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국계몽운동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계몽운동의 사상적 기반
1-1. 계몽운동의 현실인식[미주 1]
1-2. 정치적 지향
1-3. 경제적 지향

2. 계몽운동의 극복과 무장투쟁론으로의 전환

3. 계몽운동의 전개
3-1. 정치결사의 조직과 활동
3-2. 학회의 활동과 교육계몽운동
3-3. 언론과 출판활동
3-4. 종교운동의 전개
3-5. 국어·국문연구의 발전

4. 한말계몽운동의 역사적 의의와 한계

본문내용

걸,「한말 계몽주의의 구조와 독립운동상의 위치」,『한국학논총』 11,국민대 힌국학연구소,1988(『한국민족주의의 성립과 독립운동사연구』,지식산업사,1989년에 재수록).
김도형,「대한제국시기 국권회복운동과 그 사상」,이화여대 사학과 박사학위논문,1985.
尹健次,『朝鮮近代敎育の思想と運動』,東京大出版會,1982.
미주
[1] 1904년부터 1910년까지의 부르주아 민족운동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성과가 있다. 이러한 연구성과들은 이 운동의 성격에 다양한 의견들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이 운동에 대해서는 애국계몽운동이란 용어가 가장 많이 쓰이고 있으나 자강운동·계몽운동·한말계몽주의·문화계몽운동·애국문화계몽운동·문화계몽운동 등으로 다양하게 지칭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 시기의 부르주아 민족운동을 계몽운동으로 지칭하였다. 여기에서 ‘한말’이란 대한제국 말기인 을사5조약 이후를 말한다.
[2] 채기두, 「평화적전쟁」, 『대한학회월보』 7, 대한학회, 1908, 8∼9쪽.
[3] 소앙생, 「갑신 이후 제국대세의 변동을 논함」, 『대한흥학보』 10, 대한흥학회, 1910, 4∼5쪽.
[4] 한흥교,「정치상으로 관한 황인종의 지위」, 『대한흥학보』 1, 대한흥학회, 1909, 73쪽.
[5] 창해생, 「한국연구」, 『대한흥학보』 9, 대한흥학회, 1910, 12쪽.
[6] 김성희, 「독립설」, 『대한자강회월보』 7, 대한자강회, 1907, 15쪽.
[7] 김성희, 「국민적 내치 국민적 외교」, 『대한협회회보』 4, 대한협회, 1908, 25쪽.
[8] 김도형, 「한말계몽운동의 정치론연구」, 『한국사연구』 54, 한국사연구회, 1986, 110∼19쪽.
[9] 김도형, 앞의 논문 ; 『대한매일신보』 1910년 6월 26일자 논설, 「영웅의 자세」.
[10] 옥동규, 「실업의 필요」, 『서우』(西友) 8, 서우학회, 1907, 29쪽.
[11] 이기준, 『한말서구경제학도입사연구』, 일조각, 1985, 157∼84쪽.
[12] 장지연, 「자강주의」, 『대한자강회월보』 3 대한자강회, 1906, 5쪽 ; 옥동규, 「실업의 필요」, 『서우』 8, 서우학회, 1907, 28쪽 ; 박은식, 「인민의 생활상 자립으로 국가가 자립을 성함」, 『서우』 8, 1907, 3∼4쪽.
[13] 정창렬, 「한말 변혁운동의 정치·경제적 성격」, 『한국민족주의론』 1, 창작과 비평사, 1982, 45∼68쪽.
[14] 『대한자강회월보』 1, 대한자강회, 1906, 39∼40쪽.
[15] 이송희, 「한말 국채보상운동에 관한 일연구」, 『이대사원』 15, 이화여대 사학과, 1978, 1∼40쪽.
[16] 대한자강회가 25개의 지회를 설치한 이후 지회설치운동은 점차 확대되어서 대한협회에 이르러서는 70여 개의 지회가 설립되기에 이르렀다.
[17] 김도형, 「대한제국시기의 국권회복운동과 그 사상」, 연세대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1988, 132∼90쪽.
[18] 포우생, 「경쟁의 근본」, 『태극학보』 22, 태극학회, 1908, 28쪽.
[19] 최석하, 「한국이 갈망하는 인물」, 『태극학보』 7, 태극학회, 1906, 16쪽.
[20] 『대한매일신보』 1910년 2월 22·23일자 논설, 「20세기 신국민」.
[21] 『대한매일신보』 1908년 7월 30일자 논설, 「민족과 국민의 구별」.
[22] 『황성신문』 1904년 7월 15일자, 「송씨 연설 기사」.
[23] 『황성신문』 1904년 7월 23일자, 「회장 설명」. 7월 16일자, 「보안회」 ; 윤병석, 「일본인의 황무지개척권 요구에 대하여」, 『역사학보』 22, 역사학회, 1964, 49∼69쪽.
[24] 『대한민보』 1905년 5월 17일.
[25] 국사편찬위원회 편, 『한국독립운동사』, 1023∼24쪽.
[26] 신용하, 「신민회의 창건과 그 국권회복운동」 하, 『한국학보』 9, 일지사, 1977, 125∼86쪽.
[27] 윤경로, 「105인사건에 연루된 상공업자의 활동」, 『한국사연구』 56, 한국사연구회, 1987, 104∼33쪽.
[28] 이송희, 「대한제국시기 애국계몽학회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5.
[29] 김도형, 「대한제국시기의 국권회복운동과 그 사상」, 연세대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146∼55쪽.
[30] 주요한 편저, 『안창호전집』, 삼중당, 1971, 81쪽.
[31] 김상기, 「한말 사립학교의 교육이념과 신교육구국운동」, 『청계사학』 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79∼80쪽.
[32] 『박은식전서』 중, 「학규신론」(學規新論), ‘논권징지규’(論勸懲之規), 22쪽.
[33] 『황성신문』 1907년 5월 27일자 논설, 「강화대운동현황」 ; 최취수, 「1910년 전후 강화지역 의병운동의 성격」,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 지식산업사, 1988.
[34] 최기영, 「제국신문의 간행과 하층민 계몽」, 『대한제국시기 신문연구』, 일지사, 1991, 11∼24쪽.
[35] 박찬승, 「한말 자강운동론의 각 계열과 그 성격」, 『한국사연구』 68, 1990, 115∼29쪽.
[36] 박영석, 「대종교의 민족의식과 민족독립운동」, 『일제하 독립운동사연구』, 일조각, 1984.
[37] 신용하, 「박은식의 유교구신론·양명학론·대동사상」, 『역사학보』 73, 역사학회, 1977, 72∼76쪽.
[38] 이만열, 「한말 기독교인의 민족의식 형성과정」, 『한말 기독교와 민족운동』, 평민서당, 1986, 56∼59쪽.
[39] 신용하, 「주시경의 애국계몽사상」, 『한국근대사회사상사연구』, 일지사, 1987, 418∼21쪽.
[40] 이보경, 「국문과 한문의 과도시대」, 『태극학보』 21, 태극학회, 1908, 16∼18쪽.
[41] 이기문 편, 「국문론」, 『주시경전집』 상, 아세아문화사, 1976.
[42] 이기문, 「개화기의 국문사용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 5, 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 1984년 12월호, 77∼84쪽.
[43] 이병근, 「애국계몽시대의 국어관-주시경의 경우」, 『한국학보』 12, 일지사, 1987년 가을호, 185∼88쪽.
  • 가격3,300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02.11.21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27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