 방임의 지표, 노인학...
혁신역량의 개념과 측정 방법 - 기술혁신 역량, 수용 역량, 기업가적 역량, 혁신활동의 성과,...
[교직실무]교육과정 운영계획서 중 연간, 주간, 일일 계획안을 작성하시오.(제3주기 유치평가...
[재정력 분석 (財政力 分析)] 재정력의 개념, 우리나라 및 외국(한국, 일본, 미국)의 재정력 ...
[정책평가 논리 및 한계] 정책평가 (政策評價) - 정책평가의 주체와 기준, 정책평가방법, 정...
[건강증진론 A] 미국의 건강증진(Healthy People 2020)에서 영양과 체중상태를 중요시 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