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타이너의 인간이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인지학의 성립

2. 육체-영혼-정신

3. 인간존재의 네가지 특성

4. 인간의 발달단계

5. 기질론

6. 교사교육

7. 한국교육에의 시사점

본문내용

있 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우리나라에 발도르프 학교의 설립을 성급하 게 추진하거나 주장하는 입장에서가 아니라, 발도르프 학교 현장에 서 이루어지고 있는 인간주의적 교육활동을 살펴봄으로써 한국교육 의 발전과 개선에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교육이 지식 위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주지교과, 예 술교과, 실과(수공)활동교과 등으로 고르게 나뉘어져서 인간의 조화 로운 발달을 도모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그 수준은 마치 인문계 학교, 예술계 학교, 실업계 학교 이상으로 높다. 예컨대 발도 르프 학교에서의 예술 수업을 관찰한 후 우리나라에도 예술 고등학 교가 있고 이 정도의 실력은 된다고 평가할 수 있지만, 그것은 잘못 된 평가일 수밖에 없다. 아이들을 지나치게 일면적으로 교육하는 것 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우리는 언제부터인가 예·체능 특기생들을 어릴 때부터 프로 선수처럼 길러냄으로써 기형적인 교육을 일반화 하고 있는 경향이 있다. 발도르프 학교에서는 전문가가 되기 위한 음악과 미술의 수업, 프로 선수가 되기 위한 체육활동, 기술자가 되 기 위한 수공활동이 아니라, 보다 조화로운 인격체로서의 인간을 완 성하기 위한 과정으로서의 통합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교육의 개별화를 실현하는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 다. 발도르프 학교에서는 아동의 각 기질에 따른 교육적 대응을 하 고, 오이리트미 수업에서도 아동의 성격에 따라 각기 다른 동작을 시킴으로써 아동의 성격을 조화롭게 형성시키고 있다. 또한 1학년부 터 8학년까지 한 선생님이 담임을 함으로써 아동 개개인에 대한 파 악을 철저하게하여 개별지도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물론 이에는 교사의 자질과 교사에 대한 신뢰가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교과내용의 일방적인 전달이 아니라 학습에 있어서 아동의 능동성을 유발시키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사물에 대한 인식은 스스로의 행동을 통하여 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있다. 우리는 현재 아동의 자발성과 창의성을 키우는 교육을 한다고 하기는 하지만 여 전히 교육현장에서는 구태의연한 모습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종종 볼 수 있다. 예컨대, 공작 활동의 경우, 나무 합판을 잘라 서 국기함을 스스로 만들어 보는 경험을 함으로써 아이들이 스스로 설계하고, 톱으로 자르고, 모서리를 맞추어서 못을 박고, 마지막으로 사포질과 니스칠을 해서 모양을 내고 완성하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하는데, 모든 재료는 이미 거의 완성된 상태로 학교 앞 문방구에서 팔고 있다. 또한 물리, 화학 등과 같이 실험을 해야 하 는 교과의 경우 실험실과 실험기구 부족이라는 이유로, 그리고 입학 시험에서의 비중이 적다는 이유로 실험보다는 교과서 위주의 교육 이 이루어짐으로써 아동의 자발적 흥미를 억제하고 있는 실정이다. 틀에 박힌 교과서와 정형화된 교과 운영, 그리고 정답지향적 지식교 육이 얼마나 아이들의 상상력과 창의력을 제약하고 있는가를 반성 해야 할 것이다.
http://ifp.or.kr/academy/human_edu/980227.html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2.12.24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65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