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3·1운동에 대한 연구 정리
3. 1910년대 민중의 존재형태와 투쟁양상
4. 3·1운동의 전개과정과 민중의 진출
(1) 운동의 준비과정과 전국적 확산
(2) 민중의 적극적 진출
(3) 운동의 진전
(4) 운동의 형태 - 폭력투쟁의 배경
(5) 3·1운동에서의 민중의 이념문제
5. 결론
2. 3·1운동에 대한 연구 정리
3. 1910년대 민중의 존재형태와 투쟁양상
4. 3·1운동의 전개과정과 민중의 진출
(1) 운동의 준비과정과 전국적 확산
(2) 민중의 적극적 진출
(3) 운동의 진전
(4) 운동의 형태 - 폭력투쟁의 배경
(5) 3·1운동에서의 민중의 이념문제
5. 결론
본문내용
지적 본원적 축적을 위해 강행한 일제의 제반 정책과 무단정치는 전국민적인 저항을 불러일으켰으며 이러한 흐름은 3·1운동으로 폭발된다. 3·1운동은 학생과 지식인을 중심으로 도시지역에서 시작되었지만, 지방으로 확산되면서 농민이 대거 참여하고 노동자, 빈민들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특히 토지조사사업과정에서 일제의 무력과 유착된 친일지주들에 의해 토지로부터 쫓겨난 농민들의 항쟁은 폭력적이고 공격적인 형태로 전개되었다. 3·1운동에 있어서 처음부터 끝까지 비타협적인 투쟁을 전개한 것은 농민, 노동자, 소부르조아지 등 민중이었다. 이들은 민족적, 계급적 모순의 최대 피해자로 운동의 초기부터 적극적으로 참가하였다. 민중은 시위 당초부터 폭력투쟁을 지향하여 일제의 권력기반에 대타격을 가하였다. 4월 상순이래 다른 계급, 계층의 활동이 상대적으로 감소해 갈 떠 농민, 노동자 등은 전열을 가다듬어 더욱 시위의 최전선에서 투쟁을 이끌어 갔다.
3·1운동은 부르조아 민족주의자의 주도하에 일어난 부르조아 민족주의적 변혁을 위한 마지막 몸부림이었음과 동시에, 특히 19세기 이래 농민항쟁으로 표출된 반(反)봉건적 변혁과제가 일제의 혹독한 식민지정책 속에서 진행된 본원적 축적과정에서 해결되지 않았고, 또한 본원적 축적과정이 토착자본의 발전을 위한 것이 아니라 (일제)자본의 이식을 위한 것으로서 강행됨으로써 이에 대한 저항이 전국민적으로 확산되어 나타난 것이다.
) 서울사회과학연구소 경제분과, 1991, 『한국에서 자본주의의 발전』, 새길, 52쪽.
또한 제국주의의 직접적 통치하에 있는 식민지로서, 국민국가의 형성을 통해 자립적 발전을 이루어야 한다는 민족해방의 과제가 전면에 등장할 수 밖에 없었다.
<<참고문헌>>
박성수, 1969, 「3·1운동에 있어서의 폭력과 비폭력」, 『3·1운동 50주년 기념논집』.
천관우, 1969, 「민중운동으로 본 3·1운동」, 『3·1운동 50주년 기념논집』.
조동걸, 1970, 「3·1운동의 지방사적 성격-강원도 지방을 중심으로」, 『역사학보』47.
류청하, 1980, 「3·1운동의 역사적 성격」, 『한국근대민족운동사』, 돌베개.
강재언, 1983, 「사상사적 입장에서 본 3·1운동」, 『식민지 시대 한국의 사회와 저항』, 백산서당.
이정은, 1987, 「안성군 원곡, 양성의 3·1운동」, 『한국독립운동사연구』 1,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박걸순, 1988, 「3·1운동기 국내 비밀결사운동에 대한 시론」,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박찬승, 1989, 「3·1운동의 사상적 기반」, 『3·1민족해방운동연구』, 청년사.
이윤상·이지원·정연태, 1989, 「3·1운동의 전개양상과 참가계층」, 『3·1민족해방운동연구』, 청년사.
이윤상, 1989, 「평안도 지방의 3·1운동」, 『3·1민족해방운동연구』, 청년사.
이지원, 1989, 「경기도 지방의 3·1운동」, 『3·1민족해방운동연구』, 청년사.
임경석, 1989, 「1910년대 계급구성과 노동자·농민운동」, 『3·1민족해방운동연구』, 청년사.
정연태, 1989, 「경남 지방의 3·1운동」, 『3·1민족해방운동연구』, 청년사.
정용욱, 1989, 「3·1운동에 나타난 노동자·농민의 진출」, 『역사비평』 1989 봄.
김성보, 1990, 「3·1운동」, 『쟁점과 과제-민족해방운동사』. 역사비평사.
서울사회과학연구소 경제분과, 1991, 『한국에서 자본주의의 발전』, 새길.
전국역사교사모임내 사료학습모임, 1991, 「사료학습(2)-3·1운동」, 『역사교육·2』, 푸른나무.
한국역사연구회, 1992, 『한국역사』, 역사비평사.
이지원, 1994, 「3·1운동」, 『한국사』 15, 한길사.
3·1운동은 부르조아 민족주의자의 주도하에 일어난 부르조아 민족주의적 변혁을 위한 마지막 몸부림이었음과 동시에, 특히 19세기 이래 농민항쟁으로 표출된 반(反)봉건적 변혁과제가 일제의 혹독한 식민지정책 속에서 진행된 본원적 축적과정에서 해결되지 않았고, 또한 본원적 축적과정이 토착자본의 발전을 위한 것이 아니라 (일제)자본의 이식을 위한 것으로서 강행됨으로써 이에 대한 저항이 전국민적으로 확산되어 나타난 것이다.
) 서울사회과학연구소 경제분과, 1991, 『한국에서 자본주의의 발전』, 새길, 52쪽.
또한 제국주의의 직접적 통치하에 있는 식민지로서, 국민국가의 형성을 통해 자립적 발전을 이루어야 한다는 민족해방의 과제가 전면에 등장할 수 밖에 없었다.
<<참고문헌>>
박성수, 1969, 「3·1운동에 있어서의 폭력과 비폭력」, 『3·1운동 50주년 기념논집』.
천관우, 1969, 「민중운동으로 본 3·1운동」, 『3·1운동 50주년 기념논집』.
조동걸, 1970, 「3·1운동의 지방사적 성격-강원도 지방을 중심으로」, 『역사학보』47.
류청하, 1980, 「3·1운동의 역사적 성격」, 『한국근대민족운동사』, 돌베개.
강재언, 1983, 「사상사적 입장에서 본 3·1운동」, 『식민지 시대 한국의 사회와 저항』, 백산서당.
이정은, 1987, 「안성군 원곡, 양성의 3·1운동」, 『한국독립운동사연구』 1,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박걸순, 1988, 「3·1운동기 국내 비밀결사운동에 대한 시론」,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박찬승, 1989, 「3·1운동의 사상적 기반」, 『3·1민족해방운동연구』, 청년사.
이윤상·이지원·정연태, 1989, 「3·1운동의 전개양상과 참가계층」, 『3·1민족해방운동연구』, 청년사.
이윤상, 1989, 「평안도 지방의 3·1운동」, 『3·1민족해방운동연구』, 청년사.
이지원, 1989, 「경기도 지방의 3·1운동」, 『3·1민족해방운동연구』, 청년사.
임경석, 1989, 「1910년대 계급구성과 노동자·농민운동」, 『3·1민족해방운동연구』, 청년사.
정연태, 1989, 「경남 지방의 3·1운동」, 『3·1민족해방운동연구』, 청년사.
정용욱, 1989, 「3·1운동에 나타난 노동자·농민의 진출」, 『역사비평』 1989 봄.
김성보, 1990, 「3·1운동」, 『쟁점과 과제-민족해방운동사』. 역사비평사.
서울사회과학연구소 경제분과, 1991, 『한국에서 자본주의의 발전』, 새길.
전국역사교사모임내 사료학습모임, 1991, 「사료학습(2)-3·1운동」, 『역사교육·2』, 푸른나무.
한국역사연구회, 1992, 『한국역사』, 역사비평사.
이지원, 1994, 「3·1운동」, 『한국사』 15, 한길사.
추천자료
- 체육 교육론 연구
- 심혈관계질환
- 한국근현대사의흐름과이해
- [산별노조][산업별노동조합]산별노조(산업별노동조합) 고찰과 건설 방향 및 정세 전망(산별노...
- 인천광역시 연수구 및 계양구 공공도서관 설립과정에 대한 고찰
- 소설은 구호일 수 있는가, 박영희 작가에 대해
- 한국과 프랑스의 노사관계비교
- 환경정의를 정책의 관점에서 논술하시오0e
- 세계교회협의회(WCC)에 대한 개혁주의적 입장과 대응책
- [생리학과] 캡사이신과 들기름 섭취한 쥐의 유영훈련 후 혈청 CPK와 LDH 활성도 변화 (The Ch...
- 인권과 정의 개별 리포트
- [배드민턴][플라이트][스트로크]배드민턴의 경기용어, 배드민턴의 용구, 배드민턴의 서브(서...
- 선교사들의 선교활동 [의료선교, 아펜젤러 선교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