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레스젠더의 대한 연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트레스젠더의 대한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용어정리
2.2. 성전환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제도
2.3. 성전환에 대한 소고(小考)
3. 결론
4. 참고문헌과 관련보도자료

본문내용

성정체성장애는 반대의 성(性)에 대하여 강하고 지속적인 동일감을 느끼는 증세로, 자신에게 부여된 성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불편함을 느끼거나 성 역할에 대한 부적절감을 느끼고, 타고난 해부학적인 성에 맞지 않는 성 역할을 한다. 그 원인으로는 사회심리학적 이론과 정신분석학적인 이론이 있다. 사회심리학적 이론은 양육할 때 어떠한 성으로 자라는가에 따라서 문제가 생긴 경우, 어린이의 기질, 부모의 태도, 양육 방법, 부모와의 부정적 관계가 있는 경우로 설명한다. 정신분석학적 이론은 성장과정 중 남근기에 고착되어 이성의 부모를 과잉으로 동일시하는 경우, 성적 학대를 당한 경험이 있는 경우로 설명한다. 그 유형은 다음과 같다.
① 성전환증
성전환증이란 성적 주체성 장애의 가장 심한 형태로, 의학적으로는 사춘기 이후에도 자신의 선천적 성에 대해 지속적으로 불편과 부적절 함을 느끼며, 2년 이상 일차 및 이 차 성징을 제거하고 상대 성징을 획득하려는 집착에 사로잡혀 있는 상태를 말한다.
성전환증은 생물학적으로 타고 난 자신의 성에 대한 정체감을 갖지 못하고 상대의 성으로 살기를 원하는 성정체감의 장애로 인해 야기되며, 비교적 성장초기부터 나타나고, 현재의 성으로 살아가는 것을 혐오하며 그대로 살아가는 것에 대해 절망감이나 우울감을 경험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 때문에 자살을 시도하기도 한다. 상당수의 성전환증 환자들은 어려서부터 이성의 놀이, 행동, 태도, 복장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고, 외국의 경우 성전환증의 유병률은 대략 남자 3만 명당 1명, 여자 10만 명당 1명 꼴이다.
② 소아기의 성정체감장애
성인의 성정체감장애와 임상적인 양상이 동일하며, 소아기부터 성정체감장애가 나타나는 경우이다. 여아의 경우에는 자신이 남자라고 우기 고, 남자 옷을 입고, 남자아이들과 어울리며, 서서 소변을 보려고 한다. 남아의 경우에는 여자라고 우기고, 여자 옷을 입고, 인형놀이를 즐기고, 소꿉놀이에서도 여자 역할만 하며, 행동이나 몸동작이 여자와 같다.
청소년과 성인의 경우에는 반대 성(性)이 되고 싶다는 욕구의 표현, 빈번히 반대 성으로 행세하거나 반대 성으로 살거나 취급받고자 하는 소망이 있으며 반대 성의 전형적인 느낌과 반응을 자신이 갖고 있다고 확신하는 등의 증세가 나타난다. 소아의 경우에는 반대 성에 대한 관심과 활동은 대개 2~4세 때 시작된다. 남아의 경우 자신의 음경 또는 고환을 혐오하거나 그것이 사라질 것이라는 주장, 난폭하고 거친 놀이에 대한 혐오, 전형적인 남아 전용의 장난감오락활동을 거부하는 등의 증세가 나타난다. 여아의 경우에는 앉은 자세에서 소변보기를 거부하고, 음경이 있다거나 갖게 될 것이라고 주장, 유방이 커지고 월경을 원하지 않으며, 일상적인 여성 복장에 대한 강한 혐오감 등의 증세가 나타난다.
치료방법에는 정신요법과 호르몬요법, 성전환수술방법이 있다.
2.2. ‘성전환’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제도
우리나라는 성(性)에 있어서 매우 보수적이다. 전통적인 유교관념에 젖어있는 사회분위기는 인간의 성을 감추기에 급급해 왔다. 하지만 최근에 들어서 대중매체와 시민단체, 여성단체 등의 일련의 노력에 의해 이러한 분위기가 많이 바뀌어 가고 있다. 그리고 그 속에서 일어난 연예인 홍석천의 동성애 커밍아웃과 하리수라는 트랜스젠더의 등장은 두 개의 성만을 인정하고 있는 우리사회에 많은 화두를 던져주고 있으며, 성에 대한 다양한 의견과 논의를 일으키고 있고, 보다 개방된 시각으로 다양한 성을 인정하는 성향으로 가고 있다.
성전환. 아직 우리에게 낯선 단어지만 이제는 더 이상 감출 수 없는 사회적 현상이다. 하리수를 통해 붉어진 파장은 그동안 우리사회가 성(性)에 대한 논의가 얼마나 치부시 됐는지를 단적으로 말해준다. 나와 같지 않은 성과 새로운 성에 대해서는 인정을 하지 않는 보수적인 시각으로 편견과 선입견을 가지고 이들을 바라보는 눈과, 이성으로는 인정하고 이해하면서 이들의 문제를 멀리하는 사람들, 그리고 성전환자를 정신 이상자쯤으로 여기는 사람들의 시선은 성에 대한 우리사회의 획일화되고 다원화되지 못한 인식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최근 성전환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격려의 목소리가 한곳으로 집중되면서 성전환과 성전환자에 대한 사회적 인식도 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인터넷에서도 성전환 동호회가 양성적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대중매체를 통해서도 성전환에 대한 다각적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고, 각종 시민단체 활동에서도 성전환에 대한 시민들의 호응과 관심을 유도하고 있다. 하지만 한편에서는 아직도 곱지않은 시선으로 이들을 멸시하는 사람들이 있으며, 법적/제도적 장치들도 성전환자들의 홀로서기를 어렵게 만들고 있다.
성전환자들은 주민등록번호의 숫자 하나 때문에 직업의 자유를 위협받고 혼인의 자유와 가족구성 권리를 상실당하고 있으며 성폭행을 당해도 강간죄로 고소할 수 없는 처지이다. 호적법에 의하면 호적의 성(性)은 출생당시 염색체와 외관 등 신체적 조건에 따라 남성 또는 여성으로 구별토록 하고 있으나 이후 신체적 조건이 변경됐을 때 이를 정정할 규정은 없기 때문에 성전환자들은 성전환 이전의 성을 가지고 살아가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이들은 혼인신고를 할 수 도 없고, 강간에 대해서도 법의 보호를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이를 악용하는 유흥업소에 의해 인권을 유린당하고 있지만, 현행법상 피해자에 대한 특별한 보호조치 및 가해자에 대한 법적구속력을 행사하지 못하고 있다. 그간 법적 성별을 바꿔달라는 소송은 지난 90년 청주지법과 대전지법 천안지원 에서 여성으로 성전환수술을 한 20대 남성 2명의 신청을 받아들인 것을 제외하곤 서울 가정법원이 지난해 접수된 호적정정 신청을 기각하는 등 대부분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이처럼 우리나라에서는 트랜스젠더와 같은 성적 소수자들의 인권은 인간의 존엄을 보호해주어야 할 사회적제도와 법의 테두리 안에서 철저하게 외면당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이들은 권리와 인권은 사각지대에 방치되어 있다.
2.3. ‘성전환’에 대한 소고(小考)
요즘 우리는 대중매체를 보면선 하리수라는 공인을 통해 트랜스젠더라는 용어를 아주 쉽게 접하고 있다. 대중매체에 등장하는 하리수는 연예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2.12.27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70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