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심어주었다는 점이다.
둘째, 획일적·물량위주·전시효과적인 사업수행으로 인해 생산성이 떨어지고 시대의 변화에 따른 새마을운동의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
셋째, 새마을운동이 농촌마을 공동체의 자율성을 약화시켰고, 전통적인 농촌공동체의 지혜와 전통도 단절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는 점이다. 마을중심의 종교의례라든가 민속놀이, 동제나 당제 등 공동제를 폐지시켜버린 것이 바로 그것이다. 공동체의 자율성이나 전통의 단절을 통한 획일적인 운동방식은 마을사람들의 정체성을 훼손시켰을 뿐만 아니라 지역의 특성에 기초한 자기 동네 나름의 자발적인 발전전략이나 발전모델을 만들어 나가는데 저해요인으로 작용했다.
Ⅶ. 결
지금까지의 새마을운동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았다.
정리해보면 같이 새마을운동은 1970년 ‘새마을 가꾸기 운동’으로 처음에는 농촌에서 시작되었으나 이후 도시, 공장, 학교 등 전국적으로 확장되었고, 운동의 영역도 단순한 마을 가꾸기에서 이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걸친 일종의 사회개혁운동으로 확대되어 가고 있다. ‘잘살아보세’라는 하나의 슬로건아래 전 국민이 혼연일체가 되어 이루어 놓은 새마을운동의 성과는 생활환경 개선, 농가소득 향상, 농민의 개발의욕 고취 등 여기에서 일일이 거론할 수 없을 정도로 많다. 우리 역사에서 이처럼 전 국민적 참여 속에 이루어진 국민운동은 새마을운동이 처음이자 마지막일 것이다.
이제 우리는 이러한 새마을 운동을 현재에 맞게 변화시켜 나가야할 것이다. 초기 새마을운동이 절대 가난을 몰아내고 물질적 성장을 추구해 왔다면 어느 정도 경제성장이 이루어진 지금, 21세기 새마을운동은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각종 문제해결에 앞장서면서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 사회를 만드는데 중점을 두어야할 것이다. 지금 우리사회는 도덕과 윤리가 땅에 떨어져 이로 인한 부정부패, 무질서, 사치·향락, 과소비가 판을 치고 내 몫 만 챙기겠다는 집단 이기주의가 가득하다. 이러한 병폐는 사회안정과 국민화합을 해치는 암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새마을운동은 정신적 건강과 삶의 질 향상에 중점을 두고 의식개혁과 환경운동을 비롯한 국민적 단합을 도모하기 위한 각종 활동에 앞장서 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2000년대 통일된 세계 중심국가로 우뚝 설 수 있도록 통일새마을운동에 선구자적 역할을 다하는 한편 우리보다 못 사는 나라들과도 새마을운동의 경험을 나누면서 인류의 공동발전과 번영에 기여하며, 국내적으로는 지역의 독자성과 자율성을 존중하는 운동을 전개하는 것이 중요하다. 어떤 사업을 어떻게 추진할 것인가는 전적으로 지역단위에서 스스로의 수준에 걸맞게 주민들이 자주적으로 결정하고 실천해 나가야 할 것이며, 그로인해 명실공히 민간운동기구로 거듭나기 위해 정책기능을 강화하여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는 일, 주민참여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일 등도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Ⅷ. 참고자료
1. http://www.saemaul.or.kr/ (새마을 운동 중앙회 홈페이지)
2. http://www.saemaul.or.kr/newspaper/ (새마을 운동 신문)
3. http://contents.archives.go.kr/ (국가기록원 - 나라기록)
4. 서희환,『새마을운동 10년사』, 1980, 서울; 내무부
5. 김신복,『발전기획론』, 2007, 서울; 박영사
6.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의 농촌개발 1970-79 : 새마을운동의 평가와 전망』, 1979.
7. 브란트, 「새마을운동의 주도방안에 관한 연구: 농촌 새마을운동을 중심으로」『새마을운동 연구논총』7집 4권, 1980.
8. 새마을운동중앙본부,『새마을운동』1986, 서울; 새마을운동중앙본부
둘째, 획일적·물량위주·전시효과적인 사업수행으로 인해 생산성이 떨어지고 시대의 변화에 따른 새마을운동의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
셋째, 새마을운동이 농촌마을 공동체의 자율성을 약화시켰고, 전통적인 농촌공동체의 지혜와 전통도 단절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는 점이다. 마을중심의 종교의례라든가 민속놀이, 동제나 당제 등 공동제를 폐지시켜버린 것이 바로 그것이다. 공동체의 자율성이나 전통의 단절을 통한 획일적인 운동방식은 마을사람들의 정체성을 훼손시켰을 뿐만 아니라 지역의 특성에 기초한 자기 동네 나름의 자발적인 발전전략이나 발전모델을 만들어 나가는데 저해요인으로 작용했다.
Ⅶ. 결
지금까지의 새마을운동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았다.
정리해보면 같이 새마을운동은 1970년 ‘새마을 가꾸기 운동’으로 처음에는 농촌에서 시작되었으나 이후 도시, 공장, 학교 등 전국적으로 확장되었고, 운동의 영역도 단순한 마을 가꾸기에서 이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걸친 일종의 사회개혁운동으로 확대되어 가고 있다. ‘잘살아보세’라는 하나의 슬로건아래 전 국민이 혼연일체가 되어 이루어 놓은 새마을운동의 성과는 생활환경 개선, 농가소득 향상, 농민의 개발의욕 고취 등 여기에서 일일이 거론할 수 없을 정도로 많다. 우리 역사에서 이처럼 전 국민적 참여 속에 이루어진 국민운동은 새마을운동이 처음이자 마지막일 것이다.
이제 우리는 이러한 새마을 운동을 현재에 맞게 변화시켜 나가야할 것이다. 초기 새마을운동이 절대 가난을 몰아내고 물질적 성장을 추구해 왔다면 어느 정도 경제성장이 이루어진 지금, 21세기 새마을운동은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각종 문제해결에 앞장서면서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 사회를 만드는데 중점을 두어야할 것이다. 지금 우리사회는 도덕과 윤리가 땅에 떨어져 이로 인한 부정부패, 무질서, 사치·향락, 과소비가 판을 치고 내 몫 만 챙기겠다는 집단 이기주의가 가득하다. 이러한 병폐는 사회안정과 국민화합을 해치는 암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새마을운동은 정신적 건강과 삶의 질 향상에 중점을 두고 의식개혁과 환경운동을 비롯한 국민적 단합을 도모하기 위한 각종 활동에 앞장서 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2000년대 통일된 세계 중심국가로 우뚝 설 수 있도록 통일새마을운동에 선구자적 역할을 다하는 한편 우리보다 못 사는 나라들과도 새마을운동의 경험을 나누면서 인류의 공동발전과 번영에 기여하며, 국내적으로는 지역의 독자성과 자율성을 존중하는 운동을 전개하는 것이 중요하다. 어떤 사업을 어떻게 추진할 것인가는 전적으로 지역단위에서 스스로의 수준에 걸맞게 주민들이 자주적으로 결정하고 실천해 나가야 할 것이며, 그로인해 명실공히 민간운동기구로 거듭나기 위해 정책기능을 강화하여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는 일, 주민참여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일 등도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Ⅷ. 참고자료
1. http://www.saemaul.or.kr/ (새마을 운동 중앙회 홈페이지)
2. http://www.saemaul.or.kr/newspaper/ (새마을 운동 신문)
3. http://contents.archives.go.kr/ (국가기록원 - 나라기록)
4. 서희환,『새마을운동 10년사』, 1980, 서울; 내무부
5. 김신복,『발전기획론』, 2007, 서울; 박영사
6.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의 농촌개발 1970-79 : 새마을운동의 평가와 전망』, 1979.
7. 브란트, 「새마을운동의 주도방안에 관한 연구: 농촌 새마을운동을 중심으로」『새마을운동 연구논총』7집 4권, 1980.
8. 새마을운동중앙본부,『새마을운동』1986, 서울; 새마을운동중앙본부
추천자료
- Green Tourism에 의한 산촌마을 개발 계획에 관한 연구
- sos어린이 마을을 다녀와서
- 다이어트-운동과 건강관리
- [판소리][판소리문학][판소리사설][구비문학][판소리 의미][판소리 역사][판소리 성격][판소...
- 대안교육운동과 대안학교
- [공동체][봉사활동][시민운동][고용관행][지방자치]공동체의 정의, 공동체의 역사, 공동체와 ...
- We_Start_운동에_대한_조사
- 지속 가능한 사회 -문당리마을-
- [세계관][기독교][도교][동서양][고구려][노동자][결정론]기독교의 세계관, 도교의 세계관, ...
- 내고장 탐구(우리고장 탐구)와 문화유적(효자비), 문화유적(옥룡사지), 내고장 탐구(우리고장...
- ‘살기 좋은 아파트마을 만들기’ 우수사례
- 교육사회학 - 대안교육운동[한국 대안교육운동의 시작과 그 현황, 외국의 사례 등을 소개,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